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extiles used for Po(overcoat) in the Excavated Costumes of the Chosun Dynasty

조선시대 출토복식 중 포류에 사용된 직물유형 연구

  • 조효숙 (경원대학교 의상학과) ;
  • 임경화 (가톨릭대학교 의류학과) ;
  • 김지연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 Published : 2003.07.0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extiles used for the ancient costumes that are excavated from tombs of the Chosun dynasty, focusing especially on Po(overcoat).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at silk occupies 79.8% of all the textiles used for Po, and cotton and linen follow. The weaving method of silk was primarily plain and satin weaves. However the use of twill, gauze, and double weave, that had led weaving methods of silk during the Koryo dynasty, are considerably decreased in Chosun dynasty. Danlyeong(단령) and Cheollik(첩리) had been made of various textile fabrics like cotton, linen, silk and blended fabric before Imjinwaeran(임진왜란). After the war, they were simplified in gauze weaved silk or satin weaved silk, And also patterned fabric were widely used for them than other Po. Simple fabrics like cotton, linen and plain weaved silk had been used for Aekjureum(액주름) and Jiklyeong(직령) before Imjinwaeran. After the war, Jiklyeong was used as underwears of Danlyeong, so it was made of high quality patterned silk. Dopo(도포) and Changuiryu(창의류) were mainly excavated from tombs after the war, high quality plain weaved silk are used than gorgeous Patterned silk. For the Dopho(답호) and Bansuui(반수의), before the war, they were made with various textiles such as plain weaved silk, twill weaved silk, satin weaved silk, cotton, linen, and blended fabric. But after the war plain weave was mainly used. In Jangui(장의), since it was mostly for women, many kinds of women's patterned silk were used in than any other Po. There were only a few excavation of Simui(심의) and most of them were made of ramie and were hemmed in black satin without pattern.

Keywords

References

  1. 건들바우박물관(한국무속박물관). (1991). 진주하씨묘 출토문헌과 복식조사보고서
  2. 경기도박물관 (2001). 전주이씨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광주 고읍 인평대군파 의원군 일가
  3. 고부자 (1993). 고양시 행신동 출토 양천허씨 유물 소고. 한국복식, 11호, pp. 143-163
  4. 고부자 (1995). 충북 충주시 목계동 출토 풍산홍씨 유물 소고. 한국복식, 13호, pp. 51-57
  5. 고부자 (1997). 천안시 풍세면 출토 제주고씨 유물 연구. 한국복식, 15호, pp. 65-81
  6. 고부자 (1999). 일영출토 고령신씨 유물 소고. 한국복식, 17호, pp. 41-58
  7. 고부자 (2001). 상암동 출토 전주이씨 익정 유물연구. 한국복식, 19호, pp. 85-104
  8. 고부자. 박성실 (1992). 서울 하계동 출토 문화유씨 유물소고. 한국복식, 10호, pp. 107-118
  9. 고부자, 박성실 (1991). 고양 능곡 무원 출토 나주정씨 월헌공파 출토유물 소고. 한국복식, 9호. pp. 45-57
  10. 고부자. 박성실 (1990). 여주출토 동래정씨 출토유물. 한국복식, 8호, pp. 71-79
  11. 고부자. 박성실 (1989). 성남출토 동래정씨 출토유물에 관한 소고. 한국복식, 7호, pp. 123-153
  12. 광주민속박물관 (2000). 하천 고운 출토유물
  13. 국립민속박물관 (2000). 오백년의 침묵, 그리고 환생
  14. 김영자, 김영숙. 장인우, 이수봉 (1999). 조선시대 복식연구. 학연문화사
  15.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6). 중요민속자료편(下). 문화재대관
  16. 박성실 (1985). 파주 금릉리 출토 경주정씨 유물소고. 한국복식, 16호, pp. 31-48
  17. 박성실 (1993). 경주군 돌마연 후율리 출토 전주이씨 의안대군 양소공파 유물 소고. 한국복식, 11호, pp. 57-89
  18. 박성실 (1992). 조선전기 출토복식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박성실 (1994). 천안 쌍용동 출토 풍산홍씨 유물 소고. 한국복식, 12호, pp. 119-128
  20. 박성실 (1996). 화성 구포리 출토복식 소고. 한국복식, 14호, pp. 49-66
  21. 박성실 (2002). 서울시 중계동 출토 성주이씨 대사헌 언충묘 복식 고찰. 한국복식, 20호, pp. 89-105
  22. 박진영 (2000). 조선시대 복식유물에 관한 연구 -소장현황을 중심으로-. 서울여대석사학위논문
  23. 배상경 (1992). 숙부인 여흥민씨 유의에 관한 보존처리 및 복식사적 고찰. 경기향토사료집, 제 5집, 경기도
  24. 문화재관리국 (1994). 복식보존처리보고서 (1992-1994)
  25. 서울대학교박물관 (2000). 이석명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26. 석주선기념 민속박물관 (1988). 진천출토 경주이씨 유물. 한국복식, 6호, pp. 52-55
  27. 안명숙 (2001). 17세기 여자 출토복식의 일례 -전남영암출토 경주이씨 분묘의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복식, 51-4, pp. 5-14
  28. 안동대학교박물관 (1996). 안동지역 전통복식
  29. 안동대학교박물관 (2000). 포항내단리 장기정씨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30. 안동대학교박물관 (2000). 안동 정상동 일선문씨와 이응태묘 발굴조사보고서
  31. 영주시 (1998). 판결사 김홈조선생 합장묘 발굴조사 보고서
  32. 충북대학교박물관 (1988). 출토유의 및 근대복식논고
  33. 충북대학교박물관 (1983). 임진왜란전후 출토복식 및 상례
  34. 충북대학교박물관 (1995). 우리나라 16.17세기 출토 복식
  35. 영조실록 52년 3월 9 일 柳綠雲紋緞團領
  36. 숙종인현후 가례도감의궤, 妃父의 團領 鴉靑雲紋大緞
  37. 순조순원후 가례도감의궤. 妃父의 團領 柳綠雲紋大緞 藍雲紋大緞
  38. 헌종효현후 가례도감의궤. 妃父의 團領 鴉靑雲紋大緞 藍雲紋大緞
  39. 철종철인후 가례도감의궤. 妃父의 團領 鴉靑雲紋大緞 藍雲紋大緞
  40. 고종명성후 가례도감의궤. 妃父의 團領 鴉靑雲紋大緞 藍雲紋大緞
  41. 송미경 (2002). 조선시대 여성단령에 관한 연구 -출토 복식을 중심으로-. 복식, 52(8), pp. 151-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