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Acid, Salt, Heat Treatment and Natural Antimicrobials on Survival of Pathogens Isolated from Surface of Carcass in Minced Meat

분쇄육에서 산, 염, 열처리 및 천연항균물질 처리가 도체표면으로부터 분리한 병원성미생물의 생존에 미치는 효과

  • 이신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산업학부) ;
  • 정영숙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산업학부) ;
  • 박나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산업학부)
  • Published : 2003.09.01

Abstract

Effects of acid, salt, heat treatment and natural antimicrobials on survival of E. coli O157:H7 CDF1, A. sobria CDF3 and S. aureus CDF2 isolated from surface of carcass in minced meat was investigated. The growth of E. coli O157:H7 CDF1 and A. sobria CDF3 inhibited in minced meat containing above 4% NaCl but not in 1% lactic acid. The growth of S. aureus CDF2 was not inhibited significantly by addition of 4% NaCl but inhibited completely in minced meat containing 1% lactic acid. Survival of A. sorbia CDF3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during storage at 4 and 10$^{\circ}C$. E. coli O157:H7 CDF10 and A. sobria CDF3 did not detect after heat treatment at 60$^{\circ}C$ for 10 min but S. aureus CDF2 decreased only 1 log after the same treatment. Viable cell of E. coli O157:H7 CDF1 decreased 2 log in TSB containing 0.5% Oolong tea extract after incubation for 12 hr compared with control but A. sobria CDF3 and S. aureus CDF2 did not detect at the same condition. The growth of E. coli O157:H7 CDF1, A. sobria CDF3 and S. aureus CDF2 was not inhibited by addition of 0.3% Oolong tea extract but inhibited by addition of 0.5% Oolong tea extract in minced meat at 20$^{\circ}C$ for 24hr.

도체표면에서 분리한 E. coli O157;H7 CDF1, A. sobria CDF3, S. aureus CDF2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E. coli O157:H7 CDF1와 A. sobria CDF3는 NaCl 4% 이상 농도에서 성장이 억제된 반면 lactic acid 0.1%는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S. aureus CDF2은 NaCl 농도 4%에 의해 성장이 뚜렷하게 억제되지 않았으나 lactic acid 0.1% 첨가에 의해 뚜렷히 억제되었다. E. coli O157:H7 CDF1은 분쇄육에서 4$^{\circ}C$와 1$0^{\circ}C$에서 10일간 저장하는 동안 저장온도별 약 1 log 차이를 나타내었고,1. sobria CDF3의 성장은 저장온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6$0^{\circ}C$에서 10분 열처리 후 E. coli O157:H7 CDF1, A. sobria CDF3가 거의 사멸하였으나 S. aureu CDF2는 대조구에 비해 1 log cycle 이하의 감소현상을 나타내었다. 감잎, 뽕잎, 녹차, 우롱차의 추출물중 E. coli O157:H7 CDF1, A. sobria CDF3와 S. auren CDF2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우롱차 추출물 0.1%와 0.3% 첨가에 의해 표. coli O157:H7 CDF1는 성장 억제되지 않았으나 0.5% 첨가구의 경우 약 2 log 감소하였다. A. sobria CDF3와 S. aureus CDF2는 추출물 0.1%와 0.3% 첨가에 의해 성장이 억제되었으며 0.5%첨가에 의해 배양 12 시간이후 생균수는 검출되지 않았다. 우롱차 추출물을 분쇄육에 0.3%와 0.5%를 첨가하여 2$0^{\circ}C$에서 24시간 저장한 결과는 E. coli O157:H7 CDF1, A. sobria CDF3와 S. aureus CDF2은 우롱차 추출물을 0.5%첨가한 경우 성장이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Korsa, W.J., Cutter, C.N. and Siragusa, G.R. (1997) Effects of Steam-Vacuuming and hot water spray wash on the microflora of refrigerated beef carcass surface tissue inoculated with Escherichia coli Ol57:H7, Listeria innocua, and Clostridium sporogenes. J. Food Prot., 60, 124-119
  2. 노병의, 빈성오, 김성원 (1997) 겨울철에 시판되는 어패류에 있어서의 E.coli와 Coliform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 위생안전성학회지, 12, 294-299
  3. 정병의, 김병봉, 김상철, 안성복 (1991) 경북도내에서 분리된 병원균의 역학적 특성 보고. 경상북도 보건연구원, p. 17-25
  4. Hobbs, B.C. and Roberts, D. (1993) Food Poisoning and Food Hygiene 6th ed., p. 133-134
  5. Sorrells, K.M., Enigl, D.C. and Hatfield, J.R. (1989) Effect of pH, Acidulant, time, and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Listeria monocytogenes. J. Food Prot., 52, 571-573 https://doi.org/10.4315/0362-028X-52.8.571
  6. Cole, M.B. and Jones, M.V (1990) The effect of pH, salt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survival and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J. Appl. bacteriol., 69, 63-72 https://doi.org/10.1111/j.1365-2672.1990.tb02912.x
  7. 조성범, 이용욱, 김정현 (1998) E.coli O157;H7과 Staphylococcus aureus의 증식억제에 대한 키토산과 소르빈산의 상승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3, 112-120
  8. 신성희, 이승일, 김재수, 주세혁, 박종훈, 양남웅, 임용 (1998) Staphylococcus aureus의 성장에 따른 철 이용 양상. 대한미생물학회지, 33, 435-430
  9. 박준서, 박청규 (1997) 돼지, 닭 및 소유래 Staphylococcus hyicus subsp.hyicus의staphylokinase산생능. 대한수의학회지, 37, 359-365
  10. 송형익, 채기수, 김영만, 손규목, 이웅수 (1997) 현대식품학, 지구문화사, p. 55-81
  11. 유태종, 홍재훈, 김영배, 이호, 김영애, 황한준, 소명환, 이요구 (1996) 최신식품미생물학(개정판). 문운당, 241-259
  12. 정석찬, 정병열, 전용수, 김종염, 이재진, 박용호 (1997) 식품관련 유해미생물의 특성. 한국수공중보건학회지, 21, 181-194
  13. Umadatt Singh (199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eromonas spp. from ground meats in eastern canada. J. Food Prot., 60, 125-130 https://doi.org/10.4315/0362-028X-60.2.125
  14. Palumbo, S.A. and willians, A.C. (1992) Growth of Aeromonas hydrophilla KI44 as affected by organic acids. J. Food Sci., 57, 233-235 https://doi.org/10.1111/j.1365-2621.1992.tb05462.x
  15. Doyle, M.P. (1989) Foodborne bacterial pathogens. Marcel Dekker, INC, p. 2-16
  16. Hao, Y.Y., Brackett, R.E. and Doyle, M.P. (1998)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and Aeromonas Hydrophila by plant extracts in refrigerated cooked beef. J. Food Prot., 61, 307-312 https://doi.org/10.4315/0362-028X-61.3.307
  17. 박승우, 우철주, 정신교, 정기택 (1994) 환삼덩굴의 용매분획별 항균성 및 항산화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6, 464-470
  18. Anderzant, C.V. and Splittstoesser, D.F. (1992) Compendium of methods for the microbiological examination of foods., 3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19. 정영숙, 오영숙, 박나영, 이신호 (2002) 도체표면에서 분리한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9, 434-440
  20. David, R.B. and Richard, W.C. (1986) The genus Staphylococcus. In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Willions and Wilkins, Baltimore. 1, p. 1013
  21. 이용욱, 김종규 (1995) 냉장온도에서 소시지의 저장 수명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0, 111-131
  22. 강창기, 박구부, 성삼경, 이무하, 이영현, 정명섭, 최양일 (1995) 식육생산과 가공의 과학. 선진문화사, 198,223
  23. 문영덕 (1982) 육가공의 품질관리. 한국식육연구회보, 3, p. 12-21
  24. 오덕환, 함승시, 박부길, 안철, 유진영 (1998) 식품부패 및 병원성미생물에 대한 천연약용식물 추출물의 항균효과. 한국식품학회지, 30, 957-963
  25. 여생규, 안철우, 김인수, 박영범, 박영호, 김선봉 (1995) 녹차 오룡차 및 홍차 추출물의 항균효과. 한국식품영량학회지, 24, 293-298
  26. 이정희, 이서래 (1994) 식품성 식품중 페놀성 물질의 몇가지 생리활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6, 317-323
  27. 노현정, 신용서, 이갑상, 신미경 (1996) 쌀밥 부패미생물에 대한 녹차 물추출물의 항균 활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8, 66-71
  28. 오미정, 옹병희 (1995) 採葉時期 및 製造法에 따른 韓國産 綠茶의 펙틴, 카테친,카페인 含量 變異. J. Crop Sci., 775-781
  29. 신동화 (1990) 천연 항균성 물질의 연구현황과 식품가공에의 이용. 식품과학과 산업, 23, 6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