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n Ruminant Feed Value of Cage Broiler Excreta Processed by a Deepstacking Method

퇴적발효한 케이지 육계생분의 반추동물 사료적 가치 평가

  • 곽완섭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자원환경과학부 축산학전공) ;
  • 박종문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자원환경과학부 축산학전공) ;
  • 김연호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자원환경과학부 축산학전공) ;
  • 강준석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자원환경과학부 축산학전공) ;
  • 김영일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자원환경과학부 축산학전공) ;
  • 김원경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자원환경과학부 축산학전공)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is on­farm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feeding deepstacked broiler excreta­saw dust­rice hulls(DBSR) pellets on feed intake, production and economy of growing Hanwoo steers and Holstein bulls. Formulated mix and rice straw were replaced at 16% and 48% levels for growing Hanwoo steers(6 wk of feeding period) and at 4% and 18% levels for Holstein bulls(12 wk) with DBSR pellets. Control and treated diets were formulated to be isoenergetic and DBSR pellets were fed ad libitum. Palatability of DBSR pellets turned out to be favorabl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feeding DBSR pellets did not affect body weight gain, average daily gain and feed efficiency(P>0.05). Feed cost per gain was reduced by 18.5% for Hanwoo steers and 3.5% for Holstein bulls. Feeding DBSR pellets to Holstein bulls did not affect carcass weight and grades of meat yield and qual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epstacked cage broiler excreta mixture may be effectively used as a feed ingredient for growing ruminants.

육성 거세 한우(평균 체중 200kg)에게 6주 동안 배합사료의 16%와 볏짚의 48%를 대체하는 수준에서, 그리고 Holstein 비거세우(평균 체중 336 kg)에게 12주 동안 배합사료 4%와 볏짚18%를 대체하는 수준에서 퇴적발효한 육계생분­톱밥­왕겨 혼합물(DBSR 최종 함수율 45%)의 펠렛을 무제한 급여한 후 사료섭취량, 증체율, 사료효율, 경제성 및 도체 특성을 평가하였다. DBSR pellet의 기호성은 양호한 편이었다. 대조구와 비교해서 DBSR pellet 급여는 육성 거세 한우의 증체량(31.6 vs 36.6 kg), 일당 증체율(0.75 vs 0.87), 사료효율(7.23 vs 7.53)과 Holstien 비거세우의 증체량(148 vs 155 kg), 일당증체율(1.76 vs 1.84) 및 사료효율(5.69 vs 6.02)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P>0.05), 증체 당 사료비용은 축종별로 각각 18.5% 및 3.5% 절감되었다. Holstein 비거세우에의 DBSR pellet 급여는 도체중, 육량 및 육질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분흡수제로서 톱밥, 왕겨와 혼합한 케이지 육계생분의 퇴적발효물은 육성비육우용 사료로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