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Rosemary Leaf on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로즈마리 첨가가 김치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various levels of rosemary leaf during fermentation at 15$^{\circ}C$ were evaluated. Rosemary leaf amounts were added 0.5g(R0.5%), 1g(R1%), 1.5g(R1.5%) per brined chinese cabbage 100g. The pHs and reducing sugar contents of all experimental group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fermentation time, whereas levels of titratible acidity increased. The pHs and reducing sugar contents of experimental groups added rosemary leaf showed higher than control, but titratible acidity of these groups showed lower. Also, the period reached the maximum levels of the log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counts(cfu/ml) and total viable bacteria counts(cfu/ml) of experimental groups added rosemary leaf were more delayed than control.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fermentation of experimental groups added various levels of rosemary leaf were slower than that of control. On the 5th day of fermentation which had most delicious kimchi flavor, the sensory evaluation analyzed by ANOVA followe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showed that sour smell of experimental groups added rosemary leaf was significantly lower, but green flavor and green smell of these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p<0.05). The most preference among experimental groups was R0.5% and next was control, R1.5%, R1%.

소취효과, 항산화, 항균효과 둥의 기능성이 보고되어온 로즈마리를 0.5%, 1%, 1.5% 첨가한 김치를 제조한 후 15$^{\circ}C$의 온도에 저장하면서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과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대조군 김치에 비해 로즈마리를 첨가한 김치는 pH는 높았고, 산도는 낮았으며, 환원당 수준이 높았다. 또한 젖산균 및 총균수가 최고수치에 이르는 기간이 대조군 김치에 비해 늦어졌다. 이것은 로즈마리가 가진 항균력에 의해 젖산균의 생육이 억제되어 김치의 발효가 늦어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김치의 색도는 대조군 김치와 로즈마리 첨가 김치간에 차이가 났으며, 로즈마리 첨가량에 따라서도 색도에 변화에 차이가 있었다. 대조군 김치의 L, b값은 숙성기간중 변화가 없었으며 a값은 발효 4일까지 감소된 이후 증가되었으며, 로즈마리 첨가김치는 이와는 다른 양상이었다. 적숙기에 도달한 5일째 김치를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로즈마리 첨가김치는 대조군 김치에 비해 신냄새가 유의적으로 적어, 로즈마리는 김치의 신냄새를 제거하는 소취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로즈마리 첨가 김치는 대조군 김치에 비해 풋 냄새, 덜 익은 맛은 유의적으로 높았다. 전반적인 관능검사 결과 가장 기호도가 높은 김치는 로즈마리 0.5% 첨가 김치이었으며, 그 다음은 대조군 김치, 로즈마리 1.5% 첨가 김치, 로즈마리 1% 첨가 김치의 순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정원, 이태영 : 김치 숙성중의 비타민 C 함량의 소장(消長) 및 galacturonic acid 의 첨가 효고, 한국농화학회지, 24. 139-144(1981)
  2. 한지숙, 전영수, 박민정 : 녹차 및 늙은호박분말 첨가에 따른 갓김치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0. 1053-1060(2001)
  3. 박복희, 오봉윤, 조희숙 : 키토산 첨가에 따른 김치의 숙성 중 이화학적 특성, 한국가정과학회지, 5, 85-94(2002)
  4. 박우포, 박규동, 엄현섭 : 홍화씨: 분말 첨가가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9, 200-2052(2002)
  5. 박영희 : 토하젓 첨가 김치의 숙성중 관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인과 일본인을 대상으로 -, 제 13회 부산대학교 김치연구소 심포지움, 17-23(2001)
  6. 구영조 : 수출용 김치 제품 개발, 한국영양식량학회 심포지움, 12-13(1996)
  7. 北野 佐久子: Encyclopedia of herbs, Korea Gardening Technic Information Center, 218- 222(1996)
  8. Elena, I., Alejandro, C., Antonio, L.C., Francisco, J.S., Sofia, C. and Guillermo, R. : Combined use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micellar electrokinetic chromatography, and reverse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or the analysis of antioxidants from rosemary(Rosmarinus ofjicinalis L.), J Afric. Food Chem., 48, 4060-4065(2000) https://doi.org/10.1021/jf0002692
  9. Elena, I., Aranzaau, O., Gonzalo, M, Sara, L.S., Javier, T. and Guillermo, R. :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and fractionation of different preprocessed rosemary plants, J Agric. Food Chem., 47, 1400-1404(1999) https://doi.org/10.1021/jf980982f
  10. Wei, Z. and Shiow, Y. W. :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in selected herbs, J Agric. Food Chem., 49, 5165-5170(2001) https://doi.org/10.1021/jf010697n
  11. A.O.A.C. :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Virginia. p.918(1990)
  12. Miller, G. L. :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rn.. 31, 426(1959) https://doi.org/10.1021/ac60147a030
  13. 박건영, 이숙희, 조은주: 배추김치의 재료배합비 표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29, 1228-1235(1997)
  14. 한영실, 김순임, 박혜진, 이윤경 : 녹차의 첨가가 김치의 품질과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과학회지, 10, 315-321(1994).
  15. 정해옥, 박인덕, 정동욱 : 로즈마리 첨가 양파 김치의 저장 중 품질 특성, 한국조리과학회지, 18, 522-528(2002)
  16. 이승철, 이미정, 김한수, 박우포: 옥적골(烏賊骨) 첨가가 김치의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9. 592-596(2000)
  17. 민태익, 권채완: 김치발효에 미치는 온도 및 식염농도의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16, 443-451(1984)
  18. Chung, D.O., Park, I. D. and Jung, H. O. : Evaluation of functional properties of onion, rosemary, and thyme extracts in onion kimchi. Korean J. Soc. Food CookerySci.; 17,218-223(2001)
  19. 하덕모 : 김치의 발효경과 및 산패억제. 한국식품과학회 심포지움 발표논문집, 43-61(1994)
  20. 박상규, 강성국, 정희종: 떫은 감잎의 정유성분이 김치발효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미생물학회지, 22, 217-222 (1994)
  21. 박완수, 이인선, 한영숙, 구영조 : 분리저장한 절임 배추와 김치 속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 한국식품과학회지, 26, 231-239(1994)
  22. 홍석인, 박진숙, 박노현: 소포장 김치의 포장방법별 품질특성 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27, 112-119(1995)
  23. 박우포, 이동선, 안덕순: 포기김치와 맛김치의 온도별 품질특성 비교, 한국식품과학회지, 29, 784-789(1997)
  24. 김순동, 이명희, 이명숙, 노흥균: 김치액의 색상에 의한 배추 김치의 품질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1, 163-171(1992)
  25. 조재선: 김치의 연구, 유림문화사, 서울, p.286(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