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sis the distribution and change of cropland and forest, the Onseong, Saebyeol, and Eundeok counties on the lower reach of Duman(Tumen) river, northeast Korea, using 1992 year Landsat TM data, 2000 year Landsat ETM data, and digital terrain elevation data(DTED). Land cover and land use of the study areas are classified into cropland, forest, village, and water body, using the 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 including 1:50,000 DTED analysis, image band composition,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present that each growth rate of cropland of Onseong and Eundeok are 22.8% and 14.7% corresponding to decreasing rates of forest, 8% and 13.6% during 8 years from 1992 to 2000. In Onseong, Saebyeol, and Eundeok, each values of mean elevations and slope gradients increased to 192m, 95m, and 91m from 157m, 85m, and 78m, and to 6.6$^{\circ}$, 3.0$^{\circ}$, and 4.4$^{\circ}$ from 5.2$^{\circ}$, 2.5$^{\circ}$, and 3.0$^{\circ}$. Especially, in case of newly developed cropland, the values of mean elevation and mean gradient have 225m, 122m, and 127m, and 9.4$^{\circ}$, 5.1$^{\circ}$, and 8.0$^{\circ}$, in above three regions. These new croplands were developing along to deeper valleys and toward lower hill and mountain slope up to knickpoint zone of gradient change. Deforested lands for cropland have formed irregular pattern of patch-type, and become sources for the sheet erosion, rilling and gulleying in mountain slope and sedimentation in local river channel. Though there were no field checking, analysis using landsat images and GIS mapping can help understand actual environmental problems relating to cropland development of mountain slope in North Korea.
본 연구는 두만강 하류의 온성, 새별, 은덕 지역을 대상으로 1992년 Landsat TM과 2000년 Landsat ETM 자료 및 수치고도자료를 이용하여 농경지와 산림지의 분포와 변화, 변화과정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1:5만 수치지형도 분석, 영상밴드조합. 주성분 분석 등 감독분류를 통하여 농경지, 산림, 취락 및 건물, 강과 저수지 등의 수체를 주요 항목으로 하여 분류를 시도하였다. 대상 지역에 대한 분석의 결과를 보면, 온성과 은덕 지역에서는 1992년에서 2000년 사이에 농경지가 각각 22.8%, 14.7% 증가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산림은 각각 24.0%, 13.6% 감소하였다. 또한 경작지의 평균고도를 보면 온성, 새별, 은덕의 경우, 각각 157m, 85m, 78m에서 192m, 95m, 91m로 높아졌으며, 경사도의 경우는, 각각 5.2$^{\circ}$, 2.5$^{\circ}$, 3.0$^{\circ}$에서 6.6$^{\circ}$, 3.0$^{\circ}$, 4.4$^{\circ}$로, 고도와 경사도 모두 약 30% 증가세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신개간지 만을 보면 평균고도는 각각 255m, 122m, 127m, 평균경사도는 9.4$^{\circ}$, 5.1$^{\circ}$, 8.0$^{\circ}$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개간지들은 구릉지대나 산록완사면을 따라 경사변환점까지 확대되고 있으며, 산림이 제거된 나대지들은 불규칙한 패치모양을 띠면서 rill과 gully 등의 사면침식과 하천의 토사퇴적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위성영상분석은 지표확인을 할 수 없는 한계점은 있으나 농업과 관련된 북한의 환경문제에 대한 실태파악에 도움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