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this paper we identify that there are High Higher surfaces(HH-surface) around Jeongdongjin and Daejin area where Higher surfaces(H-surface) of marine terrace are formed on a large scale. On the basis of an altitude of the ancient shoreline of the marine terraces, geomorphic surfaces can be classified into HH I (140m a.s.l), HH II (110m a.s.l), H I (90m a.s.l), H II (70m a.s.l), M (40m a.s.l), L I (25m a.s.l) and L II (10m a.s.l). Besides, we identify that the lowest surfaces(5~6m a.s.l) are found extensively in the research area which are assumed to be formed in the Holocene. Considering that the formation mechanism of the marine terraces in the research area is similar to that of the marine terraces at both Campo area in the south east coastal region of Korea md the thalassostatic terraces of Osip River in Samchuk in a short distance from the research area, we can assume that the HH-surfaces in both areas were formed in the same period. Based on the fact that L I- surface was formed on the Last Interglacial Stage of MIS 5, we can infer that M- was formed in MIS 7, H I- in MIS 9, H II- in MIS 11, HH I- in MIS 13 and HH II- in MIS 15. The reason for that H-surfaces, similar to those at Gampo area, to remain on a large scale is that the Holsteinian Interglacial continu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at that time there was a large wave-cut platform in the vicinity of the shoreline.
정동진, 대진 지역에는 규모가 큰 해안단구 고위면이 형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 중부 동해안에서 처음으로 구정선고도의 해발고도가 고위면보다 높은 고고위면이 확인되었다. 해안단구의 구정선고도는 고고위 I면(HH I) 해발고도 140m. 고고위 II교면(HH II) 110m, 고위 I면 90m, 고위 II면 70m, 중위면 40m, 저위 I면 25m, 저위 II면dl 10m이다. 그리고 홀로세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해발고도 5~6m의 가장 낮은 해안단구가 연구지역 전체에서 나타난다. 고고위면은 인근의 삼척 오십천 해면변동단구와 남동해안 감포지역에서 확인되는 고고위 면과 같은 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연구 지역의 해안단구 형성체계가 이들 지역의 그것과 거의 같은 데서 추론할 수 있다. 해안단구 형성시기는 최종간빙기인 MIS 5시기로 확인된 저위 I면을 단서로 중위면은 MIS 7. 고위 II면은 MIS 9, 고위 I면은 MIS 11로 판단된다. 고고위 II면은 산소동위체 MIS 13, 고고위 I면은 산소 동위체 MIS 15에 형성되었을 것이다. 고위면이 한반도 남동부 지역과 유사하게 큰 규모로 남아있는 것은 이것을 형성한 Holsteinian Interglacial의 기간이 매우 길고, 이 시기의 해면 위치에 기반암의 완사면이 넓게 형성되어 있었으므로 파식대가 비교적 용이하게 만들어진데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