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haracterizing the Boundary Shape and Size of Land Use Patches in Mountain Village, South Korea: Cases of Sansu and Ajick Villages in Gimje City, Jeonlabukdo

산촌마을의 토지이용 패취 크기와 경계형태 특성에 관한 연구 - 전북 김제시 금산면 선동리 아직마을과 산수마을을 대상으로 -

  • Published : 2003.10.01

Abstract

A mountain village is defined as that which is autogenously formed over at least 100 years and supported by agricultural yields and forest products and forest area portion of which is over 70% in Guidelines for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ning of Mountain Village. Recently, concerns about management planning of the Green and Eco-Village causes researches related to the Mountain Village's economics, tourism attractiveness, experience programming and investigation of the ecosystem and environment based on the village area. This kind of eco-village project should be supported by ecological evaluation of its spatial structure. But there is rare research of the village spatial structure studied from the ecological viewpoint origin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spatial structure of Korean mountain village on the landscape ecological paradigm. The paradigm components are patches, corridors, networks, and matrix which explain the land and spatial structure at landscape scale.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two case study areas- Sansu and Ajick villages in Gimje city, Jeonlabukdo. We interpreted and evaluated the spatial structure by three steps: (1) to clarify the existing land mosaic pattern by land use mapping (2) to estimate the pore size as development area in matrix (3) to investigate the funnel effect of patch shape. These landscape ecological steps and frameworks could be applied for the proper methodology as fundamentals of eco-village planning and design.

우리나라 산촌마을의 경관구조를 경관생태학적 패러다임인 토지 모자이크 모형에 의해 해석하였다. 상대적으로 개발의 영향이 적게 작용하여 산림청의 산촌종합개발사업 대상마을로 선정된 전북 김제시 선동리 아직, 산수마을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마을유역의 면적(2.8∼2.0㎢), 마을구역 및 농경지의 면적율(27%), 숲의 면적율(73%)이 조사되었다. 패취 경계형태의 깔때기 효과 특성은 3차원적 지형요소와 풍수지리적 형국도를 원용하여 해석할 수 있었다. 패취 경계형태의 깔때기는 동물이동 주요 통로로 보며 하천에 의하여 형성되는 만입부는 물과 대기 흐름의 장소로 동시에 적용될 때 물질흐름이 해석될 수 있었고, 이러한 깔때기 효과의 개념은 풍수지리에서 사용되는 형국도에서 중심축과 지류축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내용은 산촌생태마을 계획. 설계 시 보전해야 할 숲의 적정 크기와 하천 및 능선의 녹지축 net-working을 하기 위한 기본적 틀로서 적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진. 1997. 경주 양동마을의 해석과 보존방법론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강선중. 1990. 마을의 공간체계와 구성방법. 월간 plus 149호. 서울. pp. 148-152
  3. 김덕현. 1983. 씨족 촌락의 형성과정과 입지 및 유교문화경관.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4. 김두규. 2002. 한국 풍수지리 물형에 관한 개인 자료. 우석대학교. 삼례.
  5. 김용미. 1985. 한국 농촌마을의 건축적 질서에 관한 연구-6개 마을 현황분석을 중심으로-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원명. 1990. 야생동물의 생태를 기초로 한 수렵장 조성모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23-28.
  7. 김제군. 1994. 김제군사. p. 1494.
  8. 김홍식. 1975. 마을공간구성방법에 대한 한국 전통건축사상연구. 대한건축학회지 64: 48.
  9. 국립지리원. 1998. 지형도. 중앙지도문화사. 서울.
  10. 녹색연합. 1998. 무주군 진도리 생태마을 조성계획. 전국 귀농운동 본부. 서울.
  11. 녹색연합. 1998. 장화리 생태마을 조성계획. 강화도의 지속가능한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강화도 시민연대. pp. 198-245.
  12. 녹색연합. 1999. 건천리 산촌생태마을 조성계획. 금산군.
  13. 녹색연합. 2000. 경남 산청군 신안면 간디생태마을 기본계획. 간디학교장.
  14. 류재영. 1993. 전북전래지명총람. 민음사. 서울. p. 280.
  15. 민숙희. 1990. 산촌의 형성과 그 지역적 특성.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박배식, 성하운 역. 1993. 카오스. Gleick. J. Chaos. 동문사. 서울. pp. 105-153.
  17. 서창완. 2000. GIS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멧돼지 서식지 모형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2-13.
  18. 신상섭. 2001. 하회 마을에 작용된 2원적 공간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37: 1-12.
  19. 이도원. 2001. 경관생태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pp. 32-34, p. 214.
  20. 이도원. 2000. 군집 수준 이상에서의 보전. 김진수 등 (편저) "보전생물학"에서, 사이언스북스. 서울. pp. 187-245.
  21. 이명우.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생태환경분석 및 적지분석: 자연생태계 보전지역 설정 및 평가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6-2: 61-80
  22. 이정근. 1972. 한국 자연부락의 공간구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임업연구원. 1992. 임상도. 산림청. 서울.
  24. 양병이. 2000. 생태마을 조성을 위한 환경계획 및 설계. 이병철 등(편저) "생태마을 길잡이"에서, 녹색연합. 서울. pp. 87-102.
  25. 유우익. 1988. 산촌지역 정주체계의 정비 방안 연구. 농업진흥공사. 서울. p. 8.
  26. 전봉희. 1992. 조선시대 씨족마을의 내재적 질서와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8.
  27. 전봉희. 2001. 마을연구의 현황 및 과제. 한국건축역사학회 창립 10주년기념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30-42.
  28. 최영철, 박명덕. 2001. 풍수사상에 대한 기존의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건축역사학회 창립10주년기념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 96.
  29. 최창조. 1984. 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서울. p. 288.
  30. 최창조. 1997. 한국의 자생풍수 2. 민음사. 서울. p. 362.
  31. 최태영. 2002. 설악산 국립공원의 산양특별보호구역 설정.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75.
  32. 한필원. 1991. 농촌 동족마을 공간구조의 특성과 변화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22.
  33. 홍선기, 김동엽 역. 2000. 토지 모자이크. Forman, R.T.T. Land mosaics.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서울. pp. 6-7.
  34. Buuren, M. 1994. The hydrological landscape structure as a basis for network formulation: a case study for the Regge catchment(NL). In E.A. Cook and H.N. Lier(eds.), Landscape planning and ecological networks. Elsevier, Amsterdam. pp. 117-136.
  35. Forman, R.T.T. 1995. Land mosaics. Cambridge. New York. pp. 5-7, p. 59, p. 128.
  36. Forman, R.T.T. and M. Gordon. 1986. Landscape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157-187.
  37. Gleick, J. 1987. Chaos. Penguin Books. New York. pp. 83-118.
  38. Hansen-Moller, J. 1994. Recreation, reproduction and ecological restoration in the Greater Copenhagen region. In E.A. Cook and H.N. Lier(eds), Landscape planning and ecological networks. Elsevier, Amsterdam. pp. 225-247.
  39. MacArthur, R.H. and E.O. Wilson. 1967.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p. 9.
  40. McHarg, I.L. 1969. Design with nature. Dobleday/ National History Press. New York.
  41. Mandelbrot, B.B. 1977. Fractals. W.H. Freeman and company. San Francisco. pp. 27-47.
  42. Marsh, W.M. 1998. Landscape planning. John Wiley & Sons. New York. p. 151, p. 176.
  43. Odum, E.P. 1971. Fundamentals of ecology. W.B. Saunders. Philadelphia. p. 3.
  44. Ryn, S. and S. Cowan. 1996. Ecological design. Island press. Washington, DC. p. 38.
  45. Whittaker, R.J. 1998. Island biogeography. Oxford. pp.197-199.
  46. Zonneveld, I. 1994. Landscape ecology and ecological networks. In E.A. Cook and H.N. Lier (eds.), Landscape planning and ecological networks. Elsevier, Amsterdam. pp. 13-26.

Cited by

  1. Landscape ecology planning principles in Korean Feng-Shui, Bi-bo woodlands and ponds vol.2, pp.2, 2006, https://doi.org/10.1007/s11355-006-00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