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unctional Development of Army´s Combat Uniforms

육군 전투복의 기능성 향상을 위한 연구

  • 최지숙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
  • 최혜선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
  • 이경미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 Published : 2003.08.01

Abstrac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combat uniform garments through a survey regarding current wearing conditions, and furthermore to propose a combat uniform design more well suited to movement and body type. For this study, a survey of soldiers on active service was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a design that addressed the weak points of the garments currently in use was proposed. Four sets of experimental garments were created and in addition to present combat uniforms used in sensory tests to evaluate appearance and movement. In terms of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the appearance and movement evaluation. the test garments were generally received more favorably than the uniforms in current use.

Keywords

References

  1. 김혜경 외 2인 (1988). 동작에 따른 상지 형태변화와 의복에 대한 피복인간공학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제 12권, 제 2호, p. 238
  2. 나미향 . 김정숙 공역, 中澤 愈. (1999). 의복과 체형, 예학사. pp. 112-115
  3. 남윤자 . 이형숙 (1995). 남성복구성-패턴제작편-. 경춘사. pp. 17-20. pp. 45-48
  4. 박동준 역 (1981), Lawrence Langner, 복장의 심리. 유신문화사. p. 66
  5. 박영희 (1985). 경찰제복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
  6. 심부자 (1996). 피복인간공학. 교문사 p. 117, p. 138
  7. 육군. The Army (1999). 전투복 착용방법을 개선하자. 제243호
  8. 이광배 . 송민규 (1994). 스포츠웨어의 소재에 따른 열적 쾌적성에 관한 연구. 한국섬유공학회지, 제 31권 제 8호
  9. 최혜선 역 (1998). Watkins S. M., 의복과 환경.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0. 학생중앙군사학교 (2001). 각개전투(예습/보충교재). pp. 56-57
  11. 한순자 (1997). 군복에 대한 연구-무기발달과 전술 변화를 중심으로-. 복식, 32
  12. 홍경회 외 7 인 (1990). 군복의 기능성 향상을 위한 디자인 제시 및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제14권 제 2호
  13. Shanley L. A., Slaten B. L.. Shanley P. S. (1993), Military Protective Clothing: Implications for Clothing and Textiles Curriculum and Research.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Vol.11. pp. 5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