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블릿 기반의 고속 움직임 예측 기법

A wavelet-based fast motion estimation

  • 배진우 (광운대학교 전자공학과 디지털미디어 연구실) ;
  • 선동우 (광운대학교 전자공학과 디지털미디어 연구실) ;
  • 유지상 (광운대학교 전자공학과 디지털미디어 연구실)
  • 발행 : 2003.09.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저비트율 부호화에 적합한 웨이블릿 기반의 고속 움직임 예측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논문에서는 웨이블릿 계수의 차이를 기반으로 한 중요 블록(significant block : SB) 정보를 사용하여 움직임이 존재하는 블록에 대해 선택적으로 움직임 예측함으로써 움직임 벡터의 수가 증가하는 MRME(multiresolution motion estimation)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었다. 또한 웨이블릿 변환의 특성 중 하나인 해상도 분할 특성을 이용하여 quarter-band까지 움직임을 예측하게 되고, 이에 대한 보간작업으로 영상을 재구성한다. 선택적 움직임 추정과 움직임 보상된 quarter-band의 보간작업을 통해 고주파 부대역에서 존재할 수 있는 예측 오차를 줄일 수 있었으며, 동시에 계산량도 감소시킬 수 있었다. 제안된 기법은 기존의 기법과 비교하여 약 70% 이상의 계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영상의 화질 면에서도 0.1 ∼ 1.2dB 정도 향상되어 거의 대등한 PSNR을 유지하는 것을 모의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wavelet based fast motion estimation algorithm for video sequence encoding with very low bit-rate. By using one of properties oi wavelet transform, multi-resolution analysis(MRA) property and spatial Interpolation of an image, we are able to reduce both prediction error and computational complexity at the same time. Especially, by defining a significant block(SB) based on the differential information of wavelet coefficients between successive frames, the proposed algorithm makes up a defect of multi-resolution motion estimation(MRME) algorithm of increasing the number of motion vectors. As experimental results. we can reduce the computational load up to 70% but also improve PSNR up to about 0.1 ∼ 1.2 dB comparing with the MRME algorithm.

키워드

참고문헌

  1. The Ministry of Public Management,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s committee, 'Study group on business mobile over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ompiles a report', MPHPT, Vol.12, No.9, pp.1-3, 2001.7.
  2. The JVT of ISO/IEC MPEG and ITU-T VCEG, 'JVT-B118r7(WD-2 rev 5)', ISO/IEC 14496-10, Geneva, Switzerland, 2002.2.
  3. Carolina Blanch and Kristof Denolf, 'Memory complexity analysis of the AVC codec JM1.7', ISO/IEC JTC1/SC29/WG11 MPEG02/M8378, Fairfax, 2002.5
  4. S.Mallat, 'A Theory for Multiresolution Signal Decomposition : The Wavelet Representation', IEEE Trans. Pattern Analysis Mach. Intell, Vol. 11, pp.674-693, 1989.6.
  5. Ya-Qin Zhang and Sohail Zafar, 'Motion Compensated Wavelet Transform Coding for Color Video Compression', IEEE Tr. on Circuits and Systems for Video Technology, vol. 2, no. 3, pp.285-296, 1992.11.
  6. Hyun-Wook Park and Hyung-Sun Kim, 'Motion Estimation Using Low-Band-Shift Method for Wavelet Based Moving-Picture Coding', IEEE Tr. on Image Processing, vol. 9, no. 4, pp.577-587, 2000. 4.
  7. 선동우, 배진우, 유지상, '웨이블릿 계수 특성을 이용한 고속 움직임 추정 기법', 한국 통신학회 논문지, 제 28권 4C호, pp 397-405, 2003. 6
  8. Xuguang Yang and Kannan Ramchandran. 'Hierarchical Backward Motion Compensation for Wavelet Video Coding Using Optimized Interpolation Filters', IEEE Tr. on Image Processing, vol. 1, pp.85-88, 1997. 10
  9. Ying Zhu, et al. 'Wavelet domain image interpolation via statistical estimation', IEEE Trans, Image Processing, Vol 3, pp.840-843,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