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dural Space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ir-filled Catheter

공기도관을 사용하는 경막외강 자동탐지기구

  • 강재환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 김현식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 김경아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 김상태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교실) ;
  • 배진호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교실) ;
  • 임승운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교실) ;
  • 차은종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Published : 2003.02.01

Abstract

An assist device was developed to identify the epidural space by continously monitoring the air-filled catheter pressure. The pressure signal appropriately amplified and filtered enabled to alarm the needle introduction into the epidural space by thresholding detection. Ten LEDs provided a visual change of catheter pressure before alarming for user convenience. Clinical trials were performed in 30 patients with 83% success rate at the first trial. When failed, the second trial was enough for successful anesthesia. The air volume introduced during each anesthesia was less than 1ml, causing side effects. Air filling of the catheter could also minimize infection possibility. Therefore, the present device guarantees safe anesthesia with user convenience.

경막외마취는 전신마취가 불필요하므로 널리 활용되는 마취술이다. 그러나 경막외마취 시술시 천자침이 경막외강 내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으면 각종 부작용이 발생하므로 시술자의 세심한 주의뿐만 아니라 상당한 수준의 숙달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천자침이 연결된 도관 내의 압력 변화를 범용 압력센서로 연속 계측함으로써 침이 경막외강 내로 진입하는 순간을 자동탐지하는 자동화된 저항소실법을 개발하였다. 17G Tuohy 침을 황인대까지 전진시킨 후 침에 공기도관을 연결하고 공기도관에 연결된 압력센서로 압력신호를 추출하여 적절히 증폭ㆍ필터링한 후 역치감지회로가 경막외강의 진입순간을 감지하도록 전자회로를 설계ㆍ제작함으로써 저항소실법을 자동화할 수 있었다. 소량의 공기 주입으로 도관 내의 압력을 50∼100mmHg까지 녹인 후 짐을 천천히 전진시키며 압력변화신호를 10개의 녹색 발광다이오드로 연속 표시하였고 압력이 20mmHg 이하로 하강하는 순간을 경막외강 진입시점으로 인식하여 시술자를 위해 경보를 울리는 보조기기의 형태로 구현하였다. 자체 시뮤레이션을 거친 후, 경막 외마취 시술이 예정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자동화된 보조기기를 사용하여 시술하였고 수동적인 저항소실법을 병행하는 임상실험을 통하여 경막외 마취시술의 성공여부를 판정하였다. 본 기기의 도움으로 첫 번째 시도에서의 마취성공률은 83%이었고 두 번째 시도에서는 모두(100%) 성공하였으며 시술 중 주입된 공기의 용적은 1ml이내로써 별는 부작용이나 합병증은 없었으므로 본 연구의 유용성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자동화된 저항소실법은 공기도관을 사용하였으므로 감염의 가능성도 최소화된다고 볼 수 있었으며, 따라서 편리하고 안전한 경막외마취 시술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Reg Anesth v.22 Identification of the epidural space: Is loss of resistance to air a safe technique? R.S. Loyd;K. Shanu;Y. Omowunmi https://doi.org/10.1016/S1098-7339(06)80050-7
  2. Clinical anesthesiology(1st Ed.), A Lange Medical Book G.E. Morgan;M.S. Michail
  3. Anesthesia v.5 Extradural space indicator R.R. Macintosh
  4. Anesthesia v.53 A change in resistance? A survey of epidural practice amongst obstetric anaesthetists T.K. Howell;D.P. Prosser;M. Harmer https://doi.org/10.1046/j.1365-2044.1998.00299.x
  5. Anesthesiology v.89 Pressureguided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the epidural space inchildren T. Suwa;S. Inomata;S. Saito;H. Toyooka https://doi.org/10.1097/00000542-199808000-00050
  6. 대한마취과학회지 v.30 임산부와 비임산부의 경막외강압 비교 김진경;최윤;고홍
  7. 대한마취과학회지 v.40 압력감지기계를 이용한 경막외강의 탐지 배진호;이병달;김상범;김상태;차은종;임승운
  8. Anesth Analg v.66 Epidural bubbles as cause of incomplete analgesia during epidural anesthesia B. Dalens;J. Bazin;J. Haberer
  9. Br J Anesth v.73 Positive lumbar extradural space pressure J. L. Shah https://doi.org/10.1093/bja/73.3.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