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Dry Matter Yield and Quality of Turf Grasses

Turf Grass 초종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연구

  • Published : 2003.09.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ry matter yield and quality of six turf grasses, and thus to apply its result into making mixed species in the mixtures. The six turf grasses were Kentucky bluegrass(Newport), red fescue(Salem), creeping bentgrass(Crenshaw), perennial ryegrass(Palmer Ⅱ), tall fescue(Rebell Jr.) and redtop(Barricuda).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3-years at grassland experimental field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he dry matter(DM) yield obtained in tall fescue and redtop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species(p<0.05). Consideration of crude protein content and dry matter digestibility(DMD), the species of high quality compared to the other species were creeping bentgrass, perennial ryegrass, and Kentucky bluegrass. The crude protein dry matter yield was higher in Kentucky bluegrass and redtop, it was lower in red fescue(p<0.05). On the other hand, digestible dry matter(DDM) yield was higher in tall fescue and redtop, but lower in creeping bentgrass and red fescue(p<0.05). Based on the result mentioned abov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urf grasses such as tall fescue, Kentucky bluegrass and redtop are recommended as species of turf grass which could be used as bottom grasses in mixtures.

본 시험은 국내에 도입된 잔디형(turf type) 초종을 공시하여 이들 초종의 수량과 사료가치 등을 상호 비교하여 혼파초지를 조성하는데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은 1999년 9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대학내 부속 초지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공시된 잔디형 초종은 Kentucky bluegrass(Newport), red fescue(Salem), creeping bentgrass(Crenshaw), perennial ryegrass(Palmer II), tall fescue(Rebell Jr.) 및 redtop(Barricuda) 등 6초종 이었으며, 얻어진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년 평균 ha당 건물수량은 tall fescue (11,439kg)와 red top(11,312kg)이 다른 초종에 비하여 높았다(P <0.05). 2. 조단백질 함량과 건물소화율이 높은 초종은 creeping bentgrass, perennial ryegrass 및 Kentucky blueuass 등이었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초종은 redtop, red fescue 및 tall fescue 이었다. 3. 3년 평균 ha당 조단백질 수량(CPDM)은 Kentucky bluegrass(2,329kg)와 redtop(2,300kg)이 높았던 반면에, red fescue(1,646kg)가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가소화건물수량(DDM)은 tall fescue(8,995kg)와 redtop(8,896kg)이 높았던 반면에, creeping bentgrass(7,152kg)와 red fascue(6,966kg)는 낮은 편이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혼파초지에 보조초종으로 기대되는 잔디형 초종은 tall fescue, Kentucky bluegrass 및 redtop 이라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2. Crampton, F.W. and L.A. Maynard. 1938. The relation of cellulose and lignin content to the nutritive value of animal feeds. J. Nut. 15:383-395
  3. Go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 Handbook. No. 379. ARS. USDA. Washington, D, C
  4. Tilley, J.A.M. and R.A. Terry. 1963. A two stage technique for in vitro digestibility of forage crops. J. Brit. Grassl. Sci. 18-104-111 https://doi.org/10.1111/j.1365-2494.1963.tb00335.x
  5. 강정훈, 박병훈, 유시룡, 한흥전. 1985. 도입목초의 생산력 검정시험. 축시연보. 738-753
  6. 김내수, 김정우, 박홍양, 상병찬, 여정수, 전광주, 최광수, 홍기창. 1995. 응용통계학. 유한문화사. 서울
  7. 김득수, 이인덕, 이형석. 2001a. 야생화 도입 초지의 건물수량 및 품질에 관한 연구. 한초지 21(3): 115-122
  8. 김득수, 이인덕, 이형석. 2001b. 야생화 도입 초지의 생육특성, 식생비율 및 동물상에 관한 연구. 한초지 21(4):233-246
  9. 박근제, 한흥전, 이종열. 1975. 화본과 사료작물 도입시험. 축시연보. 540-542
  10. 박근제, 권두중, 이재선, 이종열. 1977. 도입목초의 수량검정시험. 축시연보. 871-893
  11. 설동섭. 1988. 한국사료성분표. 농진청 축산시험장. 한림저널사. 서울. 96-120
  12. 이인덕, 이형석. 2003. 상번초 및 상 . 하번초형 혼파초지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연구.
  13. 이재선, 한흥전, 양종성, 이종열. 1974. 화본과 사료작물 도입품종 비교시험. 축시연보. 561-586
  14. 축산기술연구소. 2002. 한국표준사료성분표. 문영당. 수원. 386-437
  15. 한흥전, 양종성, 한정대, 김형호. 1972. 사료작물 도입품종 비교시험. 축시연보. 366-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