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lora of Wetland at Mt. II-Kwang, Busan

부산 일광산 습지의 식물상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wetland at Mt. II-Kwang, the helophyte of the mountain was examined. The flora observed was classified into 2 phyla, 15 families, 27 genera, and 34 species. Representative species at the wetland were Drosera rotundifolia, Utricularia racemosa, Utricularia bifida, Eriocaulon miquelianum, and Eleocharis attenuata var. laeviseta. In the lower part of the wetland, water was abundant and soil surface layer was thin, and Eriocaulon miquelianum-Carex canescens-Drosera rotundifolia, community were developed. On the other hand, in the upper part of the wetland, water was not abundant and soil surface layer was thick, and Agrostis clavata-Phragmiles japonica community were community were developed. Utricularia bifida and Utricularia yakusimensis were growing abundantly at this wetland, but Utricularia racemasa was few in number and narrow in the distribution area. Eriocaulon miquelianum, a Korean endemic plant, was observed, and Habenaria linearifolia, Spiranthes amoena, and Epipactis thunbergii, the CITES plant, were observed at this wetland. Insectivorous plant such as Drosera rotundifolia, Utricularia racemosa, Utricularia bifida, and Utricularia yakusimensis were also observed.

일광산 습지에 자생하는 식물은 2문 15과 27속 34종류로 조사되어 다른 지역의 습지보다 다소 적은 출현 종수를 보여 주었다. 과별 출현종수로 선태식물(Bryophyta)은 1속 1종(2.9%), 사초과 식물이 6속 10종(29.4%), 화본과 식물 6속 6종(17.6%), 통발과 및 난초과 식물이 각각 3속 3종(8.8%), 곡정초과식물 1속 2종(5.9%), 그리고 기타 식물(26.5%)로 조사되었다. 대표적 식물군락으로 습원의 조건과 빈영양을 반영하는 끈끈이주걱 군락, 이삭귀개 군락, 땅귀개 군락, 자주땅귀개 군락, 개수염 군락, 그리고 참바늘골 군락 등이 관찰되었다. 습지의 식생으로 물의 양이 많고 토양층이 얇은 습지의 아래쪽에는 개수염-산사초 군락-끈끈이주걱 군락이, 물의 양이적고 토양층이 깊은 습지의 위쪽에는 산겨이삭-달뿌리풀 군락이 발달하였다. 물이 고여 있는 곳에서는 끈끈이주걱이 잘 서식하지 못했으나 땅귀개류는 비교적 잘 서식하였다. 땅귀개나 자주땅귀개는 무리지어 군락을 이루어 나타났지만 이삭귀개는 개체수도 적고 분포지역도 좁게 나타났다. 한국산 특산식 물로는 개수염이 관찰되었고 CITES 관련 희귀식물로는 잠자리난이 조사되었다. 식충식물로는 끈끈이주걱, 이삭귀개, 땅귀개, 그리고 자주땅귀개가 조사되어 습지 보호가 필요한 지역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은희, 이호원, 이상명, 강현무, 2002, 제주 기생화산 화구호의 환경과 식물성플랑크톤상, 한국습지학회지, 4(1), 1-20.
  2. 도윤호, 문태영, 2002, 울주군 무제치 제1늪의 지표보행성 갑충군의 다양성 구조, 한국습지학회지, 4(1), 33-42.
  3. 서정윤, W. Hegemann, 2001, 수초를 이용한 폐수처리시설, 한국습지학회지, 3(2), 153-172.
  4. 김형수, 이상식, 정상만, 박수영, 2002, 폐천의 습지 이용과 치수경제성 분석, 한국습지학회, 4(1), 43-50.
  5. 서규우, 우상환, 김광섭, 2001, 자연형 하천 복원구간의 하천유지유량 산정을 위한 기초조사, 한국습지학회지, 3(2), 119-132.
  6. 전병일, 2003, 부산지역 기단성 뇌우 발생일의 대기안정도지수 특성, 한국습지학회지, 5(1), 29-40.
  7. 이상돈, 2003, 우리나라 습지 보전 현황과 향후 관리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습지학회지, 5(1), 1- 13.
  8. 기장군청, 2000, 기장군청 홈페이지(통계연보).
  9.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pp.
  10. 김태정, 1997, 한국야생화 6, 늪․습지에 피는 꽃, 국일미디어, 254pp
  11. 이영노, 1996, 원색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1237pp.
  12. 고경식, 전의식, 2003, 한국의 야생식물, 일진사, 982pp.
  13. 백원기, 1994, 한국특산식물의 실체와 분포 조사, 자연보존연구보고서, 13, 5-84.
  14. 교학사 교재부, 1998, 한국의 멸종위기 및 보호야생동.식물, 교학사, 302pp.
  15. Melchior, H. and E. Werderman, 1964,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II. Band Angiospermen Ubersicht uber die Florengebiete der Erde, Gerruder Borntraeger Berlin-Nikolassee, 666pp.
  16. 강상준, 곽애경, 2000, 대암산 고층습원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습지학회지, 2(2), 117-131.
  17. 양산시, 2000, 양산시 고층습지 생태계 보존방안, 185pp.
  18. 환경부, 1997, 정족산 무제치늪 조사결과보고서(1차년도), 133pp.
  19. 우한정, 1993, 절멸의 위협이 있는 야생 동․식물의 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조약(CITES), 자연보존, 81, 17-25.
  20. 고재기, 이은복, 전의식, 1995, 수원 칠보산 습원의 식생과 습원 및 주변부의 식물상, 자연보존, 89, 39-50.

Cited by

  1. The Floral in Four Wetlands of Guemsan Area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vol.52, pp.2, 2018, https://doi.org/10.14397/jals.2018.5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