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Seeding Dat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Feed Value of Whole Crop Azuki bean in Jeju Island

제주지역에서 파종기에 따른 청예팥의 생육반응.수량 및 사료가치 변화

  • Cho, Nam-Ki (Dept. of plant Resources Science, College of Agric. & Lige Sci., Cheju National University) ;
  • Kang, Young-Kil (Dept. of plant Resources Science, College of Agric. & Lige Sci., Cheju National University) ;
  • Song, Chang-Ki (Dept. of plant Resources Science, College of Agric. & Lige Sci., Cheju National University) ;
  • Kang, Yong-Chul (Dept. of plant Resources Science, College of Agric. & Lige Sci., Cheju National University) ;
  • Cho, Young-Il (College of Agric. & Lige Sci., Seoul National University) ;
  • Go, Mi-Ra (Dept. of plant Resources Science, College of Agric. & Lige Sci., Cheju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3.03.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seeding date (May 3, 13, 23, June 2, 12)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feed value Azuki bean(Vigna angularis W.F. Wight) from May 3, 2002 to August 3, 2002 in Jeju province. Plant height was the longest (84cm) when seeded on 13 May and was the shortest (48.4cm) when seeded on 12 June. Numbers of branches and leaves per plant, stem diameter and weight of leaves and stems per plant were the same trend with plant height. Fresh forage, fry matter, crude protein and TDN(total digestible nutrient) yield per ha at were increased to 54.6MT, 7.7MT, 1.4MT and 4.5MT, respectively, whereas decreased as seeding date was delayed and then at seeding on 12 June were decreased to 11.5MT/ha 2.12MT/ha 0.4MT/ha and 1.3MT/ha, respectively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crude fat, NFE(nitrogen free extract) and TDN were incresed 17.6%∼21.3%, 3.3%∼4.5%, 34.3%∼41.4% and 56%∼64.8%, respectively, as seeding was delayed from 3 May to 13 June. Whereas the content of crude fiber and crede ash were decreased 33.8%∼23.5% and 11%∼9.3%, respectively.

제주지역에서 파종기 이동(5월 3일, 13일, 23일, 6월 2일, 12일)에 따른 청예팥의 생육반응, 수량성 및 사료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2년 5월 3일부터 8월 3일까지 시험하였다. 초장은 5월 13일 파종에서 84cm로 큰 편이었으나 그 이전과 그 이후의 파종에서는 점차적으로 작아졌고 6월 12일 파종에서 48.4cm였다. 분지수, 엽수, 경직경, 개체당 엽중 및 경중의 반응도 초장의 변화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생초, 건초, 단잭질 및 TDN 수량은 5월 13일 파종에서 각각 54.6MT/ha, 7.7MT/ha, 1.4MT/ha, 4.5MT/ha로 증수되었으나 그 이전과 그 이후 파종기가 지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되어 6월 12일 파종에서의 생초수량은 11.5MT/ha, 건물수량 2.1MT/ha, 조단백질 수량 0.4MT/ha, TDN수량은 1.3MT/ha로 감수되었다. 파종기가 5월 3일에서 6월 13일로 지연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17.6%에서 21.3%로, 조지방 함량은 3.3%에서 4.5%로 NFE 함량은 34.3%에서 41.4%로, TDN 함량은 56%에서 64.8%로 증가되는 반면에 조섬유 함량은 33.8%에서 23.5%로, 조회분 함량은 11%에서 9.3%로 감소되는 경향을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Cho, N.K., W.J. Jin, Y.K. Kang, B.K. Kang and Y.M. Park. 1998. Effect of seeding rate on growth,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forage rape cultivars. Korean J. Crop. Sci. 43(1):54-58
  2. Choi, D.Y., C.E. Lee, C.B. Yang, S.B. Ko and H.S.Lee. 1995. Growth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vity of 0ats(Avem sativa L.) According to Different Seeding Date in Spring in Cheju Area. RDA. J. Agri.Sci. 37(1):481-486
  3. Wardeh. M.F. 1981. Models for estimating energy and protein utilization for feed. Ph.D. Diddertatin Utah State Univ., Logan. Utah. USA
  4. Yoon, Y.B., S.Y. Jeong and J.S. Lee. 1994. The Effect of Different Seeding Date on the Yield and Nutritional Value of Pearl Millet(Pennisetum americalnum L.) J. Korean Grass. Sci. 14(2): 125-131
  5. 三井計夫. 1988. 飼料作物·草地. 養賢堂. pp. 514-519
  6. 原田景次. 1953. 小豆の開花期と開花結責. 日作紀 22:101-102
  7. 田崎順郎. 1957. 小豆の生殖生理に關する寸硏究. 日作紀 25(3):161-162
  8. 金基駿. 金光鎬. 金英姬. 1981. 播種期 移動에 따른 豆科作物의 生育特性 比較硏究. 第2報 콩, 팥, 녹두의 開花期 分布 및 結莢率 變異. 韓作誌 26(3)243-250
  9.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1996. 표준사료성분 분석법. pp. 1-16
  10. 李英豪, 洪殷惠 등. 1991. 팥, 녹두의 播種期가 開花 및 成熟에 미치는 影響. 農試論文集(田 · 特作篇) 33(3):5-14
  11. 조남기. 송창길. 오은경. 조영일. 고지병. 2000. 제주도에서 차풀의 파종기 이동에 따른 새육반응, 수량 및 조성분 변화. 동물자원지 42(5): 711-718
  12. 조남기, 강영길, 송창길, 고영순. 2001a 제주지역에서 파종기에 따른 청예피 사료수량 및 조성분변화. 한초지 21(4):217-224
  13. 조남기, 송창길, 조영일, 고지병. 2001b. 제주지역에서 파종기에 따른 양마의 사료수량 및 조성분변화. 한작지 46(6):439-442
  14. 趙載英. 1992. 四訂 田作, 鄕文社. pp. 330-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