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Movement of the Rep. of Korea

韓國 環境運動의 발전에 關한 一考

  • Kim, Sung-Soo (School of Politics and Communication, Inje University)
  • Published : 2003.01.01

Abstract

This research attempts to describe and explain the development of Korean environmental movement. It finds that the emergence of Korean environmental movement was constrained by the authoritarian nature of Korean politics. In 1970s, environmental movements were primitive and were not organized ones. With the wake of democratization in the 1980s, Korean environmental movement began to get some momentum. And in the 1990s, environmental movement to save clean water has achieved some success in certain areas. However, the emphasis on the growth of local economy in the age of local autonomy system has brought heavy degradation of local environment. The coming of the phenomena of Globalization and Cyber-Age has brought positive effects on Korean environmental movement.

Keywords

References

  1. 정호경, 김지하 외 1985, 삶이냐 죽음이냐, 형성사.
  2. Vogel, D., 1986, National Styles of Regulation: Environmental Policy in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Cornell Univ. Press.
  3. Mckean, M., 1981, Environmental Protest and Citizen Politics in Japa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 변동건, 1985, 한국인의 환경의식조사, 한국정치학회보, 19.
  5. 환경청, 1986, 환경보전.
  6. 한국공해문제연구소, 1986, 한국의 공해지도, 일월서각.
  7.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편, 1987, 우리 애들만은 살려주이소, 민중사.
  8. 이성복, 1989, 지방자치제하의 지방정부, 한국행정학보, 23(2), 506.
  9. 노융희, 1988, 한국의 지방자치-회고와 전망, 13-16.
  10. 김안제, 1988, 지역개발과 지방자치행정, 대명출판사, 11-15, 53-55pp.
  11. 정세욱, 1989,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른 지역개발행정체제, 한국행정학보, 23(2), 441.
  12. Lersner, 1991, 독일의 지역개발과 환경보전, 공해대책, 37-43.
  13. 권해수, 1991, 한국의 환경운동 연구, 현대사회, 11(2).
  14. 김근배, 1991, 한국사회에서 환경운동의 현황과 과제, 경제와 사회, 12, 이론과 실천사.
  15. 김성수, 1991, 지방자치 시대의 환경운동, 지방과 행정 연구, 3(1).
  16. 최경애, 1992, 韓國專門環境運動團體의 價値直指向과 그 要因에 관한 硏究.
  17. 한경필, 1993, 韓國民間環境運動의 發展過程 및 特性에 관한 연구,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18. 구도완, 1994, 한국 환경운동의 역사와 특성,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 김성수, 1996, 지방자치의 활성화를 통한 수질 보전정책연구 : 낙동강 수계오염과 위천공단 조성에 관한 갈등해결의 모색, 한국환경과학회지, 5(3).
  20. 이진아, 1996, 문제의 시각과 운동동향, 여성과 사회, 특집 여성과 환경.
  21. 권귀원, 1996, 환경사랑 실천, 말처럼 쉬운가요? - 환경운동가의 생활일기 특집 여성과 환경.
  22. 박순희, 2000, 인간의 복지향상을 위한 환경운동의 방향, 대한가정학회지.
  23. 권경희, 2000, 에코페미니즘의 역할과 한계성 : 동북아 국제환경이슈와 여성환경운동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 논총.
  24. 정수복, 1994, 노인과 환경보호운동추진방안과 모색 ; 토론 1 , 한국노년학.
  25. 최병두, 1994, 노인의 환경보호운동 추진방안과 모색, 한국노년학.
  26. 구도완, 1998,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의 환경 운동, 전기사회학 발표문 요약집.
  27. 박재묵, 1998, 미국의 환경운동 - 전국적 환경 운동단체의 자원동원을 중심으로, 98후기사회학 발표문요약집.
  28. 오경택, 1999, 미국 환경운동단체들의 발전 및 정치적 활동 their evolution and influencing activities, 國際政治論嚴, 39(1).
  29. 오경택, 1999, 지구온난화 레짐형성에 관한 미국의 정책결정과정 연구 : 환경운동단체와 업계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33(2).
  30. 유근배, 1997, 미국의 환경운동, 美國學, 서울대 미국학연구소, 20.
  31. 박봉래, 1994, 포장산업과 환경운동의 역학적 관계 연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논문집.
  32. 김은녕, 1992, 환경보호운동에 대응한 그린마케팅 추진 전략에 관한 연구, 서강대 박사학위 논문.
  33. 김성수, 1997, 環境親和的 綠色生産性運動의 方向設定, 生産性論集, 韓國生産性學會, 17.
  34. 노진철, 1995, 언론과 환경 운동 . 계몽과 갈등의 이중주, 한국사회와 언론, 한울, 6.
  35. 민영, 1997, 사회운동조직의 집합행위 프레임, 미디아전략, 의제형성능력에 관한 비교 연구, 서울대 학위논문.
  36. 김성수, 1998, 다자간 환경협력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학회 1998년도 연례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37. 한상진, 2000, 울산 및 여천공단 주변의 환경악화와 이주문제, 2000년도 한국사회학회 전기사회학대회 발표문 요약집.

Cited by

  1. Path Dependence, Critical Junctures, and Political Contestation vol.40, pp.6, 2011, https://doi.org/10.1177/0899764010378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