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공공도서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Problems and Solutions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 송정숙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발행 : 2003.03.01

초록

정보화 시대에 공공도서관이 필수불가결한 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정보의 생산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경쟁력 회복과 정보격차의 해소를 지원하기 위해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복지의 핵심기관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현재 한국의 공공도서관은 그 수가 절대 부족하고, 장서도 부족하며, 인력활용이 비효율적이고, 제공하는 서비스도 영세하며, 도서관의 건축구조도 적합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 이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국가와 기업, 시민이 협력하여 공공도서관의 건립운동을 전개하여 절대수를 늘리며, 장서구입비도 대폭 확충하고, 다양한 서비스 프로그램도 개발하며, 사서는 이용자와 자료의 중개자로서의 전문적인 직무를 수행하도록 하여야 하며, 도서관은 도서관의 이념을 구현할 수 있도록 건축되어야 한다.

The author explored the survival and prosperity strategies for Korean public libraries in the 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She reviewed that public libraries can perform these strategies or not. On the basis of the review, she identified 5 problems of public libraries : shortage of libraries and collections, staff inefficiency, inadequate services, inefficient design of library facilities. And then she proposed solutions to improve the present state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campaigning for constructing libraries, increasing the materials budget, turning nonprofessional work to professional work of staff, and constructing libraries for safety and preserv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