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과 사회적 자본, 그리고 경제

  • Published : 2003.01.01

Abstract

Keywords

References

  1. 앤서니 기든스(2000), 질주하는 세계 (박찬욱 역). 서울: 생각하는 나무
  2. 김승권외 3인(2001). 최근 가족해체의 실태와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 변화순, 송다영, 김영란(2001), 가족유형 에 따른 생활실태와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4. 이정전(2002). 시장은 과연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가. 서울: 한길사
  5. 장영숙(1998). 결혼경제와 시장경제. 대구: 대구대학교 출판부
  6. 정범모외 13인(1999). 21세기를 향한 교육개혁. 서울:민음사
  7. 프랜시스 후쿠야마(2001). 대붕괴 신질서 (한국경제신문 옳김).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8. 한국여성개발연구원(2000). 최근 가족해체 실태 및 복지대책
  9. Becker, G. S. (1981). A Treatise on the Family.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0. Fukuyama, F, (1992). The End of History and the Last Man, New York Free Press
  11. Fukuyama, F, (1995). Trust, New York: Simon & Schuter
  12. Knack, S. and P. Keefer (1997). Does social capital have an economic payoff?: A cross-country investigation, Quarterly Journal of Econmnics(Nov.)
  13. McRae, H. (1994). The World in 2020.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4. Newton, K. (1997). 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Mar./Apr.)
  15. Putnum, R. D. (1995).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6(1)(Jan.)
  16. Reder, M. W. (1979). Theplace of ethics in the theory of production, in M. J. Baskin ed, Economics and Human Welfare, New York: Academic Press
  17. Riley, J. (1988). Liberal Utilitarianis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