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thing Design of Korean Image for Cultural Prooducts -using the literary artist´s works-

문인화를 이용한 한국적 이미지의 문화상품용 의상디자인 개발

  • Published : 2003.08.0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Korean image clothing design for cultural products by using the literary artist´s works and to satisfy the demand of the local self-government and of Gwangju ㆍChonnam area´s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The image of traditional Korean clothing can be expressed with adjectives like Pure, plain, rhythmical, neatness, plentiful, and calm etc. These attributes are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artist´s style, which is expressed as suggestive, animated, spatial, possibility of stationary, serene and still. The features of the traditional Korean clothing design can be described as ´The Beauty of Elegance´, ´The Beauty of Plainness´, ´The Beauty of Asymmetric Balance´ and ´The Beauty of rhythm´. It can be expressed in the modern fashion design, which is develop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 like ´The Beauty of Space´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At the time of production we tried to express spatial beauty and plentiful taste of the literary artist's style in the clothing design of Korean image for cultural products by considering the balance between them. Six works of the literary artist were selected which satisfied the purpose of the developed clothing design item. The results were nine clothing designs of Korean image, like a skirt suit made up of a blouse and a skirt, a pants suit made up of pants and a jacket, two evening dresses with a shawl, and also T-shirts and one-pieces etc.

Keywords

References

  1. 전국 경제인 연합회 트렌드 사무국 (2002). 2003년도 산업디자인 트랜드 보고서
  2. 문숙재 . 여윤경 (2001). 소비자트렌드 21세기. 서울: 시그마프레스. pp. 57-64
  3. 배천범 외 (1998.12). 패션디자인 문화상품 개발. 육성 방안 연구. 문화관광부
  4. 안영환 외 (1998). 주요 국의 문화상품 개발 지원제도 및 우리 문화상품의 해외진출 방안: 전통문화상품을 중심으로. 문화관광부
  5. 박현택 (1998). 한국적 문화이미지 고양 . 확대를 위한 문화상품 개발-전통문화의 활용을 중심으로-. 디자학연구, 11(2), pp. 203-213
  6. 박은미 (2000). 도자공예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영아 (2000). 국립박물관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금속공예품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박동수 (2000). 신라토우의 문화상품 개 발에 관한 연구 : 실내 장식용 토우.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장엽 (1997). 학의 이미지를 응용한 문화상품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손경펼 (2000). 전통문양을 응용한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논문
  11. 강성윤 (1997).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강은선 (1997). 우리나라 문화상품의 디자인개발 진흥정책에 관한 연구. 매일경제연구소
  13. 문화관광부 (2002.1). 공개자료 280. 2002년도 문화산업진흥 연차보고서. http://www.met.go.kr
  14. 문화관광부 (2001.1). 공개자료 239. 2001년도 문화산업진흥 연차보고서. http://www.met.go.kr
  15. 문화관광부 (1999). 문화상품 실태조사보고서. http://www.mct.go.kr
  16. 정용순 (2001).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발전방안 연구 -국립박물관 뮤지엄 삽을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14(2). pp. 7-14
  17. 최은영 (2001). 소비자의 생활한복 채택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양정은 . 유송옥 (2000). 생활한복의 디자인 현황과 고급화 방안 연구. 복식, 50(3 ), pp. 145-159
  19. Marks (1976). Operationalizing the Concept of Store Image. Journal of Retailing. 52(3), pp. 37-46
  20. Kaiser. S. B. (1985).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and Personal Adornment. New York : Fairchild Publications
  21. 김희정 . 이경희 (2000). 동양적 복식디자인의 특성과 이미지 연구(제1보)-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24(1), pp. 24-33
  22. 이경희 (1997). 한국적 의복이미지와 디자인과의 관계. 한국의류학회, 21(2). pp. 302-313
  23. 장수경 (1998). 한국전통문양의 이미지 형상화 소고. 한국의류학회, 22(8), pp. 1001-1010
  24. 오현정 . 오선희 (2002). 브레인스토밍 기법에 의한 한국적 의복이미지 유형 ‘고요한 아침의 나라’ 이미지를 중심으로-. 복식, 52(6), pp. 41-50
  25. 조지훈 (1964). 한국인과 문학사상-멋 연구. 서울: 일조각 pp. 379-460
  26. 김영자 (1991). 한국의 복식미. 서울: 민음사. pp. 259-302
  27. 금기숙 (1988).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한국인의 미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금기숙 (1990). 한국 복식미의 탐구. 복식, 14, pp. 167-183
  29. 최세완 . 김민자 (1993). 현대패션에 표현된 한국복식의 전통미 -1980년 이후 한국디자이너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17(1), pp. 103-117
  30. 강희경 (1998). 한국적 의상디자인에 표현된 자연주의에 관한 연구. 복식, 38, pp. 213-231
  31. 금기숙 (1999). 패션 디자인을 위한 전통복식의 활용 현황에 관한 연구. 복식, 48. pp. 69-82
  32. 김윤희 (1990). 20세기 서양 패션에 나타난 동양 복식미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금기숙 (1992). 한국전통미의 현대적 활용. 복식, 19. pp. 29-40
  34. 김인경 (1995). 한국적 패션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19(3), pp. 536-547
  35. 김찬주 . 장인우 (1999). 한국 현대패션에서의 한국적 디자인 전개과정 분석과 세계화를 위한 제안. 복식, 48, pp. 5-24
  36. 정승섭 (1972). 남종 문인화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7. 김경희 (1970). 문인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강행원 (2001). 문인화론의 미학. 서울: 서문당. pp. 19-42
  39. 두산세계대백과 http://www.kr.yahoo.com
  40. 자료집 1 (1993). 제 1회 개인전. 남봉 미술관, 광주, 11월 11일-21일
  41. 홍주 (1997). 문인화의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이영아 (1999). 한국적 패션디자인의 형태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자료집 4 (2000). 제4회 개인전 신세계 갤러리. 광주, 6월 20일-26일
  44. 자료집 3 (1998). 제3회 개인전. 백악예원, 서울. 11월 12일-18일. p. 15. p. 28
  45. 자료집 2 (1997). 제2회 한국 현대 문인화 연구회전. 공평아트센타, 서울, 2월 19일-25일. p. 29
  46. 자료집 4 (2000). 제4회 개인전 신세계 갤러리. 광주, 6월 20일-26일. p. 44
  47. 자료집 1 (1993). 제 1회 개인전. 남봉 미술관, 광주, 11월 11일-21일. p. 14
  48. 유희경 (1986). 한국 복식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