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dictors of the Compliance of Breast Self-Examination among Christian Women in Pusan and Ulsan Areas

부산, 울산지역 기독교여성의 유방 자가검진 이행 예측요인

  • Published : 2003.09.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compliance of breast self-examination (BSE) among 205 Christian women living in Pusan and U1san areas.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used. Knowledge levels were measured by the instrument developed by Choi(l996). Self- efficacy and health belief were measured by the instruments developed by Champion (1993) and modified by Choi(1996). Women who did BSE more than once within 6 months were categorised as compliant.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 test, χ²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15.1% of women performed the BSE at least once during the last 6 months. 2. Non-complier and compliant wome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elf efficacy and barriers. 3. Predictors of BSE compliance were ‘history of having breast disease’, ‘experience of receiving recommendation for BSE’, ‘barriers’, and ‘experience of meeting with breast cancer patients’ and explained 14.8% of variance in compliance of BSE. For future clinical practice, health professionals, including nurses, need to actively suggest to women the importance of BSE, and to distribute the information through posters and pamphlets at clinics and public health centers. Including the opportunity to meet patients in health education centers can be another strategy to increase women's motivation for BSE. For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recruit women from broader geographic areas utilizing various sources such as community centers to increase generalizability of the findings.

Keywords

References

  1. 김미경. 유방암 자가검진에 영향올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2. 김정순. 건강신념과 유방 자가검진 이행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3. 김희순, 김의숙, 김종욱. 인터넷을 통한 유방자가검진 프로그램 개발: 한국여성을 위한 건강정보. Cancer Nursing 2001; 24(2):156-161 https://doi.org/10.1097/00002820-200104000-00012
  4. 박인혜, 강혜영, 이정희, 류현숙. 간호센터 개발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요구사정 연구: 유방자가검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간호학회지 2000; 11 (1):21-36
  5. 백명. 유방자가검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6. 보건복지부. 통계 연보, 2001
  7. 서순림, 정복례. 유방암 조기발견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안. 성인간호학회지 1997;9(1):136-144
  8. 서순림, 정복례. 유방 자가검진 행위 촉진 요인. 경북간호과학지 2000; 4(1) : 27-41
  9. 신호철, 최환석. 유방자가검진 교육이 유방자가검진의 정기적인 실시에 미치는 효과 및 관련요인 분석. 가정의학학회지, 1998;19(6):467-480
  10. 안세현. 유방암의 조기발견. 울산대의학회지 1993;2(2):40-45
  11. 안혜정. 유방자가검진의 행위모델과 교육의 효과에 대한 분석. 부산대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12. 유근영 외 7인 . 한국인 유방암 발생의 향후 전망. 한국역학회지 2001;23(2):1-7
  13. 이영휘, 이은현. 장년기 여서의 유방 자가검진 수행에 대한 예측변수. 성인간호학회지 2001;13(4):551-559
  14. 이윤정, 엄동춘. 유방암 자가검진 유무와 질병의 중증도와의 관계연구. 재활간호학회지 1999;2(2):225- 233
  15. 이은옥, 임난영, 박현애. 간호 . 의료연구와 통계분석. 수문사, 1998:576-581
  16. 이은현, 정영해, 김진선, 송라윤, 황규윤. 보건통계 분석. 군자출판사. 2002:291-311
  17. 정명옥. 유방자가검진을 위한 효능기대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8. 정수진. 한국 여성들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인식도 및 실태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19. 최종숙. 유방자가검진과 유방암검진의 영향요인. 경북대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20. 최경옥. 간호사의 유방 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994a ;6(1):81-100
  21. 최경옥. 여성들의 유방 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94b;24(4):678-695
  22. 최경옥. 유방자가검진 교육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교육의 효과.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23. 최경옥, 서연옥. 유방자가검진 교육이 자가검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1998;28(3):718-728
  24. 최연희. 여성의 유방자가검진 교육이 BSE 이행과 자기 효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모자보건학회지 1997;1(2):183-191
  25. 한국중앙암등록본부 . 국립의료원. 한국중앙 암 등록사업 연례 보고서, 2000
  26. 황복녀. 보건소 간호사들의 유방암 조기발견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2
  27. Aspinal V. An effective way to reduce motality, Professional nurse. 1991;Feb, 283-287
  28. Jones JA 외 6인. The effect of an instructional audiotape on breast self examination proficiency.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1993;16(2):225-235 https://doi.org/10.1007/BF00844895
  29. Morrison C. Is Self-Examination Effective in Screening for Breast Cancer?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1991;83(4): 226-227 https://doi.org/10.1093/jnci/83.4.226
  30. Maurer, FA. Peer education model for teaching breast self-examination to undergraduate college women. Cancer Nursing 1997;20(1):49-63 https://doi.org/10.1097/00002820-199702000-00007
  31. Sadler GR 외 5인. Asian Indian women: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breast cancer early detection. Public Health Nursing 2001;18(5):357-363 https://doi.org/10.1046/j.1525-1446.2001.00357.x
  32. Smith, PE. Breast Cancer Prevention and Detection Update, Seminars in Oncology Nursing 1993;9(3):150-154 https://doi.org/10.1016/S0749-2081(05)800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