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Enhancing to Understand Generations between Adolescent Children and Parents

청소년자녀와 어머니를 위한 세대간 이해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

  • 김명자 (숙명여자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 이정우 (숙명여자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 계성자 (숙명여자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 박미석 (숙명여자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 송말희 (숙명여자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 김경아 (숙명여자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 박수선 (숙명여자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 유을용 (숙명여자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 정진희 (숙명여자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Published : 2003.01.01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children and parents has a profound effect on not only the adolescents development into healthy adults but also the psychological welfare of the parent. A program focused to improve adolescents relationship with parents has not been developed until now. To achieve the educational goals enhancing mutual understanding, it is more effective to educate both the parents and adolescent children. Thus, this study developed and carried out a program in which adolescent children and mothers, being fully in charge of raising children, participated. The study analyzed the program effects after implementing on 6 pairs of adolescent children and mot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dolescent children and mothers placed high values on the fact that they can understand each other well, 2) both parties accepted each other by recognizing the inevitability of the generation gap, and 3) the program gave them a chance to admit that they should try to communicate openly. Most of all, adolescent children could find self-confidence while mothers could collect valuable data essential to raise children and build a new mother's role model adapting to social changes.

Keywords

References

  1. 권이종(2000). 청소년교육개론 신세대의 이해와 지도- 서울: 교육과학사
  2. 권이종, 남종걸, 차경수, 최충옥, 최운실, 최운진(2001). 청소년교육론. 서울. 양서원
  3. 김경신 (1999). 가족관계와 청소년, 뉴 밀레니엄 시대의 가족과 청소년: 변화와 복지. 한국가족복지학회.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1-21
  4. 김명자, 이정우, 계선자, 박미석, 박수선(2000). 새 밀레니엄에서의 청소년문화창조를 위한 생태학적 지원체계 (II)-청소년자녀와 부모가 인지한가족의 심리적 환경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8(9), 41-55
  5. 김명자, 이정우, 계선자, 박미석, 송말희(2000). 새 밀레니엄에서의 청소년문화창조를 위한 생태학적 지원체계(1). 청소년의 발달과업 성취를위한 프로그램 요구도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8(8), 125-140
  6. 김명자 (1994). 대입 수험생 가족의 전반적 현황 및 문제 한국가족학연구회편 자녀교육열과 대학입시. 하우, 85-122
  7. 김순옥(1997). 부모교육프로그램 : 자녀와의 대화법, 한국가족관계학회 추계학술대회발표집. 가족생활교육의 과제와 전망, 47-64
  8. 김순옥, 송현애 (1998). 자녀와의 대화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모형개발 및 효율성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1), 93-119
  9. 김애순, 윤진 (1997). 청년기갈등과 자기이해.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0. 김영희, 김운주, 박경옥, 이희숙, 김창기 (2000). 저소득층 가정 청소년의 일탈행동 예방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6), 149-169
  11. 김용석, 박명숙(2000). 청소년문제행동의 공통요인으로서의 부모의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가정사회복지학, 42, 83-106
  12. 김은미 (1999) 가정정보화와 사이버 가족, LG 커뮤 니카토피아연구소 편. 정보혁명 . 샘활혁명, 의식혁명. 백산서당
  13. 김현주 (2001). 청소년과 대중스타, 미래인력연구TPSXK. CJD소년의 일상과가족. 미래인력연구센터
  14. 김현주 (2001). 청소년과 대중스타, 미래인력연구TPSXK. CJD소년의 일상과가족. 미래인력연구센터
  15. 김희진, 김경호 ( 1999) . 건강가정과 신세대.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16. 백양희, 최외선1997). 환경변인 및 내적 통제력,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5(2), 33-47
  17. 변화순(1997). 2010 년 정보사회에서의 가치관의 변화. 정보와 저널, 4(2)
  18. 손승영(2001). 청소년의 학교생활과 가족, 미래인력연구총서. 청소년의 일상과 가족. 미래인력연구센터
  19. 송인자, 김경혜(1999). 한국 가족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 탐색. 대한가정학회지. 37(10), 11-25
  20. 송정아, 윤명선(1997). 청소년 자녀와 부모의 관계향상 프로그램 모형.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1), 71-82
  21. 엄명용 (2000). 비행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청소년비행 예측 요인의 발굴. 한국사회복지학. 42, 254 -289
  22. 유은희 (1998). 청소년자녀의 부모교육, 가족생활교육-이론 및 프로그램 한국가족관계학회 편. 서울: 하우, 201-215
  23. 유은희, 홍숙자 (1998). 부모교육 프로그램. 대한가정학회지, 36(1), 157-168
  24. 이영숙, 박경란, 전귀연 (1999). 가족문제론. 서울: 신정
  25. 이정우, 김명자, 계선자, 박미석, 정진희(2000). 새 밀레니엄에서의 청소년문화창조를 위한 생태학적 지원체계(II) -한국 청소년 가치관 실태분석 및 부모의 가치관과의 비교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12), 2017-223
  26. 이지현 (1999 ). 청소년의 중년부모이해 프로그램. 서울여대 석사논문
  27. 이춘재 외 8 인(1997). 청년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28. 전귀연(1996). 청소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체계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3), 137-155
  29. 정영숙, 김영희, 박경옥, 이희숙, 채정현, 이종섭(1999). 청소년과 생활환경. 대한가정학회, 37(2), 176-197
  30. 조홍식 (1995). 가족 간의 문제인식 및 해결방법 한국가족학회 춘계학술대회, 가족의 관계역동성과 문제인식보고서
  31. 주은희(2001). 청소년의 친구관계와 가족, 미래인력연구총서. 청소년의 일상과 가족. 미래인력연구센터
  32. 최규련 (1996). 가족학적 관점에서 본 청소년문제와 대책. 대한가정학회지, 34(1), 147-160
  33. 한국사회학회편(1994). 한국사회의 세대문제. 서울: 나남
  34. 한국청소년개발원(1994). 청소년기 가족문제. 연구보고서 94-5
  35. 한국청소년학회편 (1999). 청소년학총론. 서울: 양서원
  36. 현은민 (2000). 청소년의 가출: 가족적, 개인적 요인및 대처행동의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8(2), 41-55
  37. 동아일보. 1999, 11, 16일자
  38. Anne, C. F., L. Steinberg. & Seller, E., B. (1999). Adolescents, well-being as a function of perceived interparental consistenc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1(3), 599-610 https://doi.org/10.2307/353563
  39. Baumrind, D. (1993). The average expectableenvironment is not good enough: A response to Scarr. Child Development, 64, 1299-1317 https://doi.org/10.2307/1131536
  40. Cicchett, D., & Toth, S. S. (1998).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merica Psychologist, 53, 221-241 https://doi.org/10.1037/0003-066X.53.2.221
  41. Daniel, T. L. (1997). The relation of family functioning to adolescent psychological well-being, schooladjustment and problem behavior.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58(4), 467-479 https://doi.org/10.1080/00221329709596683
  42. DeBaryshe, B. D., Patterson, G. R. & Capal., D. M(1993). A performance model for academic achievement in early adolescent boys. Developmental Psychology, 29, 295-314
  43. First, J. A., & Way, W. L. (1995). Parent education outcomes: Insights into transformative learning. Family Relations, 44, 104-109 https://doi.org/10.2307/584747
  44. Gecas, V., & Seff, M. A. (1990). Families and adolescents: A review of the 1980s. J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 941-958 https://doi.org/10.2307/353312
  45. Lamanna, M. A, & Riedman, A (1994). Marriage and family: Making choices and facing changes.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46. Roberts, T. W. (1994). A systems perspective ofparenting: The individual, the family and the social network.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47. Schvaneveldt, T. D., & Young, M. H. (1992). Strengthening families: New horizons in family life education. Family Relations, 41, 385-389 https://doi.org/10.2307/585578
  48. Small, S. A., & Eastman, G. (1991). Rearing adolescents in contemporary society: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responsibilities and needs of parents. Family Relations, 40
  49. Stice, E., Barrera, M. & Chassin, L. (1993). Relation of parent support and control to adolescent's externalizing sympotomatology and substance use: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cuvilinear effects. J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1(6), 609-629 https://doi.org/10.1007/BF00916446
  50. Umberson, D. (1989). Relationships with children: Explaining parent's psychological well-being. J of Marriage and the Family, 51, 999-1012 https://doi.org/10.2307/353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