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st Stnl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in a Valley forest at Sangbuun, lirisan National Park

지리산국립공원 상부운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 Park, In-Hyeop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Choi, Yun-Ho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박인협 (순천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최윤호 (순천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Published : 2003.03.01

Abstract

A valley forest in Sangbuun area at Jirisan National Park was studied to investigate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the slope. Forty-eight quadrats were set up in the valley forest along altitude of 726m to 1,090m and part of the slope, and vegetation analysis for the woody species in the tree and subtree layers were carried out. With increasing elevation belt, mean DBH, height and basal area of the trees in the tree layer increased while their density decreased. This trends may be caused by the disturbance which was relatively severe in the low elevation area. As elevation increased, the importance percentages of Fraxinus rhynchophylla,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mongolica increased while those of Styyax japonicus, Carpinus laxiflora and Pinus densiflora decreased. The importance percentages of Quercus variabilis and Pinus densiflora increased as going from lower part to upper part of the slope. However, the opposite trend was found for the importance percentages of Acer mono and Corlus heterophylla var. thunbergii. Number of species and species diversity decreased as increasing elevation and going from lower part to upper part of the slope. According to importance percentage and cluster analysis, the valley forest was classified into three forest communities of Quercus serrata-broad-leaved tree species community in lower part of the slope at low elevation belt, middle elevation belt and middle and upper parts of the slope at high elevation belt, Pinus d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in middle and upper parts at low elevation belt, and Quercus mongolica-broad-leaved tree species community in lower part of the slope at high elevation belt and top area.

지리산국립공원 상부운 계곡부(725~1,090m)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라 48개 조사구를 설정하여 교목층과 아교목충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계곡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교목층의 밀도는 감소하는 반면, 평균 수고, 흉고직경, 흉고단면적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계곡 하부에 인간의 간섭이 비교적 심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상대중요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물푸레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때죽나무, 서어나무, 소나무 등이었다. 사면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대중요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굴참나무, 소나무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고로쇠나무. 개암나무 등이었다 계곡정부를 포함한 해발고대별 종다양도의 범위는 0.571~l.194이었으며,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종다양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종다양도가 감소하는 것은 종수와 균재도가 모두 감소하기 때문이었다. 사면부위별 종다양도는 1.172~1.285이었으며 , 사면 하부에서 중, 상부로 갈수록 종수와 종다양도가 감소하였다. 수종별 상대중요치에 의한 Cluster분석 결과 계곡하부의 사면 하부와 계곡중부의 사면 상, 중, 하부 및 계곡상부의 사면중, 상부에 위치하는 졸참나무-낙엽활엽수군집, 계곡하부의 사면 중. 상부에 위치하는 소나무-졸참나무군집, 계곡상부의 사면하부와 계곡정부에 위하는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집 등 3개 유형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인협(1986) 백운산지역 천연림의 삼림구조 및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49쪽
  2. 박인협, 류석봉, 최영철(1998) 설악산국립공원 오색 대청봉-신흥사지역의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4): 486-492
  3. 박인협, 서영권(2001) 계룡산국립공원 계곡부의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4): 296-302
  4. 박인협, 서영권, 이석면, 류석봉(2000) 지리산국립공원 쌍계사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4): 340-347
  5. 박인협, 임도형, 류석봉, 이석면(1999) 한려해상국립공원 금산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2(4): 373-380
  6. 한국자연보존협회(1993) 지리산북부지역 일대 종합학술조사 보고서. 25쪽
  7.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Publ.., Iowa, 194pp
  8. Day, F.P. and C.D. Monk(1974) Vegetation pattern a southern Appalachian Watershed. Ecology 55(5): 476-496
  9. Daubenmire, R.(1966) Vegetation: Identification of typical communities. Science 151: 291-298 https://doi.org/10.1126/science.151.3708.291
  10. Katageri, S. and T. Tsutsumi(1978) The relationship between site condition and circulation of nutrients in forest ecosystem(V). The difference in nutrient circulation between stands located on upper part of slope and lower part of slope. J. Jap. For. Soc. 60: 195-202
  11. Ludwig, J.A. and J.F. Reynolds(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337pp
  12. Monk, C.D., G.I. Child and S.A. Nicholson(1969) Species diversity of a stratified oak-hickory community. Ecology 50(3): 468-700 https://doi.org/10.2307/1933901
  13. Pielou, E.C.(1975)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385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