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Market Segmentation through Clothes Image Preferences and Benefit (Part I)

선호 의복이미지와 편익에 의한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제1보)

  • 이숙희 (호남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
  • 임숙자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 Published : 2003.01.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1) to find out the structural elements in classifying clothes images, and 2) to segment the consumer market for women's street clothes based on clothes image preferences and to identify the group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variables, purchasing behavior variables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sample was taken from 1106 middle class women who were in thier 30's∼40's living in Gwangju city.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six groups: active image group (35.4%), feminine image group (25.9%). daring image group (16.5%), elegant image group (10.8%), dressy image group (8.9%) and brisk image group (3.5%). Women in their 30's∼40's preferred elegant image, daring image, active image and feminine image. Elegant image oriented group: This group is the lowest education level group and has the highest rating of housewife. This group has the lowest scores use of person information search, Daring image oriented group: Woman in their 30's prefers daring image. This group thinks practical benefit sought is less important than self-expression benefit sought. This group has the highest scores use of non-person information search, Active image oriented group: This group is practical benefit seeking group. and purchases the lowest amount of clothes. The amount of average household income is the lowest. Feminine image oriented group: The amount of average household income is the highest. This group perceives more youth$.$fashion benefit sought and self-expression benefit sought than elegant image oriented group. ANOVA, $\chi$$^2$-test revealed differences among groups according to benefit sought use of information sources, purchasing behavior variables and demographic variables.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의류학회지 v.18 no.2 국내 및 외국 상표 청바지의 구매의도에 따른 평가기준에 대한 신념과 추구 이미지 및 의복태도의 차이 연구 고애란
  2.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생활양식 유형과 의복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김미영
  3.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유행 의복이미지가 개인의 자아개념과 의복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양진
  4. 한국의류학회지 v.13 no.4 선호디자인 감각에 따른 의복구매자 유형과 관련된 생활양식 특성에 따른 연구(Ⅱ) - 의복 구매자 유형과 스타일 선호 및 구매자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김영인
  5. 한국의류학회지 v.16 no.3 패션이미지에 의한 남자대학생 의류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김영인
  6. 대구효성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의복이미지 유형과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 김일분
  7.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의복 구매에 관련된 위험 지각과 위험 감소행동에 관한 연구 김찬주
  8.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수단-목표 이론에 의한 의류제품 평가에 관한 연구 류은정
  9.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의복구매에 관련된 상황변수 연구 -의복착용상황, 구매상황을 중심으로- 박은주
  10.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의류상품의 편익이 상품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박혜원
  11.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소비자의 가치의식과 의류제품 평가 유희
  12. 한국의류학회지 v.6 no.1 의복과 인물이 첫 인상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인자;송선옥
  13.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의복구매동기에 따른 점포이미지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중상층 중년 여성을 중심으로 - 이주은
  14.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시간지각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임경복
  15.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사회계층에 따른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 서울시내 40~50대 주부의 외출복을 중심으로 - 장혜원
  16. 한국의류학회지 v.12 no.4 의복이미지 구성요인과 평가차원에 관한 연구 정인희
  17.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혜택세분화와 인식도에 의한 진 의류 브랜드 이미지 연구 최일경
  18.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상품이미지가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자동차를 중심으로 - 한일수
  19.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상황과 소비자 특성에 의한 의류제품 혜택 세분화연구 홍희숙
  20. 日本纖維械學會誌 v.50 no.1 カタロゲ販亮志に寫眞で溫載されてぃる衣服 と ろの實體の衣服に對る評價の比較 中川郭子;吉野金令子;木村惠子
  21. The way we look Delong,M.R.
  22. Bussiness Horisons v.20 no.Feb. A New Approach to Market Segmentation Green,P.E.
  23. Tourism and Recreational Development Lawson,F.;Baud-Bovy,M.
  24. Journal of Retailing v.56 Store image and positioning Pessemier,E.A.
  25. Clothing & Textile Research Journal v.12 no.2 Benefit segment female apparel market: Psychographics, shopping orientations, and demographics Shim,S.;Bickle,M.C. https://doi.org/10.1177/0887302X9401200201
  26. Fashion: Consumer Behavior Toward Dress Sprolse,G.B.
  27.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15 no.Aug Isses and advances in segmentation research Wind,Y. https://doi.org/10.2307/3150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