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lors in Korean Traditional Wedding Dress at the Period of Chosun Dynasty

조선시대 전통혼례복에 나타난 색채의 특징 연구

  • 양은희 (한양대학교 사범대학교 응용미술전공) ;
  • 윤형건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생활디자인학과) ;
  • 김경자 (한양대학교 사범대학교 응용미술학과)
  • Published : 2003.08.01

Abstract

As all other cultures do, in the background of color of costume, view of life or spirit are contained in the nature or environment that the people lived in are applied. Marring is the ceremony to be socially recognized that both of sexes are unified, assist ancestor and bear future generation. Meaning and symbolism of color are appeared in beauty and organic composition of Lee dynasty. This paper tried to dear up five colors are dean, beautiful and philosophical colors rather than awkward composition of colors through surveying character of five colors appeared in Korean traditional wedding dress that has been succeeded in present age. This paper compared Korean traditional wedding dress and "Dan-chung" of Korea, Japan and China and surveyed theoretical background of Korean traditional color to find character of color appeared in Korean traditional wedding dress. As a result, Korean traditional color is meaningful symbolic color, its origin starts in yin-yang and the live elements of the Oriental cosmogony and it is related with Taoism of Confucianism and color of "Dan-chung." Five colors of yin-yang means everything under the sun and il is the color achieving beauty of balance due to correlation when it is linked to over one color. Further, it contains nature worship and human dignity, prays happiness and gives the significance of "Buksa", meaning of expelling an evil spirit. Formative beauty praying that all creatures are harmonized while human is happy and escapes from uncertainty is the beauty pursuing mental satisfaction as well as visual satisfaction. In future, the creational and characteristic designs that can appeal to world are required through right understanding and study of the beauty of traditional culture beauty of traditional culture

모든 문화가 모두 그러하듯이 옷의 색채, 그 배후에는 그 민족이 몸담고 살아온 자연환경과 그 환경 속에서 화육(化育)화된 인생관이나 근성이 작용하고 있다. 혼례는 두 성(性)이 좋게 합하여 위로는 종묘(宗廟)를 모시고 아래로는 후세를 이루는 것을 널리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것이다. 예(禮)에서 기본중에 하나가 복식이다 혼례복에 나타난 색채가 가지고 있는 의미와 상징성은 조선시대의 미(美)와 유기적인 조합으로 잘 나타나 있다. 현재까지도 지켜져 내려오는 전통 혼례복 속에 나타난 오방색의 특징을 찾아봄으로써 통념적으로 알고있는 다섯 가지의 촌스러운 색조화가 아니라 자연환경과 같이 청명하며 화려하고 철학적인 색채임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고는 한국혼례복에 나타난 색채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ㆍ중ㆍ일의 혼례복과 단청을 일 예로써 비교하고 한국 전통 색채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한국색채는 의미론적 상징 색채이며 그 근원은 음양오행에서 출발했으며 도교의 태극도설, 유교의 도참사상과 단청의 색채가 직접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음양(陰陽)의 오채(五彩)가 삼라만상(森羅萬象)을 나타내는 객이고 하나가 아닌 두 가지 색 또는 그 이상의 색채와 연결될 때에 상호작용에 의하여 균형미를 이루는 색채이다. 또한 자연숭배 및 인간존엄 사상이 깃들여 있으며 길복(吉福)을 기원함과 동시에 벽사(僻邪)의 의미를 부여한 것을 알 수 있다. 인간이 복되고 부정함에서 벗어나 우주만물이 조화롭게 이루어지길 기원하는 조형미는 시각적인 만족만이 아닌 정신적인 만족까지도 추구하는 미의식인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