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Use and Necessity for Korean Traditional Pyebaeck Foods in Daegu Area

한국 전통 폐백음식의 이용실태와 필요성에 관한 연구(I)-대구지역을 중심으로-

  • 이연정 (경주대학교 외식사업전공) ;
  • 이수영 (영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가정관리학과) ;
  • 한재숙 (영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가정관리학과)
  • Published : 2003.10.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of use and necessity of Korean traditional Pyebaeck foods using questionnai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621 housewives in Daegu area.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ost often used foods of Pyebaeck refreshments included alcoholic drinks(80.0%), Bamgoim(73.8%), Daechugoim(73.4%). The refreshments were most often purchased from caterers(39.6%), and mainly used for marriages of their brothers and sisters(33.3%). The standard number of foods prepared was 7 to 10(42.2%). The most used container for Pyebaeck refreshments is bamboo basket(30.6%). 62.0% of the respondents needed Pyebaeck refreshments and the reason for refreshment preparation was mainly “because it is a Korean tradition”(82.3%) and the reason why most respondents do not think the Pyebaeck refreshments are necessary was “it's troublesome and complicated”(41.1%). The refreshments most frequently included were alcoholic drinks(63.7%) and Daechugoim(47.0%). Most of the respondents(84.9%) said that the Pyebaeck refreshments should be improved and 48.0% said the improvement method should consider the traditional tastes, flavors and arrangements fit to modem sense. Although following the traditions of Pyebaeck refreshments itself is difficult, the concept of Pyebaeck refreshments can develop into a modern concept with new meaning if we improve and adjust it in a way fit to modem lifestyles.

본 연구는 한국전통음식인 폐백음식이 더 이상 퇴행되지 않고 보다 더 건전하고 바람직하게 발전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대구지역 주부를 대상으로 하여 폐백음식의 이용실태와 필요성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폐백음식 중 가장 많이 이용되는 음식은 술(80.0%), 밤 고임(73.8%), 대추고임(73.4%), 떡(65.9%), 폐백닭(57.8%), 육포(57.0%) 등의 순이었고 준비방법은 “폐백 음식 전문점에서 구입”이 39.6%로 가장 높았고 “가정에서 직접 준비했다”는 19.3%에 불과하였다. 2. 폐백음식을 이용한 동기로는 “형제자매의 결혼”이 33.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적당하다고 생각되는 폐백음식의 가짓수로는 “7∼10가지”(42.2%)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음식을 담는 용기로는 대바구니(30.6%), 구절판(24.8%), 목판(21.6%)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폐백음식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은 “필요하다”가 62.0%, “필요 없다”가 20.8%로 절반 이상의 많은 사람들이 폐백 음식을 필요한 음식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폐백음식의 종류로는 술(63.7%)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대추고임(47.0%), 밤 고임과 떡(46.7%), 엿(42.8%), 폐백닭(34.8%)의 순이었다. 4. 폐백음식이 필요한 이유로는 “우리고유의 전통 음식이므로”가 82.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필요하지 않는 이유는 “번거롭다”가 41.1%로 가장 높게 나타나 조리방법 을 쉽고 간소화하는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5. 폐백음식에 대한 개선 의지는 전체응답자의 84.9%가 “개선해야 한다”고 했으며, 개선 방안으로는 “전통의 맛을 유지하면서 현대감각에 맞는 음식 개발”이 48.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폐백음식은 우리 고유의 전통음식으로 필요하지만 만들기가 번거롭고 조리방법이 복잡해서 전문점을 이용하는 경우가 높으므로 현대의 실정에 맞게 조리법의 간편화와 표준 레시피의 제시 등과 같은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더 그 이용이 증대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폐백음식을 전통 그대로 답습하려고 집착하기보다는 사회적인 변화추세에 발맞추어 다소 간소하고 현대인의 기호에 부합될 수 있는 폐백음식의 개발과 개선$.$보완을 해나간다면 전통적 폐백음식의 개념은 보다 더 새로운 의미와 뜻을 가진 현대적인 개념으로 발돋움 할 수 있다고 생각되며 이를 위해 우리 모두가 폐백음식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인식을 가지도록 개개인의 진정한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고 여겨진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문학논총 v.15 현대 혼례의 문제분석 및 개선방안 김시황
  2.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춘계학술심포지움 v.12 no.2 전라남북도의 혼례음식문화 김인숙
  3.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춘계학술심포지움 v.12 no.2 제주지역의 혼례음식문화 김지순
  4.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추계학술심포지움 v.12 no.4 혼례음식 규범의 의미와 모형제시 윤숙경;윤서석;손경희;김천호;이종미;안명수;곽동경;정혜경
  5. 안동문화원 97 전통 혼인절차의 의미 이동후
  6. 한국조리과학회지 춘계심포지움 v.15 no.3 전통떡류의 과학적 고찰과 산업화 과제 이효지
  7.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추계학술심포지움 v.12 no.4 우리나라 혼례음식 인지도에 관한 조사 연구 정혜경;손경희;윤숙경;김천호;이종미;안명수;곽동경;박옥진
  8. J. East Asian of Dietary Life v.6 no.3 The study of the traditional rites Huh,S.M.;Han,J.S.
  9. Korean J Dietary Culture v.11 no.4 The food of Korean traditional rite Kang,I.H.
  10. Korean J Soc Food Sci v.16 no.6 A study of housewives' recognition and consumption pattern of Korean Rice Cake Kang,K.O.;Lee,H.J.
  11. Korean J Dietary Culture v.16 no.2 A study on the traditional fast food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in Busan Ro,S.B.;Shin,A.S.;Kil,J.O.
  12. M. A. Thesis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A knowledge of housewives residing in Seoul area on traditional rite and actual status of utilization of ceremony food Son,Y.M.
  13. Research of Social Science A study of housewives knowledge on ceremony food in Kangwon-do district Yim,Y.S.
  14. Korean J Dietary Culture v.12 no.2 The food culture of marriage ceremony Yun,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