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ress During the 16th Century of Chosun Dynasty through "Kiyeonghoido" - Focusing Men's Costume -

"기영회도(耆英會圖)"에 나타난 16세기 복식에 관한 연구 - 남자복식을 중심으로 -

  • 최지희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
  • 홍나영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 Published : 2003.05.01

Abstract

This paper is about the dress styles during the 16th century of the Chosun dynasty, just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rough painting-Kiyeonghoido. In the Chosun period, dress styl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presenting the differences in social status. The most remarkable signs of social standing are the hair ornaments. Officials in ranks, noksas, and seoris are wearing a same, a yugakpyeongjeongeon and a mugakpyeongjeongeon respectively. The head ornament for musicians in high ranks is a samo, and, for those in low ranks a hood or a heuklip. Accordingly, head ornaments were important articles among apparels, and especially ripja was an article that sensitively reflected the contemporary fashion. Such a trend also influenced the common people's styles of dress. Thus, the style of the heuklip worn by the chamberlain in Kiyeonghoido resembled of yangban's. Actual official uniforms also diverged from the specifications for them. Sangboks were red for both dangsanggwans and danghagwans, but their ranks were marked by the material of their dress rather than by the breast plates. Dress styles change over time as the society members influence and are influenced by each other. Therefore, owing to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a hierarchical society, dress styles are distinctive according to the wearers' social standings and roles, and various dress styles emerge that deviate from regulations.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paper is to review the diversity of the dress styles during the 16th century of the Chosun dynasty.

Keywords

References

  1. 성현 저. 이혜구 역 (2000). 樂學軌範 卷之二 俗樂陳設圖說 時用賀禮及宴享樂. 서울: 국립국악원. p. 188
  2. 成宗實錄 11年 3月 3日(癸未), 20年 9月 9日(甲子), 21年 9月 9日(戊午)
  3. 中宗實錄 2年 9月 9日(己酉)
  4. 안휘준 (1994). 한국풍속화의 발달, 풍속화. 서울: 중앙일보사. p. 172
  5. 법제처 역 (1993). 經國大典 卷之一史典 京官職條.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p. 31, pp. 35-54
  6.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 (1981). 增補文獻備考 卷七十九 禮考二十六 章服一 朝鮮.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p. 256
  7. 김성일 저, 정선용 역 (1999). 鶴峰全集 鶴峰集 卷六風俗考異.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p. 21-22
  8. 이수광 저, 남만성 역 (1994). 芝峰類說 服用部 朝章. 서울: 을유문화사 p. 415
  9. 송시열 저. 민족문화추진회 편 (1993). 宋子大全 卷百三十七 序 領府事李公凡杖宴序.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 pp. 537-538
  10. 윤국형 저, 권덕주 역 (1975). 大東野乘 XIV 卷之五十五 甲辰漫錄.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96
  11. 이육 저, 민족문화추진회 역 (1971). 大東野乘 II 卷之六 靑城劇談.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132
  12. 어숙권 저. 한국도서관학연구회 편 (1974). 攷事撮 要風俗. 서울: 남문각
  13. 이은주 (1998). 조선전기 斂襲衣의 일례-김흠조(1461-1528) 분묘의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비교민속학, 15, pp. 94-105
  14. 어숙권 저. 민족문화추진회 역 (1974) 大東野乘 I卷之四 稗官雜記 二.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479
  15. 董越저, 윤호진 역 (1994). 朝蘇賦. 서울: 까치. p. 42
  16. 어숙권 저, 민족문화추진회 역 (1974). 大東野乘 I卷之四 稗官雜記 二.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465
  17. 이덕형 저, 민족문화추진회 역 (1975). 大東野乘 XVII 卷之十一 竹窓閑話.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262
  18. 허봉 저, 민족문화추진회 역 (1971). 大東野乘 II 卷之九 海東野言 三.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432
  19. 차천로 저, 민족문화추진회 역 (1971), 大東野乘 II 卷之五 五山說林草藁.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56
  20. 王圻 저. 成文出版社有限公司 편 (1970). 三才圖會衣服一卷. 臺北: 成文出版社有限公司, pp. 1515-1517
  21. 조재삼 저, 임기중 편 (1987), 松南雜識 衣食類. 서울: 동서문화원. pp. 2029-2030
  22. 민중서림편집국 편 (2000). 漢韓大字典. 서울: 민중서림. p. 1840
  23. 이훈종 (1970). 국학도감 서울. 일조각. p. 19
  24. 한우근, 이성무, 민현구, 이태진, 권오영 (1986). 譯註經國大典. 성남: 한국정신문화원. p. 620, p. 738
  25. 조극선 (未詳). 冶谷先生集 卷之四 三官記 目官. 서울대학교 규장각 마이크로필름
  26.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 (1981). 增補文獻備考. 卷八十 禮考二十七 章服二 雜服 朝鮮, p.295
  27. 이긍익 (1800). 燃藜室記述 別集 卷之十三 政敎典故 冠服.서울대학교 규장각. 마이크로필름
  28. 최남선 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육당전집 편찬위원회 편 (1993). 朝鮮常識 衣服萹 平凉子. 서울: 현암사. p. 469
  29. 董越저, 윤호진 역 (1994). 朝蘇賦. 서울: 까치. pp. 81-82
  30. 최영준 (1998). 18.19세기 서울의 지역분화. 민족문화연구, 31, pp. 21-24
  31. 中宗實錄 25年 5月 18日(丁未)
  32. 이제신 저. 김주회 역 (1975). 大東野乘 XIV 卷之五十七 淸江先生鯸鯖瑣語.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395
  33. 홍나영, 김소현 (1998) 궁중숭불도에 나타난 16세기 복식연구. 복식, 38, p. 315
  34. 이수광 저, 남만성 역. 芝峰類說 服用部 朝章. 서울: 을유문화사 君道部 法禁. pp.121-122
  35. 이수광 저, 남만성 역. 芝峰類說 服用部 朝章. 서울: 을유문화사 君道部 法禁. pp.121-122 服用部 衣服. p. 413
  36. 성현 저. 이혜구 역(2000). 樂學軌範. 卷之二倚樂陳設圖說 殿禮宴女妓樂工排立. p.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