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ronmental Assessment for Acid Mine Drainage by Past Coal Mining Activities in the Youngwol, Jungseon and Pyungchang areas, Korea

영월, 정선 및 평창지역 폐 석탄광 산성광산배수의 환경오염 평가

  • 정명채 (세명대학교 자원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3.04.0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of water system affected by acid mine drainage (AMD) from coal mining activities in the Youngwol, Jungseon and Pyungchang areas in Korea. During November 2000 to July 2002, 6 times of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season-ally from acid mine drainage and nearby streams at 13 coal mines in the study area.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including pH, Eh, TDS, salinity, bicarbonates and DO were measured in the field. Eighteen cations includ-ing Al, Ca, Fe, Mg, Mn and Zn, and 6 anions including nitrates and sulfates were also analyzed by ICP-AES and If, respectively. Acid water from the Jungam coal mine has typical characteristics of AMD with very low pH(3∼4) and high TDS(1,000∼5,000 mg/1).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mg/kg) of heavy meals, especially for Al(380), Fe(80), Mn(44) and Zn(8), were found in water samples from the Jungam coal mine area. Water samples from the Seojin, Sebang and Sungjin coal mines also contained over 50 mg/l of Al, >100 mg/1 of Fe and )10 mg/1 of Mn. In addition to anioins, over 1,000 mg/l of sulfate was found in several water samples. Seasonally, the concentrations of metals and sulfates varied; wet season samples were relatively higher in metals and sulfates than dry season samples. It is needed to establish the proper remediation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of the AMD continuously.

이 연구의 목적은 영월, 정선 및 평창지역에 분포하는 13개 석탄광에서 배출되는 산성광산배수의 물리화학적 특성파악을 통하여 주변 수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2000년 11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총 6회의 시료를 채취하여, pH, Eh, TDS, salinity, DO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물론 Al, Ca, Fe, Mg, Mn, Zn 등을 포함한 총 18개의 양이온, 질산염과 황산염을 포함한 6개의 음이온의 한량을 각각 ICP-AES와 I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지역이 광역적이고 수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총 4개의 수계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수계 1'에 해당하는 삼척탄좌 정암광업소에서 유출되는 물이 가장 전형적인 산성광산배수의 특징인 낮은 pH (3~4)와 높은 TDS (1,000-5,000 ㎎/1) 값을 보이고 있었으며, 이들에 의해 주변 수계가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었다 양이온 분석결과, 일부 광산에서는 비오염지역의 수계에서 검출되는 중금속에 비해 수십에서 수백 배 높은 함량이 검출되었다. 특히, Al, Fe, Mn 및 Zn 등은 상당히 부화되어, 정암광업소에서 유출되는 산성수에서는 각각 350 mg/1의 Al, 80 mg/1의 Fe, 44 mg/1의 Mn 및 8 mg/1의 Zn이 검출되었다. 서진광산, 세방광산 및 성진광산 둥에서도 50 mg/1 이상의 Al과 100 mg/1 이상의 Fe 및 l0 mg/l 이상의 Mn 등이 검출되어 이들에 의한 수계 오염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음이온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조사대상광산에서 200 mg/1 이상의 황산염이 검출되었으며 일부 광산 유출수에서는 100 mg/1 이상의 황산염이 검출되었다. 또한 산성광산배수의 계절적인 변화를 고찰하기 위해 계절별로 시료를 채취하여 조사한 결과, 건기에 비해 우기에 일부 금속과 황산염의 농도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조사대상지역의 수계는 석탄광 개발로 인해 발생된 산성광산배수에 의해 중금속 및 일부 음이온으로 오염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를 위한 적절한 처리 시설의 설치와 관리가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홈페이지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2. 폐광에 따른 광산지역 환경개선 연구 (폐수, 폐석)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3. 사업단 10년사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4. 자원환경지질 v.30 금산 대성 탄광지역 산성폐수에 의한 오염 송석환;민일식;김명희;이현구
  5. 자원환경지질 v.28 동해 탄광 주변 산성광산 폐수와 하상퇴적물의 지구화학 오대균;김정엽;전효택
  6. 대한지질학회-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논문집 광산배수의 산성화 및 그에 따른 환경문제 유재영
  7. 자원환경지질 v.31 폐 석탄광 주변 지구화학적 환경의 중금속 오염평가-강릉탄전 임곡천 일대를 중심으로- 전효택;최시영;김주용
  8. 자원환경지질 v.31 폐 석탄광 주변 지구화학적 환경의 중금속 오염평가 -강릉탄전 임곡천 일대를 중심으로- 전효택;김주용;최시영
  9. 2002년도 춘계 한국자원공학회/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영월.정선.평창지역 폐 석탄광 산성광산배수의 환경오염 평가 정명채
  10. 자원환경지질 v.27 강원도 상동지역 옥동천의 광산 산성수 및 하상 퇴적물의 중금속 오염 정영욱;I. Thornton
  11. 과기부 '98 기관고유사업 연차보고서 광산폐기물 관리기술 개발 연구 정영욱;민정식;권광수;김옥환;김인기;송원경;이현주;전효택;안주성;오석영
  12. 한국자원공학회지 v.34 영동탄광 부근 수계에서의 중금속의 존재형태와 흡착 지상우;김선준
  13. 지하수환경 v.4 문경 단붕탄광 폐석장 유출수의 조성변화 지상우;김선준;안지현
  14. 자원환경지질 v.32 지구 통계학적 방법에 의한 충남 탄전 지역 하상 퇴적물의 오염조사 황춘길;김경웅;이현구
  15. Environmental Geology v.33 Cases and solutions: Some problems associated with past mining at a mine in the Witbank coalfield, South Africa Bullock, S.E.T;Bell, F.G https://doi.org/10.1007/s002540050225
  16. Environmental Geology v.31 Geochemical modeling of coal mine drainage, Summit Country, Ohio Foos, A https://doi.org/10.1007/s002540050181
  17. Environmental Geology v.27 Field assessment of acid mine drainage contamination in surface and ground water Gray, N.F https://doi.org/10.1007/BF00766705
  18. Environmental Geology v.30 Environmental impact and remediation of acid mine drainage: a management problem Gray, N.F https://doi.org/10.1007/s002540050133
  19. Applied Geochemistry v.13 Mineralogy and trace element association in an acid mine drainage iron oxide precipiate;comparison of selective extractions McCarty, D.K;McCarty, J;Moore, N;Marcus, W.A https://doi.org/10.1016/S0883-2927(97)00067-X
  20. J. Geochemical Exploration v.52 Environmental impact of metals derived from mining activities: Processes, predictions, prevention Salomons, A.W https://doi.org/10.1016/0375-6742(94)00039-E
  21. Environmental Geology v.31 The potential formation of acid mine drainage in pyrite bearing hard-coal tailings under water-saturated conditions: an experimental approach Schuring, J;Kolling, M;Schulz, H.D https://doi.org/10.1007/s002540050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