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교동도의 해안저습지 개간과 수리사업

Tidal-Flat Reclamations and Irrigation Systems of the Kyodong Island

  • 발행 : 2003.09.01

초록

인천시 강화군의 교동은 역사시대이래 계속된 간척활동을 통해 크고 작은 섬이 하나로 연결되어 현재와 같은 면적 47.1$\textrm{km}^2$의 단일 도서로 발전하였다. 구릉성 산지 사이에 퇴적된 교동도의 간석지는 한강ㆍ임진강ㆍ예성강에서 유출되거나 연해에서 운반된 미립물질로 구성되며 일찍부터 해안평야로 개발되었다. 개발 과정은 현지 농민의 개간과 더불어 변방방어와 왕도수호의 차원에서 방조제를 축조하고 둔전을 조성한 고려이전의 초기간척시대, 통어영의 유치로 경지개간이 체계화되는 한편 유이민에 의한 사전개발이 활발했던 조선시대, 식민자본에 의해 농장이 개설ㆍ운영된 일제시대, 다양한 토목장비가 동원되어 간석지개간이 종합적으로 추진된 최근세 이후의 4시기로 나뉜다. 고립된 도서로서 수원이 충분하지 못했던 교동에서는 간척지를 조성하고 안정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동답, 제언, 물광, 담수로, 관정, 대규모 저수지 등 독창적인 수리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Kyodong Island on the Yellow Sea has experienced dramatic transformations in the process of massive reclamations of tidal flats. Consisting originally of detached several islets, Kyodong became an integrated island country with the establishment of sea dikes across the salt marshes. The coastal plaines passed through four distinct stages of development. During the nascent period from the Early States to the Koryo Dynasty, strategic considerations led up to the establishment of causeways and garrison farms as well as private land plots. The relocation of regional headquarters of the navy into the island made the reclamation of tidal flats a systematic project during the period of Chosun Korea. The implantation of a large-scale estate by Japanese capitalists was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 of this region's geography during the colonial period. Present-day Kyodong displays various agrarian landscapes of standardized land plots, reinforced sea dikes, and automated agricultural machinery. Throughout the periods irrigation systems have sustained the panoramic transformation of the agricultural geographies of the Kyodong Island. The local people afflicted by a chronic deficiency of water came up with ingenuous irrigation systems such as springs, paddy reservoirs, reservoirs, tanks, artesian wells, and pump sta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통계연보 강화군
  2. 통계연보 경기도
  3. 농업통계조사결과 경기도
  4. 경기도지(하) 경기도지편찬위원회
  5. 관정관리대장 교동면
  6. 농경지현황 교동면사무소 지적과
  7. 교동향토지 교동향토지편찬위원회
  8. 한국의 기후 김광식(외)
  9. 국사관논총 v.77 일본인의 농장·농업회사의 농업기술 보급체계 김도형
  10. 교동지 김득초;한도현(편)
  11. 도서지 내무부
  12. 간이총인구조사보고 내무부통계국
  13. 고려사연구 노태돈
  14. 농업용수사업요람 농수산부농업진흥공사
  15. 강화지부교동지소 업무현황 농업기반공사
  16. 강화지부교동1지구 대구획경지정리사업지구현황 농업기반공사
  17. 한국 재래도 특성 일람 농촌진흥청작물시험장
  18. 농업용수개발계획(경기도 강화군) 대한민국
  19. 해도(격렬비열도-대청군도) 대한민국수로국
  20. 토지개량사업통계연보 대한수리조합연합회
  21. 조선후기 수리학과 수리담론 문중양
  22. 조선농업사연구 민성기
  23. 한국사론 v.12 17 · 8세기 신전개간의 확대와 경영형태 송찬섭
  24. 조선시대 농법발달 연구 염정섭
  25. 고려후기 농업경제 연구 위은숙
  26. 조선 전기 토지제도 연구(Ⅱ) 이경식
  27. 이조수리사 연구 이광린
  28.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려 전기 권농책에 관한 일고찰 이정호
  29. 통일신라 토지제도 연구 이희관
  30.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정진영
  31. 학술원논문집(인문 · 사회과학) v.30 강화지역의 해안저습지 간척과 경관변화 최영준
  32. 국사관논총 v.39 조선후기 수리기구와 경영문제 최원규
  33. 토지개량사업통계연보 토지개량조합연합회
  34. 농업총조사보고서 통계청
  35. 국어대사전 한국어사전편찬회
  36. 한국지명총람17(경기편) 한글학회
  37. A World Geography of Irrigation Cantor,L.M.
  38. Man's Role in Changing the Face of the Earth Influences of man upon coast lines Davis,J.H.;W.L.Thoma,Jr(ed.)
  39. The Making of the Dutch Landscape: An Historical Geography of the Netherlands Lambert,A.M.
  40. Man and Nature: Physical Geography as Modified by Human Action Marsh,G.P.
  41. Agricultural Ecology Tivy,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