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hancing Regional Innovation System Potential: The Dimension of Firm Practices

지역혁신체제 잠재성 향상의 조건: 기업의 혁신활동을 중심으로

  • Jong Ho Lee (Center for Regional Innovation Systems Research, Taegu Institute of Social Studies)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Finns are central economic agent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systems of innovation as they take responsibility for generating and diffusing knowledge in both organizational and societal context. They must be considered as learning organizations which interact with other finns and institutions that share their environment. The systems of innovation literature accentuates institutional conditions that influence innovation in sectoral, regional or national levels. Meanwhile, it tends to ignore the complex dimensions of finn practices in relation to learning and innovation activities. In this context,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what finns do for sustaining innovation and how they learn to innovate. This is not just critical to know individual finns innovativeness which depends on interactions with environments within and outside the organizational boundary but also to evaluate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potential. In short, it is important to see that finns would attempt to take advantage of distributed knowledge within and across the boundaries of the finn without sticking to particular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 argue that the more finns of a cluster attempt not only to combine localized sources of knowledge and external sources of knowledge but also to become a learning organization, the more increased regional innovation system potentials can be.

국가 및 지역혁신체제에서 기업은 지식의 창출과 확산을 위한 중심적 행위자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혁신시스템이 효과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시스템내의 기업들이 기업내의 조직학습과 더불어 타기업 및 관련기관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혁신을 창출하는 학습조직이 되어야만 한다. 지금까지 혁신체제론의 연구들은 신업부문별, 지역별 및 국가별 수준에서 혁신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적 조건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혁신체제의 중심 주체가 되는 기업조직의 학습 관행 및 조직 루틴이 지역혁신체제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취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써 기업이 혁신을 달성하기 위해서 조직적 역량을 어떻게 구축하고 학습하는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것은 개별 기업의 혁신성과 경쟁력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뿐만 아니라 국가 및 지역 혁신체제의 잠재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기업들은 특정 지역혁신체제에 구속되기보다는 기업의 경계 안팎에 존재하는 다양한 혁신의 원천을 탐색하고 조직적으로 체화시키기 위한 노력들을 추구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업조직의 활동 관행이 지역혁신체제의 잠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특정 지역혁신체제 내 기업들이 외부의 지식에 접근하고 그것을 조직적으로 체화하는 사회적 학습과정을 통해서 지역혁신시스템은 제도적 고착 효과를 탈피할 수 있고 혁신체제 전반의 혁신 잠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