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idification of Frying Oil Used for Chicken

튀김닭에 사용하는 튀김유의 산패

  • 박건용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 김애경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 박경애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 정보경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 배청호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 김명희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Published : 2003.03.01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frying at fried chicken shop, taste and thinking refer to fried chicken in the consumer. The acidification of frying oil was determined as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fatty acid composi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oybean oil was used for frying at a fried chicken shop at 170∼18$0^{\circ}C$ for 10∼ 15 min and replaced by every thirty cycles. 2) 76.2% of the consumer among answerers far the question thought that the oil of frying could be harmful to health. 3) The AV and POV were increased while chickens were fried after thirty cycles successively, but the values were lower than a standard level of fried-food. 4) The acidification of fried oil was in progress when chickens were fried for ten days by three times a day, but the value was low. 5) The AV of raw chicke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time goes, suggesting that a fresh chicken should be chosen.

튀김닭 전문점의 튀김조건 및 소비자에 대한 기호도 조사와 튀김닭에 사용하는 식용유지의 산패에 관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튀김닭 전문점에서의 닭의 튀김조건을 조사한 결과 사용유지는 주로 콩기름이었으며 튀김온도는 170∼18$0^{\circ}C$, 튀김시간은 10∼15분, 튀김유 교체는 30번 정도 튀긴 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튀김닭에 대한 소비자 기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보면 응답자 중 76.2%가‘튀김유가 유해할 것이다’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튀김유를 매일 교체해야 한다(50.8%)고 생각하고 있으나 업체에서는 3∼4일 정도는 사용할 것이다(37.3%)라는 추측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튀김닭 전문점의 튀김조건에 맞춰 닭을 튀겨 튀김횟수에 따른 변화를 측정한 결과 AV및 POV는 같은 기름으로 30번 정도를 튀겼을 때 그 값이 약간씩은 증가했으나 튀김식품의 기준치에는 미치지 못하는 값으로 튀김유의 산패 진행이 많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4. 닭을1일 3회씩 10일간을 튀겨 튀김일수에 따른 산패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어느 정도의 산패가 진행되고 있었으나 그 진행의 수준은 낮은 편이었다. 5. 생닭의 경우 보관기간에 따라 AV가 높게 증가하여 닭의 신선도가 튀김유의 산패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튀김시 생닭의 선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춘자, 박해원, 허채옥: 단체급식소에서 식용유 사용실태 조사 및 식용유를 이용한 음식개발에 관한 연구, 식품산업과 영양, 2, 33-40 (1997)
  2. 이준식, 조세영, 최성기: 콩기름의 식품산업에서의 이용, 식품산업과 영양, 1, 27-36 (1996)
  3. 최홍식: 지방질의 과산화와 영양,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3, 867-878 (1994)
  4. Walter L. Clark and George W. Serbia: Safety aspects of frying fats and oils, Food Tech. 45, 84-89 (1991)
  5. R.A. Yates and J.D. Caldwell: Adsorptive capacity of active filter aids for used cooking oil, J. Am. Oil Chem. Soc. 69, 894-897 (1992) https://doi.org/10.1007/BF02636340
  6. R.A. Yates and J.D. Caldwell: Regeneration of oil used for deep frying, A comparison of active filter aids, J. Am. Oil Chem. Soc. 70, 507-511 (1993) https://doi.org/10.1007/BF02542585
  7. 김인환, 김영순, 최양문: 대두유와 돈지의 가열산화 안정성에 미치는 표면적의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30, 781-786 (1998)
  8. 최은옥, 이진영: 증숙면 튀김 과정 중 대두유, 우지, 팜유의 가열산화 안정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0, 288-292 (1998)
  9. 이주영, 이현규, 송은송: 냉동탕수욕의 튀김횟수에 따른 튀김유지의 산화안정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9, 231-234 (2000)
  10. 이근태, 박성민, 황영길, 강옥주: 가열산화에 의한 대두유와 면실유의 물리화학적 특성변화와 상관관계,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3, 654-659 (1994)
  11. Kazuo kitagawa, Shizuyuki ohta and Hiroshi okuda: Influences of heating methods of fryer on the deterioration of frying oil, J. Jap. Oil Chem. Soc. 41, 1071-1076 (1992) https://doi.org/10.5650/jos1956.41.1071
  12. Masahisa takasago, Koichi kobayashi, Yasunori tarn and Kyo takaoka: Influence of dissolved water on autoxidation soybean oil, J. Jap. Oil Chem. Soc. 41, 485-488 (1992) https://doi.org/10.5650/jos1956.41.485
  13. Yan-hwa Chu and Shiuan Luo: Effects of sugar, salt and water on soybean oil quality during deep-frying, J. Am. Oil Chem. Soc. 71, 897-900 (1994) https://doi.org/10.1007/BF02540470
  14. K. Warner and T.L. Mounts: Frying stability of soybean and canola oils with modified fatty acid compositions, J. Am. Oil Chem. Soc. 70, 983-988 (1993) https://doi.org/10.1007/BF02543024
  15. Jose Benedito, Antonio Mulet, J. Velasco and M. Carmen Dobarganes: Ultrasonic assessment of oil quality during frying, J. Agri. Food Chem. 50, 4531-4536 (2002) https://doi.org/10.1021/jf020230s
  16. C. Cuesta, F.J. Sanchez-Muniz, C. Garrido-Polonio, Lopez-Varela and R. Arroyo: Thermoxidative and hydrolytic chandes in sunflower oil used in fryings with a fast turnover of fresh oil, J. Am. Oil Chem. Soc. 70, 1069-1073 (1993) https://doi.org/10.1007/BF02632144
  17. A Sulaeman, L. Keeler, D.W. Giraud, S.L. Taylor, R.L. Wehling and J.A. Driskell: Carotenoid content and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arrot chips deep-fried in different oils at several temperatures, J. Food Science 66, 1257-1264 (2001) https://doi.org/10.1111/j.1365-2621.2001.tb15198.x
  18. 주광지, 하계숙: 일반시장에서 튀김식품에 사용된 기름의 화학적 변화,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8, 247-254 (1989)
  19. 최은옥, 가열시간과 저장온도가 가열팜유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29, 407-411 (1997)
  20. 조은자, 안은숙, 신동화: 시장내 튀김 식품의 유통 및 미생물 변화와 유통기간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2, 47-54 (1997)
  21. Michael H. Gordon and Eltigani Mursi: A comparison of stability based on the Metrohm Rancimat with storage at $20^\circ$, J. Am. Oil Chem. Soc. 71, 649-651 (1994) https://doi.org/10.1007/BF02540595
  22. 서은숙, 한소현, 문범수: 단체급식소 및 가정에서 식용유의 사용실태와 산패도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9, 213-220 (1994)
  23. 주광지: 시판 튀김식품의 지질함량과 지방산조성, 한국영양학회지, 20, 162-166 (1991)
  24. 보건복지부: 한국식품성분표 (1996)
  25. C.Y.S. Yang and A.C. Peng: Analysis of soybean oil from ohio, J. Am. Oil Chem. Soc. 67, 594-596 (1990) https://doi.org/10.1007/BF025407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