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reliminary Study on Stratigraphy and Petrochemistry of the Okcheon Group, Southwestern Okcheon Metamorphic Belt

서남 옥천변성대 옥천층군의 층서 및 암석화학에 대한 예비연구

  • 유인창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김성원 (전북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 오창환 (전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이덕수 (전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e Okcheon Group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is subdivided into two distinct tectonostratigraphic units: the Boeun unit in the south and the Pibanryeong unit in the north. The Boeun unit consists of petites, psammites, carbonaceous petites, limestones and pebble-bearing quartzites. The Pibanryeong unit is composed of petites, well-sorted fine-grained psammites, carbonaceous psammites and quartzites. In order to outlining 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Okcheon Group, detailed stratigraphic sections were measured in three locations; one section(Gosan section) of the Boeun unit and two sections(Sorungjae and Hwangryeongzae sections) of the Pibanryeong unit. The Gosan section of the Boeun unit is interpreted to be deposited in the shallow marine environments, whereas the Sorungjae and Hwangryeonaiae sections of the Pibanryeong unit appear to be deposited in slope and deep basin environments. This result indicates rapid subsidence between deposition of the Boeun and Pibanryeong units in sedimentary environment. The trace of sedimentological environments in the Hwasan area was investigated by geochemical analysis of 109 metapelitic and psammitic rock samples. Distinct chemical variations of politic and psammitic rocks from the Boeun and Pibanryeong units in the study area are evident from plots of major elements and $A1_2O_3$/$SiO_2$ versus Basicity Index($Fe_2O_3{+}MgO$)/($SiO_2{+}K_2O{+}Na_2O$). The rocks show a progressive chemical trend from the Boeun unit to the Pibanryeong unit on these diagrams. They in the southern sector of the Boeun unit display lower values and a comparatively wide range of $A1_2O_3$/$SiO_2$ and Basicity Index, as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northern sector of the Boeun and Pibanryeong units. The southern sector of the Pibanryeong unit including narrow staurolite-bearing zone is characterized by values that are transitional between the Boeun and Pibanryeong units. These data, combined with depositional environment progressively deepened towards the northwest, support a half-graben model for the Okcheon basin, as proposed by Cluzel et al.(1990)

옥천변성대 서남부 화산지역은 남동부의 보은과 북서부의 피반령의 2개의 지구조 단위로 나누어진다. 보은 단위는 주로 변성퇴적암인 이질암, 사질암, 함탄질 이질암, 석회암 및 함력 규질암으로 구성되며, 피반령 단위는 이질암, 잘 분급된 세립질 함탄질 사질암 및 규암으로 구성된다. 화산지역의 퇴적환경에 대한 층서개요의 연구를 위하여 보은단위에서 1개 지점(고산) 및 피반령 단위에서 2개 지점(소룡재 및 황룡재)의 노두를 선정하여 각 단면에 대한 정밀 기재를 실시하였다. 고산지점에서는 천해성 역암들이 특징적으로 인지되나 소룡재 및 황룡재 지점들에서는 저탁류성의 퇴적체가 보여진다. 이러한 퇴적상의 공간적 분포는 분지의 남동쪽보다 북서쪽의 침강이 우세하였던 것으로 해석 될 수 있다. 화산지역의 퇴적환경을 유추하기 위하여 109개의 변성이질-사질암 시료를 채취하여 각 암석 시료들에 대한 화학 성분을 조사하였다. 화산지역에서 채취한 암석 시료들의 화학 성분 변화는 주성분원소들의 성분도와($A1_2O_3$/$SiO_2$)대(FeO+MgO)/$(SiO_2{+}K_2O{+}Na_2O$)Basicity Index:B.I.)의 분별도에 의해 남동부의 보은 단위층과 북서부의 피반령 단위층이 뚜렷이 구분되어 지며, 보은 단위층에서 피반령 단위층으로 갈수록 화학적인 성분의 변화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남부의 보은 단위층의 암석들은 북부의 보은단위 및 피반령 단위층의 암석들보다 상대적으로($A1_2O_3$/$SiO_2$) 및 Basicity Index가 낮고 넓은 성분범위의 값을 보여준다. 십자석을 포함하는 좁은 대를 가지는 피반령 단위층 남부지역 즉, 보은 단위층과 피반령 단위층의 경계를 이루는 지역에서 채취된 암석 시료들은 보은 단위층에서 피반령 단위층으로 전이되는 중간 성분 값의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암석 화학 성분 차이는 남동에서 북서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깊어지는 퇴적환경학적 해석과 함께 비교할 때 Cluzel et al.(1990)에 의해 제시된 옥천분지의 반지구대(half graben) 모델과 잘 부합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지질학회지 v.31 증펴_덕평지역에 분포하는 중부 옥천 변성대의 변성 지구조적 진화 김현철;조문섭;고희재
  2. 지질학회지 v.31 옥천변성대 서남부지역부에서의 변성진화과정 오창환;김선태;이정후
  3. 지질학회지 v.34 옥천변성대 남서부지역의 광역변성작용과 접촉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오창환;김성원;이정후
  4. 암석학회지 v.8 청주_미원지역 중부옥천대의 변성진화과정 오창환;권용완;김성원
  5. 2002년도 한국암석학회 학술답사 안내서 옥천변성대 서남부지역 변성퇴적암 오창환;김성원;유인창;이덕수
  6. 대한지질학회지 v.33 삼척 탄전 장성 지역에 분포하는 폐름기 장성층의 층성에 대한 재고찰 유인창;도성재;백광호;최선규
  7. 한국지질도(1:250,000) 대전 지질 도폭 지질도 및 설명서 이병주;김동학;최현일;기원서;박기화
  8. 서남 옥천대의 지질-이종혁 교수 정년퇴임 기념 논집 옥천누층군의 지질 이종혁
  9. 지질학회지 v.24 옥천대 남부지역 옥천층군의 지질구조 및 층서 장태우;이재영;윤선
  10. 암석학회지 v.11 중부 옥천변성대의 변성진화: 최근의 연구결과 논평 및 문제점 조문섭;김현철
  11. Tectonophysics v.183 Geodynamics of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Cluzel,D.;Cadet,J.P.;Lapierre,H. https://doi.org/10.1016/0040-1951(90)90187-D
  12. Tectonics v.10 Early Middle Paleozoic intraplate orogeny in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A new insight on the Paleozoic buildup of East Asia Cluzel,D.;Jolivet,L.;Cadet,J.P. https://doi.org/10.1029/91TC00866
  13. Journal of Geology v.93 Punctuated aggradational cycles: A general hypothesis of episodic stratigraphic accumulation Goodwin,P.W.;Anderson,E.J. https://doi.org/10.1086/628978
  14. Journal of Geology v.93 Punctuated aggradational cycles: A general hypothesis of episodic stratigraphic accumulation Goodwin,P.W.;Anderson,E.J. https://doi.org/10.1086/628978
  15. Geoscience Journal v.3 Polymetamorphism of Ogcheon Supergroup in the Miwon area, central Ogcheon metamorphic belt, South Korea Kim,H.;Cho,M. https://doi.org/10.1007/BF02910271
  16. Gondwana Research v.5 Metamorphic K-feldspar in low-grade meta-sediment from the Ogcheon metamorphic belt in South Korea Kim,S.W.;Itaya,T.;Hyodo,H.;Matsuda,T. https://doi.org/10.1016/S1342-937X(05)70918-7
  17. Lithos v.43 Metamorphic evolution of the north western Ogcheon metamorphic belt, South Korea Min,K.;Cho,M.; https://doi.org/10.1016/S0024-4937(98)00006-1
  18.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31 The P-T Condition and Timing of the Main Metamorphism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Okchon Metamorphic Bellt Oh,C.W.;Kim,S.T.;Lee,J.H.
  19. Earth Scince (Chikyu Kagaku) v.50 Sandstone geochemistry, provenance, and tectonic setting: 2.-Effects of the grain size on the Al₂O₃/SiO₂-Basicity Index diagram, and application to recycled and medium-grade metamorphic terranes of New Zealand Roser,B.P.
  20. Facies v.46 Carbonate breccias in the Lower-Middle Ordovician Maggol Limestone (Taebaeksan Basin,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regional tectonism Ryu,I.C.;Doh,S.J.;Choi,S.G. https://doi.org/10.1007/BF02668072
  21. SEPM Mid-Year Meeting Reservoir facies distribution as controlled by sea-level change (Abs. and poster session) Van Wagoner,J.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