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Premarital Preparation of Single Men and Women

미혼남녀의 결혼준비도

  • 김혜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
  • 이정읍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 Published : 2003.0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marital preparation of single men and women. The number of subjects was 393 premarital couples(196 males and 197 females) in Seoul, Incheon, Daejeon, Gwangju, Pusan and Daegu.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premarital preparation evaluation scale developed by Kim Hye Seon & Shin Soo Ah(2002).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ies, percentages, mean, Cronbach's α, t-test, ANOVA, Duncan-test.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remarital preparation status was somewhat higher than average and the level of premarital preparation awareness was very high. Second, preparation status of premarital couples w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by some variables including sex, age, occupation, the period of dating, religion. Third, preparation awareness of premarital couples was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by some variables including sex, age, academic ability, the period of dating.

Keywords

References

  1. 김광률(2001). 기독교인 결혼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양희, 이형실(1997). 결혼과 가족. 서울: 중앙대학교출판부
  3. 김영경(2000). 기혼남녀의 혼전.혼후 배우자 선택에 대한 태도 변화.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혜석(1990). 결혼준비 성인교육 프로그랩 개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혜선, 박혜인, 옥선화(2002). 가족관계학. 서울: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6. 김혜선, 박희성(2001). 델파이조사를 이용한 결혼준비진단에 관한 기초연구. 대한가정학회, 39(7), 125-142
  7. 김혜선, 신수아(2002). 결혼준비도 척도 개발 연구-기혼남 . 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0(3), 41-53
  8. 문화일보. 2002년 10월 5일자
  9. 박미경(1997). 예비부부를 위한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송성아(2002). 결혼 전의 심리적 준비와 배우자선택을 위한 기독상담연구: 배우자선 택시기의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오윤자(1994).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이현송(1997). 배우자 선택과정의 변화와 결정요인. 가족과 문화, 9, 3-28
  13. 장설희(2000). 배우자 선택의 선호요인에 관련된 변인들.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정미향, 김득성(2001). 결혼 전 관계향상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검정.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4), 69-83
  15. 정민자(1996).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 I. 대한가정학회지, 34(4), 373-391
  16. 정유경(2001). 효과적인 결혼준비를 위한 교육과정. 침례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조성미(2002). 자아분화 향상을 위한 교회내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최규련(1997). 부부대화법 프로그램의 힌국에서의 적용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 141-166
  19. 통계청(2002). 인구주택총조사
  20. Center for Marriage and Family (1995). Marriage preparation in the catholic church: Getting it right. Omaha, NE: Creighton University
  21. Fowers, B. J. & Olson, D. H. (1989). ENRICH Marital inventory: A discriminant validity and cross-validity assessment.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15, 65-79 https://doi.org/10.1111/j.1752-0606.1989.tb00777.x
  22. Fowers, B. J., Montel, K. H. & Olson, D. H. (1996). Predictive validity of types of premarital couples based on PREPAR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2, 103-119 https://doi.org/10.1111/j.1752-0606.1996.tb00190.x
  23. Fowers, B. J. & Olson, D. H. (1986). Predicting marital success with PREPARE: A predictive validity study.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llerapy, 12, 403-413 https://doi.org/10.1111/j.1752-0606.1986.tb00673.x
  24. Manson, M. P. (1965). California marriage readiness evaluation manual. WPS
  25. Olson, D. H. & Olson, A. K. (1999). PREPARE/ENRICH Program:Version 2000. Journal of Family Ministry, 11(4), 28-53
  26. Stanley, S. M & Markman, H. J.(1997). Marriage in the 90s: A nationwide random Phone Survey. Denver, Colorado: PREP, Inc
  27. http://relate.byu.edu
  28. http://www.foccusin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