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deodorizing polyethylene film made from waste shell powder

패각 폐자원을 재활용한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폴리에틸렌 필름에 대한 연구

  • 전병철 (수원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 정용찬 (수원대학교 신소재화학과) ;
  • 정미화 (수원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 박정환 (수원대학교 신소재화학과) ;
  • 권오철 (한국포장개발연구원)
  • Published : 2003.02.01

Abstract

Odor-removing polyethylene film utilizing waste shell powder (annual production: 250,000 ton) was prepared. Odor removal was designed to work by cation or cationic surfactant adsorbed onto the shell surface by ion-exchange: cationic surfactants (DTAB (n-do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CTAB (n-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and DHAB (n-dihexade-cyldimethylammonium bromide), and cations $Ce^{3+}$ , $Mg^{2+}$ and $Al^{3+}$) were used. Surface-modified waste shell powder was com-pounded with LDPE to produce 20 wt% shell masterbatch (MB), and the MB was again blended with LDPE to get shell-containing LDPE films with 3,5, 10 wt% of shell (width: 40 cm, thickness: 40 $\mu\textrm{m}$).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various shell-LDPE films maintained more than 80 % of that of pure LDPE film. Both shell film modified with cationic surfactant and one without shell surface-modification showed excellent odor-removing ability.

연간 250,000 톤 정도 생산되는 패각을 이용하여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폴리에틸렌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패각 표면의 탄산이온을 바탕으로 양이온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이온교환에 의한 표면흡착 및 이에 따른 표면 극성 변화를 통해서 악취제거능을 부여하였다. 패각 표면의 개질은 앙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DTAB(n-do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CTAB(n-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그리고 DHAB(n-dihexadecyldimethylammonium bromide)를 사용하였다. 또한 앙이온의 금속으로는 $Ce^{3+}$ , $Mg^{2+}$ , $Al^{3+}$ 를 이용하여 계면활성제의 이온교환방법으로 표면을 개질하였다. 표면 개질된 패각 분말을 이용하여 LDPE라 패각 기준 20 wt% 마스터배치(masterbatch, MB)를 제조한 후 다시 LDPE와 섞어서 패각 기준 3, 5, 10 wt%의 폴리에틸렌필름을 제조하였다. 생산된 필름의 규격은 폭 40 cm, 두께 40 $mu extrm{m}$ 이었다. 제조된 패각 필름에 대한 기계적 물성 측정 결과 패각의 첨가로 인한 기계적 물성의 큰 저하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순수 폴리에틸렌 필름 대비 80% 이상의 물성을 유지하였다. 악취제거능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개질된 패각 필름이 시험된 모든 종류의 악취에 대하여 가장 우수한 악취 흡착 제거능을 보여주었으며, 개질되지 않은 패각 필름도 비교적 우수한 악취제거능을 보여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남표, '양식사업의 현황과 구조조정', 수산정책포럼 정기세미나 1997. 5
  2. 국립수산진흥원, 영안 양식어장 환경용량 산정 모델 개발연구, 과학기술처, 1992. 10
  3. 고현웅, 장성호, 성낙창, 폐굴껍질과 황토로 제조한 응집제를 이용한 폐수처리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지, 11,2,45-51 (2002)
  4. 문병현, 이택순, 서정윤, 서희정, 쳬굴껍질을 이용한 침적식 생물막법에 의한 폐수처리, 한국수질보전학회지, 13, 3, 55-63, (1999)
  5. Takahashi Hirata, 일본에 있어서 농수산물 포장의 연구와 기술개발의 현황, 한국포장학회지, 3, 2, 63-74, (1996)
  6. 박형우, 박무현, 김훈, 이재영, 양한철, MA 포장용 기능성 포장 소재개발에 관한 연구 (1), 한국포장학회지, 3, 2, 25-31 (1996)
  7. 한국고분자학회, 기능성 고분자 포장재료, 고분자과학과기술, 12, 2, 164-250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