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quality changes of ready-prepared conger eel products adding ginseng and pine mushroom during storage and sterilization

인삼과 송이를 첨가한 조리장어제품의 저장 및 살균방법에 따른 품질변화에 관한 연구

  • 김혜영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임양이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nges of retort pouched seasoned-conger eel products during a 60 day of storage at 4, 15 and -20$^{\circ}C$. The seasoned-conger eel products was sterilized at either 100 or 121$^{\circ}C$ for 90min., and then vacuum packed in plastic film bags. When comparing their duality before and after sterilization, the pH and VBN of all the products slightly decreased, while the TBA values slightly increased after sterilization. The color value, b, of the product decreased after sterilization, while the L value rarely changed. During storage the pH and VBN of all the products were little changed at the storage temperatures of 15 and -20$^{\circ}C$. The TBA values increased after 30 and 60 days at 15$^{\circ}C$, and at 4 and -20$^{\circ}C$, respectively. As for color difference during storage, the L and a values were little changed during storage, while the b value increased. In conclusion, the quality of the retort pouched seasoned-conger eel products remained good during the 60 day storage period when chilled and frozen after sterilization, and could be consumed as an instant food, keeping an appropriate content and soft texture.

저장온도 및 살균처리에 따른 조리장어제품의 품질특성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장어소스에 인삼과 자연송이를 첨가시켜 원료 붕장어를 가열 후 진공포장 및 살균(10$0^{\circ}C$와 121$^{\circ}C$)처리하여 60일간 상온(15$^{\circ}C$), 냉장(4$^{\circ}C$) 및 냉동 (-2$0^{\circ}C$)저장하였다. 저장 후 조리장어제품의 이화학적인 특성인 pH, VBN, TBA가 및 색도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붕장어의 부위별에 따른 일반성분 분석결과, 수분함량은 머리부위가 72.2%, 조지방은 꼬리부분이 14.39%, 조단백질은 머리부위 18.5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조리된 장어제품의 pH는 인삼 및 자연송이 첨가구 모두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인삼 및 자연송이를 첨가시켜 10$0^{\circ}C$와 121$^{\circ}C$에서 살균한 경우 상온저장에서 각각 6.00, 6.21 및 6.19, 6.13에서 50일 저장 후 5.83, 5.87와 5.75, 5.77로 두 처리구 모두 저장말기에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살균방법에 따른 pH의 변화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3. VBN함량의 변화는 인삼 첨가구의 경우 살균방법에 따른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상온의 경우 살균에서 저장 50일 후 9.45, 8.07에서 15.06, 15.14mg%로 모든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살균(10$0^{\circ}C$와 121$^{\circ}C$) 및 비살균 처리된 자연송이 첨가구의 경우 각각 9.35, 9.01, 9.66mg%에서 냉동 60일 경과 후 10.21, 10.34, 10.05mg%로 약간 증가되어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VBN함량은 낮게 나타났다. 4. 인삼 및 자연송이가 첨가된 조리장어제품의 TBA가는 비살균의 경우 살균에 비하여 다소 높게 나타났다. 상온의 경우 냉장과 냉동에 비하여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비교적 증가하였다. 살균 후 냉동의 경우 TBA가의 변화는 완만히 증가하였다. 자연송이가 첨가된 상온의 경우 살균(10$0^{\circ}C$와 121$^{\circ}C$) 및 비살균에서 0.297, 0.293, 0.205에서 50일 경과 후 0.612, 0.472, 0.898로 비살균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따라서 비살균의 경우 저장말기에 TBA값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5. L값은 살균처리의 경우 저장 30일 이후 약간 어두워지는 경향을 보였고, 121$^{\circ}C$ 살균처리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대체로 저장온도가 높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약간 밝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적색도는 인삼 첨가구의 경우 상온 및 냉장저장에서 10$0^{\circ}C$ 살균이 121$^{\circ}C$ 처리구 보다 약간 높은 값을 보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적색도의 변화는 인삼과 송이 첨가구에서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황색도는 상온 및 냉장저장에서 저장기간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후 상온저장 50일 째, 냉장 60일 째 가장 높게 나타났다. 121$^{\circ}C$ 살균처리구가 10$0^{\circ}C$ 처리구보다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수산진흥원 : 한국수산물성분표, 1995
  2. 농림수산부 : 농림수산 통계연보, 1996
  3. 해양수산부 : 수산통계연감, 1997
  4. 문현경 : 한국식품개발연구소, 한국음식세미나, 우리음식의 국제화를 위한 식단의 표준화, 식품과학과 산업, 27(2), 1994
  5. Song, DJ, HA, JH and Lee, EH : Studies on histological changes in marine food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1. changes in muscular tissue and fat migration of eel, Anguilla japonica, during drying. Bull, Korean Fish. Soc., 15(2):137, 1982
  6. Song, DJ and Lee, EH : Studies on histological changes in marine food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2. changes in muscular tissue of the eel, Anguilla japonica, by frrezing storage. Bull, Korean Fish. Soc., 15(3):199, 1982
  7. Yang, ST and Lee, EH : Fish jelly forming ability of frozen and ice stored common carp and conger eel. Bull, Korean Fish. Soc., 18(1):44, 1985
  8. Yang, ST and Lee, EH : Fish jelly forming ability of frozen and common carp and conger eel. Bull, Korean Fish. Soc., 18(2):139, 1985
  9. Choi, JH, Rhim, CH and Bae, TJ : Studies on lipid in fresh-water fishes 7. comparison of lipid components among wild and cultured eel(Anguilla japonica), and conger eel(Astroconger myriaster). Bull, Korean Fish. Soc., 18(5):439, 1985
  10. Choi, JH, Ro, JI and Pyeun, JH: Studies on lipid in fresh-water fishes 3. distribution of lipid components in various : tissues of eel, Anguilla japonica. Bull, Korean Fish. Soc., 17(6):477, 1984
  11. Yang, ST and Lee, EH : Taste compounds of fresh water fishes 7. taste compounds of wild eel meat. Bull, Korean Fish. Soc., 17(1):33 1984
  12. Suh, JS and Lee, KH: Studies in browning reaction in dried fish. Bull, Korean Fish. Soc., 27(5):454 1994
  13. Kim, HS and Lee JM : Food analysis of wild and cultured freshwater fish. Korean J. Fish Soc., 19(3);195, 1986
  14. Morish T, Uno K, Imura N and Takahashi T : Variation with growth in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cultured red sea bream, Nippon Suisan Gakkaishi, 53(9);1601, 1987 https://doi.org/10.2331/suisan.53.1601
  15. Korea H, Osato S, Miyata., Wu Z, Tashibana K and Tsushimoto M : Changes in amounts of fat, water, protein and ash in while bodt of culture red sea bream, Nippon Suisan Gakkaishi, 61(2);211, 1995 https://doi.org/10.2331/suisan.61.211
  16. Kunisaki N, Takata and Matsura H : On the study of lipid contents, musle hardnes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in wild and cultured Horse Mackerel, Bulletin of the Japanese J. Fish. Soc., 52(2):333, 1986 https://doi.org/10.2331/suisan.52.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