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Interillage and Muddying by Free-Ranging Ducks on pH and Dissolved Oxygen of Stagnant Water,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Paddy field Soil

논 방사오리에 의한 중경탁수가 관개수의 pH, 용존산소농도 및 토양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 고병대 (강원도농업기술원 옥수수시험장)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intertillage and muddying by free-ranging ducks (Chinese native ducks) and pH, dissolved oxygen of irrigation water,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Two paddy fields comprised of the muddying (muddy water without physical stimulation to a rice plant by the ducks) and the control plots (no ducks) were used for this study. As a muddying plot, 50 hills were randomly selected and each hill was fenced with a wire net in order to prevent from stimulating physically by the ducks. The variation in irrigation pH was smaller in the muddying plot than the control plot, and the pH was around 7.4. Dissolved oxygen was significantly higher (P<0.01) in the muddying plot than the control plot during the first half period after the ducks were introduced. Then it decreased rapidly as the rice plants grew in all plots. The contents of the suspended soil and turbidity in irrigation water were not changed over the free-ranging period, but $\textrm{NH}_3\textrm{-N}$ and $\textrm{P}_2\textrm{O}_5$ were decreased by intertillage and muddying by the duck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oth the soil physics and chemistry between the muddying plot and the control plot during and after finishing of the free-ranging perio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tertillage and muddying by the ducks resulted in a small variation in stagnant water pH, and reduced the dissolved oxygen and $\textrm{P}_2\textrm{O}_5$, although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soil were not changed.

논 방사오리에 의한 중경탁수가 관개수의 pH, 용존산소농도 및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오리 방사논에서 벼 50포기를 완전무작위로 선발한 후, 각 1포기씩에 대해 원통형 철망을 둘러치는 방법에 의해 오리에 의한 중경탁수만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한 중경탁수구(이하, 탁수구)와 오리 무방사의 대조구로 구분하고, 관개수의 pH, 용존산소농도 및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오리 방사기간 중, 관개수의 pH는 대조구에 비해 탁수구에서 변동폭이 작고, pH7.4 전후의 높은 수준에서 추이하였다. 2. 용존산소농도는 오리 방사초기에 대조구보다 탁수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P<0.01), 그 이후는 두 시험구 모두 벼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급속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관개수의 부유물질농도 및 탁도는 대조구보다 탁수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P<0.01),오리 방사기간 중 큰 변화 없이 거의 일정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4. 관개수의 무기성분 함량에 있어서 $\textrm{P}_2\textrm{O}_5$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탁수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나(P<0.05), 그 이외의 성분에서는 두 시험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5.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은 오리 방사기간 중 및 방사종료 후 모두 어느 성분에 있어서도 두 시험구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오리 방사기간 중 보다 방사종료 후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오리에 의한 중경탁수는 관개수의 pH 변동폭을 줄이고, 용존산소농도 및 $\textrm{P}_2\textrm{O}_5$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Edar, E., R. Yabuki, K. Takayama, Y. Nakanishi, M. Manda, S. Watanabe., S. Matsumoto, and A. Nakagama. 1996. Comparative studies on behavior, weeding and pest control of ducks (mallard, cherry valley and their crossbred) free-ranged in paddy fields. Jpn. Poult. Sci. 33(4): 261-267 https://doi.org/10.2141/jpsa.33.261
  2. Nakanishi, Y and M. Manda. 2000. Future research needs in regard to farm animal behavior for sustainable agriculture in japan. Jpn. J. Livest. Management. 35 : 78-80
  3. Xiang Liu., IC. Takayama, K. Yamashita, Y. Nakanishi, M. Manda, J. Inanaga, S. Matsumoto, and A. Nakagama. 1998. Water pH, water temperature, and soil elements in the paddy fields under the inte-grated AzolIa-Duck-Rice farming system and its manuring effects. Jpn. J. Livest. Management. 34(2): 51 -56
  4. 淺見輝男. 1970a. 水田土壤にける遊離鐵の移動に關する硏究(2). 水田土壞中にお ける遊離鐵の遠元とEh, PWの變化及びアンモ二 アの生成について. 土壤肥料學會誌. 41 : 7-11
  5. 趙成鎭. 1988. 土壤學. pp. 50-292. 鄕文社. 서울
  6. 土壞標準分析 . 測定委員會編. 1986. 土壤標準分析 . 測定法. pp. 300-375. 博玄社. 東京
  7. 古野陵雄.1992. 合鴨ばんざい. pp. 24-11. 農山漁村文化協會. 東京
  8. 古野隆雄. 1997. 無限に度がるアイかも水稻同時作. pp. 16-30. 農山 漁村文化協會. 東京
  9. 星川淸親. 1999. 食用作物. pp. 19-155. 養賢當. 東京
  10. 日向康吉, 羽柴輝良. 1995. 植物生産農學實驗マニュアル. pp. 45-328. ソフトサイエンス杜. 東京
  11. 川口桂三郎. 1978. 水田壤學. pp. 23-33 講談社. 東京
  12. 硏究年報. 1953. 水稻の中耕に關する試驗. pp. 6-9. 度島縣立農業試 驗場
  13. 弘法健三, 金野陰光. 1970. 透水條件下における水田土壤の物質變化 (1),pH變化, Eh 變化, 炭酸發生. 2價鐵生成について. 土壤肥料 學會誌. 41 : 175-187
  14. 萬田正治. 1995.合鴨農法の到達點と今後の展望. 技術と普及. 32(11) :38-41
  15. 松尾孝嶺. 1990. 稻學大成(生理編). pp. 55-766. 農山漁村文イ匕協會. 東京
  16. 野鳥數馬. 1960. 水田に中耕に關する硏究-中耕說の歷史的變遷及び その實證的檢討. 關東東山農業試驗場硏究報告. 17 : 1-113
  17. 農藝化學實驗書. 1993. 第1卷. 京都人學農學部農藝化學敎室
  18. 瀨古秀生, 九鬼正信. 1954b. 水田の中耕と稻の生育(2). 農業技術. 9 : 18-19
  19. 潔古秀生, 九鬼正信. 1956. 水田に於ける中耕の 果に關する硏究. 東海近畿農業試 關場硏究報告. 3 : 31-55
  20. 新城明久. 1995a. PC SASによる基礎統計學入門. pp. 21-65. 東海 大學出版會. 東京
  21. 新城明久. 1995b. 生物統計學入門. pp. 47-55. 朝倉書店. 東京
  22. Turbo Statview Ver 4.5. 統計處理ソフトウェア一. pp. 12-160. メデイウェイル株式會社. 福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