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xperience and Need for the Family Life Welfare Service in Korea

한국의 가정복지서비스 수혜실태 및 요구도에 관한 연구

  • Park, Mee-Sok (Major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Chun, Jee-Won (Major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Lee, Yu-Ri (Major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박미석 (숙명여자대학교 가정 아동복지학부 가족자원경영학) ;
  • 전지원 (숙명여자대학교 가정 아동복지학부 가족자원경영학) ;
  • 이유리 (숙명여자대학교 가정 아동복지학부 가족자원경영학)
  • Published : 2003.10.01

Abstract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Family Welfare Service in Korea.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sists of these main subjects. A analysis about the experience and satisfaction of the family life welfare services. And a analysis about the Needs of family life welfare servic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407 low-income families experienced of family life welfare servi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y experienced more less $40\%$ of the family life welfare service. It appeared family life welfare service in Korea was still not 'for the family' but 'of the family'. The most of the them experienced or family lire welfare service did not satisfy about services. They hoped to set the family lire welfare services about housing, elderly-care, child-care, job opportunity.

Keywords

References

  1. 공인숙(1999). 가정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모형 탐색.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3), 217-228
  2. 김명숙(1995). 우리나라 가정복지사업의 실태와 과제. 지방화시대와 가정복지. 대한가정학회 제48차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3-20
  3. 김성천, 윤미혜(2000). 가족복지증진을 위한 정책 대안 연구.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미간행
  4. 김혜란, 장경섭(1995). 가족복지서비스 기능강화(III), 한국적 복지모형의 정립과 정책방향: 단기정책연구(II).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 노영주, 허정원, 서지원, 서선희(1999). 가정복지 개념을 중심으로 한 가정학의 재개념화.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2), 73-184
  6. 박미석, 송인자, 한정원(2003). 한국가족복지정책에서의 여성정체성. 대한가정학회지, 41(2), 155-170
  7. 변용찬(1995). 가족복지서비스 기능 강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적 복지모형의 정립과 정책방향 (II)] 국민복지기획단 전문가 보고.
  8. 변화순, 송다영, 김영란(2001). 가족유형에 따른 생활실태와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9. 보건복지부(1999). '99년도 가정복지 시책방향. 보건복지부 가정복지과 자료
  10. 송혜림(1999). 가정복지의 개념에 대한 가정학적 관점의 정립, 21세 기 가정복지의 지향과 사회적실천. 한국가정관리학회 제 26차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45
  11. 송혜림(2000). 가정생활에 대한 복지관점의 적용과가정복지의 방향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1), 31-41
  12. 신용하, 장경섭(1996). 21세기 한국의 가족과 공동체문화. 서울: 지식산업사
  13. 유영주(1995). '가정학과 가정복지', 지방화시대와 가정복지. 대한가정학회 제 48차 춘계학술대회자료집
  14. 이성희, 이승미(1999). 가정복지 실천의 장으로서의 사회복지관 효용성 연구: 전주시 사회복지관 프로그램 및 요구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2), pp.1-18
  15. 이승미(2000). 가정복지서비스의 모형과 실천방안에 관한 탐색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2), 141-154
  16. 임정빈(1997). 가정학 전공자는 가정복지사이다. 한국가정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7. 임정빈, 김양희, 이기영, 홍형옥, 계선자, 이정숙, 김순미(1997). 가정복지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3), 163-180
  18. 조홍식, 김인숙, 김혜란, 김혜련, 신은주(1995). 가족복지학. 서울: 학지사
  19. 최연실(1999). 한국 가정복지 정책과 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 및 평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4), 99-118
  20. 통계청(1999). 한국의 삶의 지표. 통계청
  21. 통계청(2002). 2002 사회통계조사(가족, 복지, 노동부문). 통계청
  22. 한국가족복지정책연구소(1997). 21세기 의 가족복지와 삶의 질, 제9회 한국가정복지정책세미나
  23. 한국보건복지연구원(1998). 보건복지포럼 29
  24. 문화일보. 2003년 3월 28일자
  25. 보건복지부(http ://www.mohw.go.kr)
  26. Anderson, E. A & Hula, R. C. (1991). The Reconstruction on Family Policy. New York: Greenwood Press
  27. Moes, P. & A. Schorr (1987). 'Families and Social Policy', Sussman, M. & Steinmetz, S. ed., Handbook of Marriage and the Family, New Yark: Plenum Press
  28. Zimmerman, S. (1988). Understanding Family Policy. London: Sage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