References
- 강지혜(1994). 혜태 세분화에 따른 남성정장 기성복의 브랜드 인식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고애란, 진병호(1995). 상설할인매장 애고소비자의 구매성향. 상점속성중요도 및 정보원 이용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9(1), 104-114
- 고애란, 홍희숙(1995). 의류제품에 대한 혜택세분화와 정보원사용 및 상점선택행동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9(5), 811-825
- 김성환, 소상철(1988). 한국인의 쇼핑성향에 관한 연구. 마아케팅연구, 7(1), 11-33
- 김지현, 홍금희(2000). 남성집단의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쇼핑성향과 정보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1), 43-54
- 박광희(1997). 의복쇼핑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유형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1(1), 10-18
- 서은희(1995). 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 의복관여, 지속적 정보탐색 및 의복구매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안소현, 서용한, 서문식(2000). 의류구매자의 가치관추구혜택-제품속성간의 계층적 인과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5), 652-662
- 우석붕(2000). 인터넷 사용에 따른 N소비자 유형화.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2), 47-63
- 유은정(1991). 의복관여도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서울시내 여대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임경복(2001). 소비자의 가치체계가 의복관여도와 쇼핑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7), 1321-1331
- 전경숙(2000). 남자 중고등학생의 유행선도력과 정보원 활용 및 의류구매행동과의 관계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5), 675-685
- 정지아(1999). 여대생의 유행선도력에 따른 자아이미지 및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정섭, 송형철(2002). 온라인 구매자집단과 비구매자 집단의 쇼핑성향의 차이. 마케팅과학연구, 10, 71-89
- 차인숙, 안소현, 이경희(1999). 백화점 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과 점포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2), 284-295
- 최일경(1994). 혜택세분화와 인식도에 의한 진의류브랜드 이미지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 하오선, 신혜원(2001). 인터넷 의류구매자의 의류쇼핑행동, 태도 및 특성. 한국의류학회지, 25(1), 71-82
- 황진숙(1998).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이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2(3), 293-302
- Aaker, D. A. (1991). Managing Brand Equity:Capi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ame. N.Y.;The Free Press
- Babin, B.J., Darden, W.R and Griffin,M. (1994).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convenience 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 644-656 https://doi.org/10.1086/209376
- Bellenger D.N. & Korgaonkar P.K. (1980). Profiling the Recreational Shopper. Journal of Retailing, 56(3), 77-92
- Beatty, S.E., Kahle, L.R., Homer, P. & Misra, S. (1985). Alternative Measurement Approaches to Consumer Values: The list of Values and the Rokeach Value Survey. Psychology & Marketing, 2(3), 181-200 https://doi.org/10.1002/mar.4220020305
- Darden,W.R. (1980). A Patronage Model of Consumer, In R. W. Stampfl& E.Hirschrnan(Eds.), Competitive structure in retail markets: the department store perspective, Chicago;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43-52
- Engel, J.F. Black, R.D. & Miniard, P.W. (1995). Consumer Behavior(8th ed.). Forth Worth; the Dryden Press
- Forsythe, A.M. & Bailey, A. W. (1996). Shopping enjoyment, Perceived Time Poverty, and Time Spent Shopping.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14(3), 185-190 https://doi.org/10.1177/0887302X9601400303
- Hirschman (Eds.), Competitive structure in retail Market: the department store perspective, Chicago: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43-52
- Hawkins, D. Roger, B. & Coney K. (1989). Consumer Behavior. Business Publication Inc
- Hirschaman, E.C. & Holbrook, M. B. (1982). Hedonic consumption: Emerging Concepts, Methods and Propositions. Journal ofMarketing, 46(3), 92-101 https://doi.org/10.2307/1251707
- Homer, P. M. & Kahle, L.R. (1988). A Structural Equation test of the Value-Attitude-Behavior Hierarc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winter), 638-646 https://doi.org/10.1037/0022-3514.54.4.638
- Kahle, L.R. (1983). Social Value and Social Change: Adaptation to Life in America. New York; Praeger
- Kwon, Y., Pack. S., & Arzeni, M. (1991). Catalog vs non catalog shoppers of apparel: Perceived risks, Shopping orientations, Demographics and Motivations. Clothing and Textile Reserah Journal, 10(1), 13-19 https://doi.org/10.1177/0887302X9101000103
- Shim, S. & Drake, M.P. (1988). Apparel selection by Employed Women: A Typology of Information Search Patterns.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6(2), 1-9 https://doi.org/10.1177/0887302X8800600201
- Shim, S.& Kotsiopulos, A. (1992). Patronage behavior of apparel shopping: partl. Shopping orientations, store attribures, information source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10(2), 48-57 https://doi.org/10.1177/0887302X9201000208
- Peter, J.P. & Olson, J. C. (1987). Consumer Behavior. Irwin
- Pitts, R. E. & Woodside, A. G. (1983). Personal Value Influence on Consumer Product Class and Brand Preference.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19, 37-53 https://doi.org/10.1080/00224545.1983.9924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