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부(1997). 초. 중등학교 교육 과정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 제7차 교육 과정. 서울: 대한서적주식회사.
- 김명환(1995). 안내된 토의 활동이 고등학교 학생의 힘과 운동에 대한 개념 변화에 주는 역할.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 김민환, 김억환(1991). 새로운 교육 과정 탐구 - 재개념주의적 접근 -. 서울: 성원사
- 김성원, 최성연(2002). 영재아의 부모 특성이 영재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71-681
- 김언주, 육근철, 김성수, 윤여홍(2001). 과학영재의 동기에 대한 암묵적 이론 접근. 영재교육연구, 11(3), 99-127
- 박종석, 박원선, 박종욱(2000), 초등학교 과학영재의 선발에 적용한 화학실험 평가에 대한 연구. 대한화학회지, 44(2), 157-165
- 박종석, 심규철, 육근철(2001). 과학영재들의 과학과 과학자들에 대한 인식 조사. 영재교육연구, 11(3), 85-97
- 박종석, 오원근, 박종욱, 정병훈(1999). 과학캠프 활동 평가를 통해 추출한 과학영재 프로그램의 적절성 준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328-339
- 박종원, 이종백, 오원근, 박종석(2000).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연구 I. 영재교육연구, 10(1), 75-104
- 소금현(2000). 중학교 과학 영재 및 일반 학생의 정의적 특성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 소금현, 심규철, 이현욱, 장남기(2000). 중학교 과학영재학생의 과학관련 태도에 관한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166-173
-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2002).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가?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 학생들을 중심으로. 학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58-175
- 심규철, 박종석, 육근철(2001a). 사이버 상에서 과학영재들을 위한 새로운 교육 방법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 영재교육연구, 11(3), 69-84
- 심규철, 소금현, 김현섭, 장남기(2001b). 중학교 과학 영재의 과학에 대한 흥미 연구2- 재능 영역에 따른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135-148
- 오원근. 박종석. 박종욱. 정병훈(2002). 과학학습 활동에서 초등학교 상위집단 학생들이 선호하는 과제 특성 평가 준거의 타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32-39
- 이군현(1988). 과학고등학교 발전 방향 정립을 위한 탐색 연구. 한국과학재단 연구보서
- 이상법(2001). 과학영재 선발 문항 성취도의 지역별 편차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185-212
- 이상법, 이광필, 최상돈, 황석근(1999). 과학영재교육센터 학생선불 문항 분석 및 선발 방법에 대한 제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604-621
- 이현욱, 심규철, 조선희, 장남기(1999). 과학 영재교욱을 위한 '잠재 능력 판별 방법'의 적용.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3), 266-275
- 임희준, 여상인(2001). 초등학교 영재 학생들의 과학자에 대한 인식 조사. 영재교육연구, 11(2), 39-57
- 장남기(1998). 과학 천재와 영재의 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 제 3차 하계학술대회
- 장언효(1985). 영재아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 정병훈(1998). 창의적 사고 형성을 위한 물리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 제 34차 하계학술대회
- 통계청(2003). 2003청소년 통계. 통계청
- 한기순, 배미란, 박인호(2003). 과학영재들은 어떻게 사고하는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1), 21-34
- 허영, 이군현(1996). 대학의 과학 영재 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한국영재학회 연구보고서
- Bloom, B.S.(Ed) (1985). Developing Talent in Young People. New York: Ballantine Books
- Cole, M, V. John-Steiner, S. Scribner, & E. Souberman(eds.)(1978). Mind in society. Harvard University Press
- Gagne', F. (1993). Constructs and models pertaining to exceptional human abilities.In Heller, K.A., F.J. Monks and A.H. Passow (eds.). International handbook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tent(pp. 69-87)
- Hansen, J.B. & J.F. Fe1dhusen(1994). Comparison of trained and untrained teachersof gifted students. Gifted Chitd QuarterIy, 38(3), 115-121 https://doi.org/10.1177/001698629403800304
- Johnson, D.W., R.T. Johnson, & E.J. Ho1ubec(1993). Circles of learning (The 4thed.). Alexandri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 Lawson, A.E.(1995). Studying for biology. Harper-Collins College Publishers. NewYork
- Layton, D. (1991). Science Education and praxis: the relationship of school scienceto practical act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19, 43-79 https://doi.org/10.1080/03057269108559992
- Moon, S.M., & J.F. Feldhusen(1994). The Program for Academic and CreadveEnnchment(PACE): A Follow-up Study Ten Years Later. In Subotnik, R.F.& K.D. Arno1d(eds.). Beyond Terman: Contemporary longitudinal studies ofgiftedness and talent. Norwood, New Jergy: Ablex Pub. Cor
- Reid, C., & B. Romanoff (1997).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o identifygifted children. Educational Leadership, 55(1), 71-74
- Renzulli, J.S.(1998). The Three-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In Baum, S.M.,S.M. Reis & L.R. Maxfield(eds.). Nurturing the gifts and talents ofprimary grade students.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ming Press
- Webb, N. M. (1982). Student interaction and learning in small group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2(3). 421-445 https://doi.org/10.3102/00346543052003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