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Change in Consumption Values on Advertisements for Man′s Cosmetics

남성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내용특성 및 소비가치 분석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Under the social conditions that an understanding of a men change socially and men's interests in their appearances are on the increase, this research intends to study and analyze the changes of people's sensibility of values on ads for men's cosmetics, which is said to be performed the social, cultural function reflecting the social consciousness, the value and the idea creating a new one. The documents for the research was sindonga. The document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in regard of contents of a linguistic expression and a visual expression showing on advertisements for man's cosmetics, a time series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sumption value through headline of an ad, the emotional value took the highest percentage extending whole periods. Beside emotional value, a time series analysis showed that social values appeared to the major themes in the 1970s, and functional values was important themes in 1980s, and the social values and functional values appeared equally during 1990-2002.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일보 (2002. 6. 7). 남성화장품 전성시대/주름펴고..촉촉하게...
  2. Jean Baudrillard. 이상률역 (1991). 소비의 사회 그 신화와 구조. 서울: 문예출판사, p. 72
  3. 백경미 (1998). 현대 소비문화와 한국 소비문화에 관한 고찰. 소비자학연구, 제9권 (91호), pp. 17-18
  4. Grant McCraken, 이상률 역 (1996). 문화와 소비. 서울: 문예출판사, pp. 13-14
  5. Grant McCraken, 이상률 역 (1996). 문화와 소비. 서울: 문예출판사, p. 14
  6. John Berger, 강영구 역 (1990). 영상커뮤니케이션과 사회. 서울: 나남, p. 191
  7. 김준희 (1997). 한국잡지의 광고텍스트 연구 1955-1995.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27
  8. 성영신 외 3인 (1991). TV 광고에 나타난 가족가치관 연구. 광고연구, 12(가을호), pp. 77-104
  9. 임희섭 (1994). 한국의 사회변동과 가치관. 서울: 나남, p. 371
  10. Grant McCraken, 이상률 역 (1996). 문화와 소비. 서울: 문예출판사, pp. 174-198
  11. Kim B. Razoll 외 2 인 공저, 한상필, 김대선 역 (1994). 현대사회와 광고. 광고이해를 위한 새로운 시각. 서울: 한나래
  12. Kim B. Rotzoll 외 2 인, 한상필. 김대선 역 (1994). 현대사회와 광고. 광고이해를 위한 새로운 시각. 서울: 한나래, p. 37
  13. 조병량 (1988). 광고의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 31
  14. 조병량 (1988). 광고의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46
  15. 정희선, 박철 (1995). 우려나라 광고에 나타난 소비가치 변화에 관한 연구 -1962년 - 1992년 여성잡지 광고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26호(봄호), p. 87
  16. 전양진 (2001). 한국여성의 가치관 변화에 관한 연구 -화장품과 의류상품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제25권(제4호), p.775
  17. 고선영, 이은영 (1998). 의복광고에 나타난 소비자 가치의 변화 추세 고창 - 1976- 1996년 남성월간지 의복 광고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제22권(제1호), p. 91
  18. Sheth, J. N.. Bruce I. Newman. and Barbara L. Gross (1991). Consumption value and market choice: Theory and applications. South-western Publishing
  19. 김지언 (1989). 여성잡지광고 시각요소에 나타난 의미 체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 10-14
  20. 이주연 (2002). 한국 현대여성의 메이크업문화에 표현된 감정구조 분석.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84-85
  21. 이주연 (2002). 한국 현대여성의 메이크업문화에 표현된 감정구조 분석.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86
  22. 신윤호 (1999). 우리나라 성인 남성화장품의 구매행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