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he Curriculum & Contents in Technology. Home Economics Education

고등학교 『기술.가정』교파 운영과 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 김운주 (충북대학교 식품영향학과) ;
  • 유재희 (충북대학교 식품영향학과) ;
  • 곽노선 (충북진천교육청) ;
  • 최은희 (충북대학교 식품영향학과)
  • Published : 2003.09.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instruction type and the school hours allocations for the$\ulcorner$Technology and Home Economics$\lrcorner$united on the Korean education course revised seventhly and to offer the basic materials for the efficient curriculum implementation type through proving that how are the degree of studying load of students, interest, necessity, and satisfaction and whether those are affected or not. The subject of this survey were 297 students at first grade in boys high school, girls high school, and coeducational school located in the Chungnam-Province, Taejeon Megalopolis City. The period of this survey was from 30th Sep. 2002 to 5th Oct. 200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implementation type of the curriculum. whole charge teaching was twice times as much as alloted teaching. 2. About half of the students(54.2%) recognized that the burden of study was less than before. More two third of students(72.4%) were satisfied with implementation of subject. The coeducational school and girls high school students were being more satisfied than the boys high school students, and students educated by alloted teaching were more satisfied. 3. The field of Home Economics was higher than the field of Technology in the degree of interest and necessity for$\ulcorner$Technology and Home Economics$\lrcorner$curriculum contents. 70.8% of the respondents was satisfied for the content materials. The coeducational school and the girls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course content than boys high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1학년 필수교과로 이수되고 있는 $\ulcorner$기술$.$가정$\lrcorner$교과의 실시현황을 조사하고, 학습자가 느끼는 부담정도와 만족도를 파악하여 교과통합의 효과를 검토하고, 학습내용의 평가를 통해 교과내용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충청남도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남자고등학교와 여자고등학교, 남녀공학고등학교 6개교(각 2학급씩) 1학년 297명에게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기술교사 또는 가정교사가 전 영역을 지도하는 전담지도는 4개교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기술교사와 가정교사가 나누어 가르치는 분담지도는 비교적 규모가 큰 2개교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분담지도가 이루어지는 경우 기술영역과 가정영역을 함께 주당 3시간씩(기술1시간/가정2시간 또는 기술2시간/가정1시간, 각각 1.5시간씩)지도하고 있는 반면, 전담지도의 경우 학기별로 영역을 나누어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학생의 54.2%가 교과통합에 따라 학습부담이 감소하였다고 느기고 있었으며, 교과운영에 대해 72.4%가 만족하였다 여자고등학교와 남녀공학고등학교 학생과 분담지도 하는 경우 만족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만족하는 주 이유는 '미래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습득의 좋은 기회'(67.1%)이었고, 불만족 이유는 '실습기회가 적고, 교과내용이 어려워 실생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54.1%) 였다. 셋째, 교과내용 영역별 홍미도는 전반적으로 가정영역이 높았다. 가정영역의 '나의 주거 공간 꾸미기', '임신과 육아' 단원과 기술영역의 '자동차의 관리', '건설 구조물 모형 만들기' 가 흥미도가 높은 소단원이었다. 내용 영역별 필요도도 가정영역이 높았으며, 가정영역의 '결혼과 육아', '가족생활 주기와 생활 설계', '나의 주거 공간 꾸미기' 단원과, 기술영역의 '자동차의 관리', '건설기술의 시공원리', '에너지 자원의 종류와 이용'이 높게 나타났다. $\ulcorner$기술$.$가정$\lrcorner$교과 내용에 대해 학생의 70.8%가 만족하였는데, 그 이유는 '남녀 학생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내용 구성이기 때문'(51.7%)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기술·가정 교과 운영에 대한 교사, 학교장, 교육전문직의 인식과 요구 및 관련 변수 곽노선
  2.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3.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제6차 중학교 가정과교육과정에 대한 남녀중학생의 학습 요구도 분석 김계순
  4.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중학교 기술·가정 통합교과의 교육실태 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승수
  5.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 김재복
  6.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중학교 기술 ·가정교과의 내용과 운영에 관한 연구 김지숙
  7.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제6차 교육과정에서의 중학교 가정과 운영에 관한 조사연구 - 가정전공 교사와 비전공 교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효순
  8.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기술·가정 통합교과 내용 구성에 대한 인식도 조사 박인애
  9.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통합에 따른 남녀 학생들의 학습결과 비교에 대한 연구 백일순
  10.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중학교 기술·가정교과 운영형태와 관련 만족도 손순옥
  11.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중학교 가정과와 기술·산업과 교사의 교수 행동과 교수만족도 손순희
  12.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중·고등학생의 제 7차 기술·가정 교과 내용에 대한 인식 신부용
  13.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중학교 기술·가정 통합교과에 대한 남·녀 학생의 필요·흥미도 분석 신영순
  14.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기술·가정 교과운영에 대한 남녀 학생간의 태도 비교 양순희
  15.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과영역별 필요도 이금남
  16.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중학교 기술·가정교과 교육내용의 통합적 접근에 관한 연구 전현주
  17.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남녀 중학생의 가정교과 식생활 단원에 대한 인식 및 활용 황인하
  18. Reorganizing the high-school curriculum Alberty,H.B.;Alberty,E.J.
  19. Home Economics: Past, present,and future East,M.
  20. Toward better teaching of Home Economics(2nd ed.) Fleck,H.
  21. Curriculum development: Theory into practice(2nd ed.) Tanner,D.;Tanner,L.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