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lor comparison of Korean Saek-dong and Italian Futurist Fashion

한국의 색동과 이탈리아 미래주의 복식의 색채 비교 연구

  • Published : 2003.08.01

Abstract

A Study on the color comparison of Korean Saek-dong and Italian futurist fashion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the color scheme and its characteristics as a product of living culture are strongly reflected in clothing.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color comparison of Korean Saek-dong which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Korean clothing and Italian futurist fashion which showed dynamic characteristics and brilliant col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ternal format, emotions, functions and meanings of the colors in Korean Saek-dong and Futurist fashion, and to fi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m are harmony of vivid colors like a rainbow, no-use of black color and expression of rhythm through repeated geometrical shapes. They have been used as festive costumes and have implied meaning of happiness and pleasure. The differences, in the external formats, are as follows. Korean Saek-dong has striped patterns including the color white, and has regular distances among the stripes. But, Futurist fashion includes luminous or fluorescent colors and metallic colors. In addition, it has repeated motifs of geometrical shapes and geometrically divided areas. While Saek-dong expresses Sangsaeng through the conceptual use of color, Futurist fashion shows simultaneity, speed and dynamics through spiritual functions of crossing and inter-penetration. In emotional aspect, Saek-dong expresses pleasure of children's mind and Futurist fashion expresses pleasure of city. In functional aspect, Saek-dons expresses a concept of ceremonial beauty, which is spiritual and symbolizes good auspices, holiness and sorcery. So it is used for ceremonial costume. But, Futurist fashion reflects the harmony of colors created from modem and urban images and shows the willingness and emotion of solving futuristic avant-garde, modernity, dynamics, transformation and bellicosity. So it is used for daywear. While Saek-dong represents succession of tradition, Futurist fashion represents resistance of tradition in cultural aspects.

Keywords

References

  1. 강윤숙(1994). 복색의 상징적 의미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구미례(1992). 한국인의 상징세계. 서울: 교보문고
  3. 국립민속박물관(1995). 광복50주년 기념 한국복식2천년.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4. 국립중앙박물관(1988) 한국의 미 의상,장신구, 보.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5. 금기숙(1994). 조선복식미술. 서울: 열화당
  6. 김동욱, 류송옥(1980). 한국민속대관:의생활.서울: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7. 김분옥(1972). 한복구성. 서울: 서울대학교출판사
  8. 김영숙(1988). 한국 복식사에 나타난 전통색 연구.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영자(1992). 한국의 미의식. 서울: 민음사
  10. 김용숙(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서울: 일지사
  11. 김용운, 김용국(1998). 동양의 과학과 사상(제5판). 서울: 일지사. 김용훈(1991). 한국 전통색의 기호화 연구, 한국전통 표준색명 및 색상 제 1차시안. 서울: 국립현대 미술관
  12. 김의숙(1993) 한국민속제의와 음양오행. 서울: 집문당
  13. 나승미(1995). 색동에 나타난 색의 상징성에 관한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2000). 한국전통 어린이 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15. 류시숙(1992). 한국 현대회화에 나타난 미래주의적요소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상의(1978). 색동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종찬(1994). 이태리 현대 산업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백영자(1993). 한국의 복식. 서울: 경춘사
  19. 송명견(1974). 우리나라 혼례복 변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신상옥(1989). 서양복식사 서울: 수학사
  21. 원미량(1975). 청색을 통해 본 중국 개념색의 문제.공간,102
  22. 이경자(1991). 한국복식사론. 서울: 일지사
  23. 이금희(1999). 이탈리아 미래주의 복식 선언문과 그복식 연구. 복식문화연구, 8(1)
  24. 이금희(1999). 20세기 초 이탈리아 예술가의 실험예술 의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이순홍(1988). 한국혼례의식에 관한 복식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이은봉(1985). 음양사상의 해석학적 설명, 한국종교의이해. 서울: 집문당,229-240
  27.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1995)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특별전 도록(23) 복식.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28. 임동권(1956). 민속상으로 본 색채관-적청을 중심으로. 현대문학 7호. 서울: 현대문학사
  29. 정수미(2001). 한국의 굿놀이(하) 마을굿,풍물굿,개인무굿. 서울: 서문당
  30. 정인승외(1976). 한국어대사전. 서울: 현문사
  31. 조효순(1988). 한국복식 풍속사 연구. 서울: 일지사
  32. 조희래(1995). 한국적 복식 디자인을 위한 색동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차용준(1999). 한국인의 전통사상. 전주: 전주대학교출판부
  34. 하용득(1986). 한국의 전통색과 색채심리. 서울. 명지출판사
  35. 한국 민족문화 연구원 편찬부 (1989),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6. 한국복식문화 2000년 조직위원회 (2001). 우리 옷 이천년 문화관광부
  37. Arwas, Victor (1986). Art Deco. New York:Harry N,Arams. InC
  38. A 하우저 v(1974). 문학과 예술의 사회화(현대편). 백닥청 . 염무응 역, 서울: 창작과 비평사
  39. Brill, Susanne (1989). Marinetti: The Futurist cook book. San Francisco: Bedford Art
  40. Braun, Emily (1995). Futurist Fashion. Art Journal, 49(1), 34-41
  41. Crispolt, Enrico (1986). II Futurismo e la Moda. Venezia: Marsillo
  42. Davis, Marian (1980). Visual Design in Dress. New Jersey: Prenyice-hall
  43. H. Bergson (1980). 창조적 진화. 정한택 역/ 서울: 박영사
  44. Heller, Steven& Fili, Louise (1993). Italian Art Deco. Sanfrancisco:Chronile Books
  45. Joshua, C. Taylor(1961). Futurism. New York: The Museum of modem Art
  46. Lista, Giovanni(1991).미래파. 정진국 역/ 서울:열화당
  47. Lista, Giovanni (1984). Giacomo Balla Futuriste. trans. Marfaret Yaldwin, Lausanne: L'Age d'Homme
  48. Lista, Giovanni (1982). Balla. trans. Howard Rodger MacLean, Modena:Galleria Fonte d'Abisso
  49. McLeod, Mary (1994). Undressing Architecture: Fashion, Gender, and Modernity, in Architecture: In Fashion.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50. Mary and Dietfied Gerdhardus (1979). Cubism and Futurism. trans. John Griffiths, London: Phaidon . Oxf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