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microbial Activity of Maesil(Prunus mume) Juice against Selected Pathogenic Microorganisms

매실(Prunus mume) 착즙액의 식중독 유발균에 대한 항균 작용

  • 이현애 (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남은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 ;
  • 박신인 (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3.03.01

Abstract

Prunus mume has been used for the folk medicine by many old civilizations to treat food-borne diseases or enteric disorde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antimicrobial effect of juice from Prunus mume against pathogens such a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Bacillus cereus. The juice of Prunus mume ha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to Sal. enteritidis. The concentrations of Prunus mume juice for the formation of clear zone were 1% for Sai. enteritidis(15.0mm), 3% for Lis. monocytogenes(14.7mm), and 5% for Bac. cereus(14.75mm), Esc. coli(13.45mm) and Sta. aureux(11.9mm). The growth of all tested microorganisms was inhibited apparently in tryptic soy broth containing 3% and 4% Prunus mume juice. And it was found that the Prunus mume juice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properties, followed by Sal. enteritidis, Bac. cereus, Sta. aureus, Lis. monocytogenes, Esc. coli.

매실 착즙액에 의한 식중독 현상을 일으키는 세균 5종(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에 대한 항균력을 검토하였다. 매실 착즙액의 항균성을 paper disc agar diffusion법으로 생육 저해환의 생성 유무로 관찰한 결과 매실 착즙액은 시험 균주 모두에 대해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가장 뚜렷한 생육 저해환을 형성한 매실 착즙액의 농도는 Sal. enteritidis(15.0mm)는 1%, Lis. monocytogenes(14.7mm)는 3%, Bac. cereus(14.75mm), Esc. coli(13.45mm)와 Sta. aureus(11.9mm)는 5%이었다. 매실 착즙액에 의한 식중독 유발균의 생육 억제 효과는 매실 착즙액 3%와 4%첨가에 의해 Sal. enteritidis는 각각 24시간과 6시간에서 성장이 완전히 억제되어 매실 착즙액에 의한 가장 강력한 항균력을 보였으며, Bac. cereus 경우에는 3%와 4% 첨가에 의해 모두 12시간, 그리고 2% 첨가구에서는 24시간에 완전히 생육을 정지시는 뚜렷한 생육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매실 착즙액 3%와 4%를 함유한 배지 상에서 Sta. aureus의 성장은 배양 후 24시간에 모두 저해되었고, Lis. monocytogenes의 경우는 각각 48시간과 24시간에, Esc. coli의 경우는 모두 36시간에 균 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매실 착즙액의 식중독 유발균에 대한 생육 억제 효과는 Sal. enteritidis, Bac. cereus, Sta. aureus, Lis. monocytogenes, Esc. coli순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매실 과육에 함유된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 succinic acid, tartaric acid, fumaric acid, maleic acid, $\alpha$-ketoglutaric acid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6~9,23,24)}$) 매실의 유기산 함량은 다른 과실보다 다소 높게 함유되어 있고 가장 많이 들어있는 유기산은 citric acid로 이는 레몬이나 감귤에 비해 훨씬 많은 양이 들어있었다$^{23}$. 본 실험에서 사용된 매실 착즙액 3%와 4% 첨가구에서의 pH는 각각 3.47과 3.34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매실 착즙액이 각종 실험 균주에 대해 항균력을 가지는 것은 낮은 pH와 더불어 citric acid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매실 착즙액이 식중독 유발균에 대해 강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인공 합성 보존료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보존료로서 식품에의 이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임재웅, 이규봉 : 매실의 항미생물 활성 연구, 동아시아 식생활학회지, 9(4), 442-451(1999)
  2. 서화중, 이명렬, 정두례 : 매실 추출물이 흰쥐의 위액분비 및 사염화탄소로 유발시킨 가토의 간장 장애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9(1), 21-26 (1990)
  3. 서화중, 고은영, 이명렬 : 매실 추출물이 가토의 alloxan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6(3), 41-47(1987)
  4. 박상갑 : 매실 엑기스 투여가 여자 배드맨턴 선수들의 혈액 성분에 미치는 영향, 대한 스포츠의학회지, 8(1), 40-43(1990)
  5. 배지현, 김기진, 김성미, 이원재, 이선장 : 매실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개발, 한국식품과학회지, 32(3), 713-719(2000)
  6. 차환수 : 한국산 매실의 성숙 중 이화학적 특성과 저장중 포장 조건에 따른 품질 특성 변화,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7. 강민영, 정윤화, 은종방 : 배실 과육과 매실 착즙박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1(6), 1434-1439(1999)
  8. 송보현, 최갑성, 김용두 : 매실 품종과 수확 시기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과 향기 성분의 변화, 한국저온저장학회지, 4, 77-85(1997)
  9. 심기환, 성낙계, 최진상, 장갑석 : 매실의 성숙 중 주요 성분의 변화,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8(1), 101-108(1989)
  10. 차환수, 박용곤, 박정선, 박미원, 조재선 : 매실의 성숙중 경도, 무기성분 및 펙틱질의 변화,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6(4), 488-494 (1999)
  11. 정지흔 : 매실의 시기별 화학적 성분, 전남대학교 농어촌개발연구, 20, 61-69 (1985)
  12. 차환수 : 국내의 매실의 가공 및 유통현황, 식품기술,9(1), 3-26 (1996)
  13. 이태훈 : 암 세포 증식에 미치는 Prunus mume(매실) extracts의 영향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8)
  14. 임재웅 : 매실의 항균성 및 생리 활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15. 임대관, 최웅, 신동화 :국내산 약용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검색과 용매 분획물의 비교, 한국식품과학회지, 28(1), 83-89 (1996)
  16. 한재택, 이상윤, 김경남, 백남인 : 매실l(Prunus mume)의 항산화 활성 물질, rutin, 한국농화학회지, 44(1), 35-37 (2001)
  17. 김미혜, 김명철, 박종석, 김종욱, 이종옥 : 다류 원료 식물류 물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33(1), 12-18 (2001)
  18. 박종현, 한남수, 유진영, 권동진, 신현경, 구영조 : Bifidobacterium spp.와 Clostridium perfringens의 생육에 영향을 주는 식품 소재의 탐색, 한국식품과학회지, 25(5), 582-588 (1993)
  19. 김희연, 이영자, 홍기형, 권용관, 이주연, 김소희, 하상철, 조홍연, 장이섭, 이철원, 김길생 : 전통 식품 및 천연물에서 천연 보존료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31(6), 1667-1678 (1999)
  20. Collins, C. H. and Lyne, P. M : Col1ins and Lyne's Microbiological Methods, 6th ed., p.161 (1989)
  21. 한지숙, 신동화, 윤세억, 김문숙 : Listeria monocytogenes 의 증식을 억제하는 식용 가능한 식물 추출물의 검색, 한국식품과학회지, 26(5), 545-551 (1994)
  22. 배지현, 김기진 : 매실 추출물을 함유한 음료가 식중독 유발균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9(2), 214-222 (1999)
  23. 이동석, 우상규, 양조범 : 한국산 주요 과실류의 화학 성분에 관한 연구. 매실, 복숭아, 포도, 사과 및 배의 주요 품종별 계절적 비위휘발성 유기산 및 당의 함량 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4(2), 134-139 (1972)
  24. 신승렬, 손영아, 김광수 : 매실의 성숙 중 향기 성분과 유기산의 변화, 생명자원산업학회지, 3, 41-47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