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Landsat ETM+ Image for Gomso Bay Tidal Flat Sediments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의 Landsat ETM+ 자료 특성

  • 류주형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 최종국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 나영호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 원중선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Published : 2003.04.01

Abstract

A field survey and Landsat ETM+ image acquisition carried out simultaneously. Using these data, we attempted to establish relationships between tidal flat environmental factors and reflectance observed by ETM+, and to set up a new critical grain size useful for optical remote sensing. Although the grain size of 4 $\Phi$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as a critical size by sedimentologists, the correlation with optical reflectance was very low. Instead, the grain size of 2 $\Phi$ showe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0.699, with ETM+ band 4, except near tidal channels in upper tidal flat. We concluded that the grain size of 2 $\Phi$ would be better to use for a critical grain size in Gomso Bay. The grain size also correlated well with moisture content having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811 when the 2 $\Phi$ criterion was used.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showed moisture content was more important parameter than topographic relief, and they were different from German tidal flats in which topographic relief was the prior factor This can be explained by finer grain composition of the Gomso bay tidal flat. In short, moisture content and topography as well as grain size should be considered in tidal flat remote sensing.

이 연구에서는 곰소만 조간대에서 현장 시료채취와 동시에 얻어진 Landsat ETM+ 자료를 이용하여 조간대 환경요인들이 ETM+에 의해 관측된 반사도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 지 밝히고, 광학위성영상을 이용한 조간대 표층퇴적물의 분류의 적용 가능한 기준입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인 퇴적학적 분류 기준이 되는 4 $\Phi$ 입도를 기준으로 했을 때 입도와 영상의 반사도 간의 상관관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2 $\Phi$ 이상의 입자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는 상부조간대의 천주변에 작은 입자로 구성된 지역의 자료들을 제외하면 ETM+ 밴드 4번과 0.699의 높은 상관계수를 보인다. 즉, 입도 2 $\Phi$ 곰소만 조간대에서의 광학위성 자료에 의한 표층퇴적물 분류를 위한 기준입도로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입도와 함수율은 비교적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특히 입도 2 $\Phi$ 기준과는 -0.811로서 뚜렷하게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위성자료의 Factor analysis 결과는 지형요소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독일의 조간대와는 다른 특성을 보이며, 이는 곰소만의 경우는 입자가 세립하여 지형보다는 함수율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조간대 원격탐사에서는 입도뿐만 아니라 함수율과 지형 등의 환경요소가 함께 고려하여야만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연안해역 기본조사 보고서(석포지구) 국립지리원
  2.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원격탐사를 이용한 곰소만 조간대의 지형변화 및 퇴적물 특성연구 류주형
  3. 한국지구과학회지 v.22 no.2 서해 곰소만 퇴적작용에서 모래톱의 역할 이인태;전승수
  4.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한국 서해안 곰소만 조간대의 퇴적작용 장진호
  5. 대한원격탐사학회지 v.18 no.2 다중시기 위성영상의 무감독 분류에 의한 갯벌의 입자 분포도 정종철 https://doi.org/10.7780/kjrs.2002.18.2.71
  6. 대한원격탐사학회지 v.15 no.3 위성영상을 이용한 줄포만 간석지의 미지형분류와 지형적 특성 조명희 https://doi.org/10.7780/kjrs.1999.15.3.217
  7. Neth. J. Sea Res. v.20 Sediment classification and surface type mapping in the Danish Wadden Sea by remote sensing Bartholdy,J.;S.Folving
  8. Helgolander Meeresunters v.43 Factor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remotely sensed data for monitoring tidal flats Doeffer,R;D.Murphy
  9. Surveys Geophys. v.18 Global sea rise a redetermination Douglas,B.C.
  10. Sedimentology v.6 A review of grain size parameters Folk,R.L.
  11. J.Sedimentary Res. v.69 no.2 Holocene transgressive stratigraphy of a macrotidal flat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Gomso Bay Kim,Y.H.;H.J.Lee;S.S.Chun;S.J.Han;S.K.Chough
  12. J. Geophys. Res. v.102 Development of an operational atmospheric correction algorithm for TM imagery Liang,S.;H.Fallah-Adl;S.Kalluri;J.Jaja;Y.Kaufman;J.Townsend
  13. Commercial Remote Sensing Repot Sand and gravel particle size discrimination using airborne terrestrial applications sensor(ATLAS),SSC,MS:NASA Stennis Space Center Luders,J.;S.chill;J.R.Jensen;G.Olson
  14. Remote Sensing Environ. v.83 no.3 Waterline extraction from Landsat TM data in a tidal flat: A case study in Gomso Bay Ryu,J.H.;J.S.Won;K.D.Min
  15. Can. J. Remote Sensing v.21 On the dark target approach to atmospheric correction of remotely sensed data Teillet,P.M.;G.Fedosejevs
  16. IEEE Trans. Geosci. Remote Sensing v.35 no.3 Second simulation of the satellite signal in the solar spectrum, 6S:An overview Vermote,E.F.;D.Tanre;J.L.Deuze;M.Herman;J.J.Morcret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