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Multiple Regression Models for the Prediction of Daily Ammonia Nitrogen Concentrations

일별 암모니아성 질소(NH3-N)농도 예측을 위한 다중회귀모형 개발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Seasonal occurrence of high ammonia nitrogen(NH3-N) concentrations has hampered chemical treatment processes of a water plant that intakes water at Buyeo site of Geum river. Thus it is often needed to quantify the effect of Daecheong Dam ouflow on the mitigation of $NH_3$-N contamination. In this study, multiple regression models were developed for forecasting daily $NH_3$-N concentrations using 8 years of water quality and dam outflow data, and verified with another 2 years of data set. During model development,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R^2$) and model efficiency($E_{m}$) were greater than 0.95. The verification results were also satisfactory although those statistical indices were slightly reduced to 0.84∼0.94 and 0.77∼0.93, respectively. The validated model was applied to assess the effect of different amounts of dam outflow on the reduction of $NH_3$-N concentrations in 2002. The NH3-N concentrations dropped by 0.332∼0.583 mg/L on average during January∼March as outflow increases from 5 to 50cms, and was most significant on Februar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 multiple regression approach has potential for efficient cause and effect analysis between dam outflow and downstream water quality.

겨울철에 금강하류에서는 암모니아성 질소(NH3-N) 농도가 주기적으로 높게 검출되어, 부여지점에서 취수하는 정수장의 수처리 공정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질소농도 저하와 소독부산물 생성 억제를 위해 종종 대청댐의 추가 방류가 검토되고 있으나, 방류량과 직소농도 관계의 정량적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8년간의 일별 수질자료와 댐 방류량 자료를 이용하여 겨울철(12월∼3월) 동안 일별 NH3-N 농도를 예측할 수 있는 다중회귀모형을 개발하고, 최근 2년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을 검증하였다. 모형 개발과정에서 모의값은 실측값과의 결정계수와 모형효율이 모두 0.95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검증과정에서는 각각 0.84∼0.94와 0.77∼0.93으로써 신뢰도가 약간 떨어졌지만, 방류량과 하류의 NH3-N 농도 관계를 분석하는데 충분히 활용가능 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모형은 갈수기 동안 댐 방류량이 NH3-N 농도 저감에 미친 효과를 분석하는데 사용되었다. 1∼3월 동안 방류량을 5 에서 50cms까지 증가시켜 파며 모의한 결과, NH3-N 농도는 평균 0.332∼0.583 mg/L 감소하였으며 2월에 가장 큰 저감효과가 나타났다. 개발된 다중회귀 수질모의기법은 충분한 실측자료가 확보된 경우에 수치모형이 요구하는 광범위한 경계조건 자료 없이도 댐 방류량과 하천수질의 인과관계를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두선, 신현석, 김중훈(1998). '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장기 하천 수질의 예측,'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II), 대한토목학회, pp. 23-26
  2. 류병로, 한양수(1998). 'ARIMA 모형에 의한 하천수질 예측.' 한국환경과학학회지, 한국환경과학학회, 제7권, 제4호, pp. 433-440
  3. 안상진, 연규방, 연인성(2000). '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수질예측과 시스템 구축.' 대한상하수도학회, 한국물환경학회 공동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 pp. 249-252
  4. 정세웅, 김주환(2001). '갈수기 저수지운영을 위한 댐 하류 수질예측 모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 한국수자원학회, pp. 632-637
  5. 조정석, 류병로, 한양수 (1999). '전이함수 잡음모형에 의한 하천수질의 시계열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제15권, 제4호, pp. 465-477
  6. 한국수자원공사(2000). 갈수기 하류하천 수질보전을 고려한 전략적 대청댐 운영기법 연구
  7. 한국수자원공사 (1993). 댐방류량이 하천 수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8. 한국수자원공사 (1999). 대청댐 하류 오염물질 이송.확산예측 및 저감대책에 관한 연구
  9. 한양수(1999). '상태공간 모형에 의한 하천수질 예측.' 대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10. Alley, W.(1986). 'Regression approximation for transport model constraint sets in combined simulation-optimization studies.' Water Resources Research, AGU, Vol. 22, No. 4, pp. 581-586 https://doi.org/10.1029/WR022i004p00581
  11. Chapman, D.(1992). Water quality assessments. A guide to the use of biota, sediments and water in environmental monitoring, Chapman & Hall, London, pp. 69-76
  12. Chapra, S.C., and Canale, R.P.(2002). Numerical methods for engineers, McGraw-Hill
  13. Chung, S.W., and Kim, J.H.(2002). 'Development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supporting reservoir operation for the control of downstream water quality.' Water Engineering Research,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 No. 2, pp. 143-153
  14. Haggard, B.E., Soerens, T.S., Green, W.R. and Richards, R.P. (2003). 'Using regression methods to estimate stream phosphorus loads at the Illinois river, Arkansas.' Applied Engineering in Agriculture, ASCE, Vol. 19, No. 2, pp. 187-194
  15. Irish, Jr., L.B., Barrett, M.E., Malina, Jr., J., and Charbeneau, R.J.(1998). 'Use of regression models for analyzing highway stormwater loads.'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24, No. 10, pp. 987-993 https://doi.org/10.1061/(ASCE)0733-9372(1998)124:10(987)

Cited by

  1.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otal Nitrogen Components in Streams by Watershed Characteristics vol.30, pp.5, 2014, https://doi.org/10.15681/KSWE.2014.30.5.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