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Runoff Response according to Dividing Watershed.

유역분할에 따른 유출응답에 관한 연구

  • 김경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
  • 최윤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ing on extracting geometry data and hydrologic parameters by using GIS technique. However, there is no clear standard on those methods yet.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ing pattern of runoff responses characteristics with applying lumped model on divided watershed. WMS is used in order to divide watershed and calculate hydrologic geometry data and parameters by GIS technique. HEC-1 is adopted as a hydrologic model to establish runoff responses. The basin is divided into small watersheds, which are approximately same size. This research conducted runoff response simulation of Pyoungchang River and Wichon River Basin. Especially, research was focused on what is the most appropriate level as a divined sub-basin, and tested the effect of size of sub-basin for the runoff response simulation. The results showed the size of sub-basin was not an important factor for the simulation results after a certain s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as an appropriate guidance to select optimal simulation size of watershed for the lumped model in a specific watershed.

수자원 분야에서 GIS를 이용한 유역의 지형인자 추출 및 수문모형의 매개변수 추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러한 방법들에 대한 명확한 기준은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형 모형을 적용함에 있어서 동일 특성으로 구분되어 지는 유역분할에 따른 유출 응답특성의 변화에 대해서 검토하고자 한다. GIS를 이용한 유역의 분할과 수문학적 지형인자 및 매개변수의 계산을 위하여 WMS를 사용하였으며, 유출응답 특성의 규명을 위한 수문모형으로는 HEC-1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평창강 및 위천 유역을 대상으로 유출모의를 수행하였으며, 해당 유역의 수문현상을 가장 잘 모의할 수 있는 적정 유역분할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유역분할이 유출모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일정 유역분할 이후에는 유역분할이 유출모의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특정 유역의 유출모의시 최적 모의 면적을 선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1983-2002).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연구보고서
  2. 건설교통부 (2000). 하천설계기준
  3. 김경탁(1998). GIS 적용에 따른 유출응답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4. 조홍제(1986). '소유역의 홍수도달시간과 사면길이의 분포특성을 고려한 홍수유출해석,' 한국수문학회지, 제19권 제2호, 한국수자원학회, pp. 139-148
  5. 이종태, 이상태. (1997). '도시유역에서의 강우 공간분포 및 소유역분할이 유출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0권 제2호, 한국수자원학회, pp. 177-191
  6. 윤용남, 김웅태, 박무종, 김재형 (1999). '분포형 개념을 이용한 토사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99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3-8
  7. 최윤석(1999). GIS를 응용한 홍수유출해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8. 한건연, 이수현, 이창희(2003), 'GIS를 이용한 수문모델링에서의 적정해상도 도출,' 2003년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I), 한국수자원학회, pp. 971-974
  9. 허기술, 정정화(1987). '한국토양의 수문학적 분류 및 그 응용,' 농공기술, 제4권 제4호, pp. 47-61
  10. 행정자치부(1998). 위성자료를 이용한 미계측 특정지역의 하천재해 분석을 위한 기초연구. NIDP-97-07, 연구보고서
  11. Bedient, P.B., and Huber, W.C.(1988). Hydrology and Floodplain Analysis,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2. Brigham Young University - Engineering Computer Graphics Laboratory(1997). WMS v5.0 Reference Manual & Tutorials
  13. Hoggan, D.H.(1989). Computer-Assisted Floodplain Hydrology and Hydraulics. McGraw-Hill Inc
  14. Cunge, J.A., Holly, F.M., and Verwey, A.(1980). Practical Aspect of Computational River Hydraulics, Pitman Publishing Inc
  15. Martz, L.W., and Garbrecht, J.(1993), 'Automated extraction of drainage network and watershed data from digital elevation models,' Water Resources Bulletin, 27(6), pp. 901-908
  16. Singh, P.V.(1996). Kinematic Wave Modeling in Water Resources : Surface-Water Hydrology. John Wiley & Sons, Inc
  17. Zhang, W., and Montgomery, D.R.(1994). 'Digital elevation model grid size, landscape representation and hydrologic simulation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0, No. 4, pp. 1019-1028 https://doi.org/10.1029/93WR03553

Cited by

  1. Effect of the aggregation level of surface runoff fields and sewer network for a SWMM simulation vol.226, pp.1-3, 2008, https://doi.org/10.1016/j.desal.2007.02.115
  2. A Study on Proper Number of Subbasin Division for Runoff Analysis Using Clark and ModClark Methodsdd in Midsize Basins vol.33, pp.1, 2013, https://doi.org/10.12652/Ksce.2013.33.1.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