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 금-은 광산 주변의 중금속 오염

Contamination of Heavy Metals from Dongmyeong Au-Ag Mine Area

  • 발행 : 2003.02.01

초록

동명광산을 경유하는 수계의 pH는 5.9∼7.1의 변화를 보여 약산성 내지는 중성의 환경을 보인다. 하천수 중 중금속 원소함량의 분포는 자원소의 지구화학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분포 양상을 보이나 전반적으로 폐광산 주변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동명광산 지역의 광미, 폐석적치장토양, 농경지토양에 대한 성분분석 결과 농경지토양에는 중금속의 총 농토가 광미나 폐석적치장의 토양보다 훨씬 낮았을 뿐 아니라 총 중금속 농도 중 adsorbed, carbonate, reducible fraction들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아 이들이 농작물이나 주변 수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하천수중 중금속 원소함량 분포가 전반적으로 광산지역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광미나 폐석적치장 토양에서도 중금속의 총 농도가 매우 높았을 뿐 아니라 adsorbed, carbonate, reducible fractions들이 차지하는 비율이 농경지 보다 상대적으로 높았기 때문에 이들이 유실되거나 또는 산성우, 산성인 광산폐수의 유입 등으로 인해 화학적 환경변화가 발생할 경우 중금속 오염의 확산이 우려되므로 이에 대한 오염방지대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Research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elements of stream water through Dongmyoung abandoned metal mine and soil adjacent to the mine. The pH range of water was 5.9∼7.1 that implies the water environment was acidic to neutral. The contents and distribution aspects of heavy metals in water samples varied with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lement, but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has the tendency of increase closer to the mine in general. The results of soil analysis show that total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agricultural soil near mine was far lower than those of ore tailing and dumping site. Therefore, the effects of the abandoned mine on stream water and agricultural products were supposed to be insignificant, particularly because the portion of absorbed carbonates and reducible fractions among total heavy metal concentration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 other. Since, however total heavy metal concentrations of mining site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adjacent region, there is a possibility of heavy metal difussion when the chemical environment of the site changes due to migration of surface and underground water. It is suggested that the preventive measures for water and soil pollution by the heavy metals would be considered around the reg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광산지질 v.26 삼보 연-아연-중정석 광산 주변 하상퇴적물에서의 중금속 오염연구 김상현;전효택
  2. 임계 정선지역의 표사 광역 지화학 조사 김연기
  3. 광산학회지 v.24 금속광산의 탐사를 위한 자연수지구화학탐사법의 개발에 관한 연구 김옥배;나춘기
  4. 한국의 자원과 지질 김옥준
  5. 광산지질 v.24 강원도 임계지역의 지질구조 김정환;기원서
  6. 폐금속광산 오염실태 정밀조사 대구지방환경관리청
  7. 광산지질 v.14 임계지역에 분포하는 각섬석질암의 성인 소칠섭;김연기;지세정;박맹언
  8. 정선군 통계연보 정선군의 일반현황
  9. 97농업환경 심포지엄 한국의 농업용수 수질기준 현황과 확산성 오염문제 및 개선대책 정영상;양재의
  10. 광산지역 환경오염 저감대책수립 방지대책 연구 원주지방환경관리청
  11. 광산지질 v.26 경북지역 폐금속광산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이재영;김종근;이인호;이진국
  12. 토양환경보전법 및 동 시행규칙 1조 및 20조, 별표 3과 별표 7 환경부
  13. 자원환경지질 v.29 은치광산의 성인에 관한 연구 황정;박희인
  14. Geochemistry in minerals exploration(2nd ed.) Rose, A.W.;Hawkes, H.E.;Webb, J.S.
  15. Analytical chemistry v.51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for the speciation of particulate trace metals Tessier, A.;Campbell, P.G.C.;Bisson, M. https://doi.org/10.1021/ac50043a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