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search on Waist lined Coat with Pleats based on the Excavated Costume from the Byun-su(1447-1524)Tomb

변수(변수 : 1447~1524)묘 출토 요선철릭에 관한 연구

  • 최은수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 Published : 2003.07.01

Abstract

Waist lined Coat with Pleats excavated from Byun-su(1447-1524) Tomb in Yangpyeong were very similar in size to the costume of Haeina Temple which is the oldest YosunChollik up to now YosunChollik was popularly worn in the Yuan Dynasty of China(원) and it is presumed to be flown into Korea in that period. In China, the coat with a straight collar was called ByeonseonOh , and one with a round collar was called ByeonseonOhja in the Yuan Dynasty. The excavated relics of Haeinsa Temple are almost same as ByeonseonOh. In the Myoung Dynasty(명), the coat with a straight collar was called YoseonOhja, and one with a round collar was called Round collar YoseonOhja . The Waist lined Coat with Pleats excavated in the Byunsu Tomb is same as YoseonOhja Attendants who is low in position and doctors used to wear the coat, which was spread to diverse classes by degrees. Later, even emperors and high ranking officials used to wear it as military uniforms. It was made of silk and summer cloth. As mentioned above, 1 examined its history carefully through Chinese documents and photographic materials on relics. In addition, with the authentic records of Korea and the excavated relics of the Byun-su Tomb, 1 analyzed its components. However, the analysis was very restricted because the relics to be compared with were few.

Keywords

References

  1. 함평 이씨 이계윤(1431-1489). 묘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 민속박물관 소장
  2. 김흠조(1461-1528). 묘 : 영주시 소장
  3. 권영숙, 이주영, 장현주 (1997). 해인사금동비로자나불 복장복식과 고려후기 의복의 특성. 해인사금동비로자나불복장유물의 연구 성보문화재단. pp. 142-145
  4. 이은주 (1998). 16세기 전기 단령의 구성법 일례. 복식문화학회, 6(2), pp. 127-140
  5. 이은주 (1999). 16세기 전기 철릭의 구성법 일례. 복식문화학회, 7(2), pp. 242-256
  6. 김선영 (1999). 중국의 철릭에 관한 연구-원, 명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35
  7. 華梅 著, 박성실. 이수웅 역 (1992). 中國服飾史. 서울: 도서출판 경춘사. p. 167
  8. 김선영 (1999). 중국의 철릭에 관한 연구-원, 명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36-37
  9. 권영숙, 이주영. 장현주 (1997). 해인사금동비로자나불 복장복식과 고려후기 의복의 특성. 해인사금동비로자나불복장유물의 연구 성보문화재단, p. 120
  10. 이주영 (2001). 조선시대 직령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66
  11. 최해율 (2001). 몽골 여자복식의 변천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58-60
  12. 서정원 (2002). 老乞大 刊本들을 통해본 14-18세기의 복식관련 용어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5
  13. 彭大雅 撰 徐霆 疏證 (1985). 黑韃事略. 北京. 中華書局. p.5
  14. 한국학데이타베이스연구소 (1997). CD-ROM 국역 조선왕조실록. 서울시스템(주)을 이용 검색
  15. 김선영 (1999). 중국의 철릭에 관한 연구-원, 명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6, 38
  16. 이은주 (1998). 金欽祖(1461-1528). 분묘의 출토복식을 통해 본 조선 전기의 斂龔衣에 관한 고찰. 判決事金欽祖先生 合葬墓 發掘調査 報告書, 영주시
  17. 이은주 (1998). 李仁孫(1477-1543). 묘의 출토복식에 대한 고찰. 고문화 제 52집, 한국대학박물관협회, pp. 107-122
  18. 박성실 (1992). 朝鮮前期 出土服飾硏究 : 壬辰倭亂以前 時期를 中心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