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for Fishing Gear and Method of the Non-Float Midwater Pair Trawl Net (III) - Opening Efficiency of the Model Net attaching the Kite -

무부자 쌍끌이 중층망 어구어법의 개발 (III) - 카이트를 부착한 모형어구의 전개성능 -

  • Published : 2003.08.01

Abstract

The non-float midwater pair trawl was effective in the mouth opening and control of the working depth in midwater and bottom. In contrast, we confirmed that it was difficult to keep the net at surface above 30 m of the depth by means of the full scale experiment in the field and the model test in the circulation water channel. To solve this problem, the kites were attached to the head rope of the non-float midwater pair trawl. In this study, four kinds of the mode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the purpose of applying the kite to the korean midwater pair trawl.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working depth of the non-float midwater pair trawl with the kite was shallower than that of the proto type and non-float type. The working depth of the kite type was approximately 20m with 2 kites and about 5m with 4 kites under 4.0 knot. The working depth was almost constant but the depth of the head rope sank approximately 15m and 10m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front weight and the wing-end weight, respectively. The changing aspect of the working depth was constant, but the depth of the head rope sank approximately 22m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lower warp length (dL). 2. The hydrodynamic resistance of the kite type was almost increased in a linear form in accordance with the flow speed increase from 2.0 to 5.0 knot. The increasing grate of the hydrodynamic resistance tended to increase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in flow speed. The hydrodynamic resistance of the kite type was larger approximately 5~10 ton larger than that of the non-float type and the proto type. The hydrodynamic resistance of the kite type increased approximately 3ton with the changing of the front weight from 1.40 to 3.50 ton and approximately 4 ton with the changing of the wing-end weight from 0 to 1.11 ton and approximately 5.5 ton with the changing lower warp length (dL) from 0 to 40 m, respectively. 3. The net height of the kite type was increased approximately 10 m with the change in the kite area from $2,270mm^2$ to 4,540 $\textrm{mm}^2$. The net height of the kite type was aproximately 50 m and 30 m larger than that of the proto type and the non-float type, respectively. The changed aspect of the net width was approximately 5m with the variation of the flow speed from 2.0 to 5.0 knot. 4. The filtering volume of the kite type was larger than that of the proto type and the non-float type by 28%, 34% at 2.0 knot of the flow speed and 42%, 41% at 3.0 knot, and 62%, 45% at 4.0 knot, and 74%, 54% at 5.0knot, respectively. The optimal towing speed was approximately 3.0 knot for the proto type and was over 4.0 knot for the non-float type, and the optimal towing speed reached 5.0 knot for the kite type. 5. The opening efficiency of the kite type was approximately 50% and 25% larger than that of the proto type and the non-float type, respectively.

무부자망은 망구의 전개 및 예망시 중저층에서의 예방수심 조절이 효과적이었지만, 표층~30m에서는 예망이 어렵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것을 극복하기 위하여 카이트(Kite)의 적용을 검토한 것으로 무부자 쌍끌이 중층망의 뜸줄에 연결된 대형망목부에 부분적으로 카이트를 부착하여 회류수조에서 모형실험으로 그 전개성능을 비교 조사하고 우리나라 쌍끌이 중층망에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예망수심은 카이트망이 기준형과 무부자망보다 유속별 예망수심이 모두 상승하였으며, 실제 조업시의 예망속도 4.9knot일때는 기준으로 2개의 카이트를 부착했을 때는 약 20m였고, 4개의 카이트를 부착했을 때는 약 5m였다. 또한, 카이트망의 추와 날개 끝 추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른 예망수심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발줄의 깊이만 각각 약15m와 10m 침강하였다. 그리고, 아래끌줄의 길이(dL)의 증가에 따른 예망수심의 변화는 없었고, 발줄의 깊이만 약 22m 침강하였다. 2. 유체저항은 유속이 2.0~5.0knot로 증가함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율은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 카이트망의 유체저항은 무부자망과 기준형에 비해 약 5~10ton 더 컸다. 그리고, 카이트망의 유체저항은 4.0knot를 기준으로 추의 무게가 1.40~3.50ton 으로 증가할 때 약 3ton, 날개끝 추의 무게가 0~1.11ton으로 증가할 때 약 4ton 증가하였으며, 아래끌줄의 길이(dL)가 0~40m로 증가할 때 유체저항은 약 5.5ton 증가하였다. 3. 망고는 4.0knot를 기준으로 카이트의 면적이 $2,270mm^2(2kite)에서; 4,540mm^2(4kite)$로 증가할 때 약 10m 증가하였으며, 카이트의 면적이 $4,540mm^2$(4kite)일 때 기준망보다는 약 50m, 무부자망보다는 약 30m 증가하였다. 망폭의 변화는 모든 경우에서 유속의 변화에 따라 5m 내외로 거의 일정하였다. 4. 여과량은 카이트망이 기준형과 무부자망에 비해 유속이 2.0knot일 때는 약 28%, 34% 더 컸으며, 3.0knot일 때는 약 42%, 41%이었고, 4.0knot일 때는 약 62%, 45%이었으며, 5.0knot일 때는 약 74%, 54%로 더 컸다. 각 어구별 적정 예망속도는 뜸이 있는 기준형은 약 3.0knot, 무부자망은 4.0knot이상 이였으며, 카이트망은 5.0knot 이상에서도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5. 망구면적당 유체저항의 비는 기준형, 무부자형, 카이트망의 순으로 전개효율은 카이트망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다음으로 무부자망, 기준형의 순이었다. 실제 예망속도인 4.0knot를 기준으로 카이트망은 기준형에 비해서는 약50%, 무부자형에 비해서는 약 25%로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Wileman, David.Yngvesson, Stig Rune and Hansed, Kurt(1988) : DANISH MIDWATER TRAWL DESIGN TECHIQUES, PROCEED- INGS WORLD SYMPOSIUM ON FISHING GEAR AND FISHG VESSEL DESIGN, 306-313.
  2. Fridman (1986) : Calcuations for fishing gear desings, FAO Fishing Manuals, 66-69.
  3. Fujiiishi, Akio(1990) : Model Test of a High-Speed Midwater Rope Trawl for estimating the Optimum Buoyance-Weight Radio, Nippon Sui san Gakkaishi, 56(12), 2011-2018. https://doi.org/10.2331/suisan.56.2011
  4. 藤石昭生(1990) : 高速曳網用超大目中層トロ一ル網の模型實驗, 日本水産學會誌, 56(5), 743-747.
  5. 高冠瑞;金大安(1985) : 漁具學, 敎文出版社, 204-213, 225-239.
  6. 권병국(1995) : 쌍끌이 중층망의 전개성능 향상을 위한 모형실험, 韓國漁業技術學會誌, 31(4), 340-349.
  7. 김정문.김진건(2000) : 쌍끌이 中層網의 展開性能에 대한 模型實驗, 韓國漁業技術學會誌, 36(2), 73-84.
  8. 柳濟凡(2001) : 無浮子 쌍끌이 中層網의 展開性能에 관한 模型實驗, 釜慶大學校大學院 水産物理 學科 碩士論文, 19-30
  9. 예영희(1993) : 로프 트롤 그물의 基本性能에 관한 模型實驗, 釜山水産大學校大學院碩士論文, 7-12.
  10. 李秉錡(1985) : 現代 트로올 漁法, 太和出版社, 184-202.
  11. 李珠熙(1984) : 底曳網의 漁具形狀에 關한 基礎的硏究 - II, 單純北 構型에 의한 4폭자리 자루 그물의 斷面形狀에 關해서, 漁業技術 20(2), 65-71.
  12. 李珠熙(1985) : 底曳網의 漁具形狀에 關한 基礎的硏究 - III, 構成網地의 多空率과 자루그물의 斷面形狀에 關해서, 漁業技術, 20(2), 65-71.
  13. 이주희.유제범.이춘우.권병국.김정문(2003) : 無浮子 쌍끌이 中層網 어구어법 기술개발(I), 韓國漁業技術學會誌, 39(1), 33-43. https://doi.org/10.3796/KSFT.2003.39.1.033
  14. 張志元.徐斗玉(1981) : 漁具工學, 新韓出版社, 126-142.
  15. 張忠植(1996) : 쌍끌이 中層트롤의 展開性能과 漁業 特性에 관한 硏究, 釜山水産大學校大學院博 士學位論文, 12-27.

Cited by

  1. Investigation of cause and magnitude of scale effect occurring in model experiments of fishing nets vol.47, pp.1, 2011, https://doi.org/10.3796/KSFT.2011.47.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