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Physicochemical Quality during the Seasoned and Fermented Alaska Pollack Roe with Vacuum Fermentation

조미 명란(明卵)의 진공발효 및 저장중 이화학적 품질 변화

  • 김정욱 (태경농산주식회사 품질관리팀) ;
  • 이성갑 (한경대학교 대학원 식품공학과 식품생물산업연구소)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Low salt-fermented product of alaska pollack roe were prepared tentatively and also discussed the retarding effect of fermentation period by vacuu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oisture content, pH and salinity decreased slightly, but the contents of VBN and total amino acids increased gradually during fermentation regardless of ripening types. pH and salinity showed little difference with ripening types, but moisture content was a little lower and the contents of VBN was some higher in non vacuum than those in vacuum, whereas total amino acid contents were greater in vacuum. In addition, total viable cell count were similar to trend of gentle decrement after increment to some degree but were higher in non vacuum than those in vacuum. Judging from the results of physicochemical analysis, it was showed that fermentation delayed in vacuum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vacuum fermentation can be effective on shelf-life extension of jeot-gal.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젓갈류는 염도가 지나치게 높고 제조 방법이 단순하고 비위생적으로 생산되는 경우가 많아 고품질 젓갈 제품의 생산을 위해서는 새로운 공정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명란을 액 염지법으로 염도를 8%로 줄이고 진공 숙성기법으로 맛을 강화시켜 새로운 명란 젓갈을 제조하였다. 또한 저염 젓갈의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진공 발효시켜 저장하면서 숙성 형태별 숙성 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성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명란 젓갈의 수분, pH 및 염도 변화는 숙성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큰 차이 없이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수분은 무진공(상압) 숙성시에 약간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휘발성 염기 질소(VBN) 및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은 숙성형태에 상관없이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약간씩 증가하였고 VBN의 함량이 상압숙성에서 높은 경향이었고 총 구성아미노산은 진공 숙성시에 더 많게 나타났다. 총균수 역시 어느 정도 증가했다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은 비슷하나 진공 숙성에 비해 상압 숙성시에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명란젓갈의 숙성시 진공처리는 전반적인 젓갈의 숙성을 지연시켜주며 젓갈의 품질 유지 기간에도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성갑, 김동수 : 수산식품가공이용학, 광문각, p.239-240(2003)
  2. Curran, D.M, Tepper, B.J. and Montville T.J. : Use of bicarbonates for microbial control and improved waterbinding capacity in cod fillets, J. Food Sci., 55(6), 15641566(1990) https://doi.org/10.1111/j.1365-2621.1990.tb03569.x
  3. Thomas, D.J. and Wagner, M.K : Effect of sodium acid pyrophosphate and potassium sorbate on Staphylococcus aureus FRI-100 growth and toxin production. J. Food Sci., 52(3), 793- 800(1987) https://doi.org/10.1111/j.1365-2621.1987.tb06729.x
  4. Fletcher, G.C., Murrell, W.G., Statham, JA, Stewart, B.J. and Bremner,H.A. : Packaging of scallops with sorbate: An assessment of the hazard from Clostridium botulinum. J. Food Sci., 53(2), 349- 352(1988) https://doi.org/10.1111/j.1365-2621.1988.tb07703.x
  5. Brewer, M.S., Dallmier, W. and Meyer, T. : Sodium lactate effects on shelf-life, sensory,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fresh pork sausage. J. Food Sci., 1176-1178(1991)
  6. O'connor, P., Brewer, L.M. Novakofski, SJ. and Carr, T.R: Sodium lactate/sodium chloride effects on sensor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fresh ground pork. J. Food Sci., 58(5), 978-986(1993) https://doi.org/10.1111/j.1365-2621.1993.tb06092.x
  7. Papadopoulos, L.S., Miller, R. K, Acuff, G. R, Vanderzant C. and Cross, H. R : Effect of sodium lactate on microbial and chemical composition of cooked beef during storage. J. Food Sci., 56(2), 341-347(1991) https://doi.org/10.1111/j.1365-2621.1991.tb05276.x
  8. 김동수 : 수산발효식품의 품질개선연구, 한국식품개발연구원(1990)
  9. 김상무, 이근태 : 저염 명란젓의 Shelf-Life 연장 방안(pH조정에 의한 연장 효과). 한국수산학회지, 30(3), 459(1997)
  10. AOAC. : Official Metho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17, 868-931(1990)
  11. 日本醬油 硏究所編,しょうゆ實驗法,三雄全部, 東京,9 (1985)
  12. 日本厚生省編,食品街生檢査指針-1,擇發性鹽基窒素,日本街生協會,東京30-32(1960)
  13. Waters AccQ-Tag, Amino acid Analysis System, Operator's Manual(1993)
  14. 한국수산물성분표, 국립수산진흥원(1989_
  15. 변한석, 이태기, 여생규, 김선봉 : 박영호, 감자 마쇄물을 이용한 멸치젓갈의 숙성 조절, 한국수산학회지, 27(2),121(1994)
  16. 김동수, 김영명, 이영철, 도정룡. : 오징어 조미젓갈의 품질유지기한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26(1), 13(1993)
  17. Kim, S. M, Cho. Y. J. and Lee. K. T. : The development of squid sik-hae in Kang-Nung district. 2. The effects of fermentation temperatures and periods on the chemical and microbial changes, and the partial purification of protease. B. Korean Fish. Soc., 27(3), 223-231(1994)
  18. 이응호, 차용준, 이종수 : 저염정어리젓의 가공에 관한연구, 한국수산학회지, 16(2), 133-139(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