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creening of the Optimum Filter Media in the Constructed Wetland Systems through Phosphorus Adsorption Capacities

인의 흡착능 평가를 통한 인공습지 하수처리 시스템의 여재 선발

  • Lee, Hong-Jae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Seo, Dong-Cheol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Cho, Ju-Sik (School of Environment and Agricultural Scienc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Heo, Jong-Soo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이홍재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 서동철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 조주식 (순천대학교 환경농업과학부) ;
  • 허종수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Published : 2003.06.30

Abstract

The phosphorus(P) adsorption capacities of various filter media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size and types of fitter media to screen the optimum condi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nstructed wetland longevity by improving P adsorption capacity. The maximum P adsorption capacities of filter media A($4{\sim}10\;mm$), B($2{\sim}4\;mm$) and C($0.1{\sim}2\;mm$) were 8, 10 and 22 mg/kg, respectively, showing those increased as the filter media size decreased. Among the experimental media, the optimum filter media size was $0.1{\sim}2\;mm$. When the filter Medium was supplemented with organic materials which were piled up and decayed in the constructed wetland, the P adsorption capacity was significantly enhanced Under the conditions of optimum fitter media size, the respective Maximum P adsorption capacities of filter media C when supplemented with Ca, Mg, Al and Fe were higher than that of filter media C. However the addition of Ca, Mg, Al and Fe to constructed wetland were not recommended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their secondary pollution. The maximum P adsorption capacity of filter media C was 22 mg/kg, but this was increased to 36 mg/kg when filter media C was supplemented with 2% oyster shell.

인공습지 하수처리장에 축적되어 하수처리장 수명의 제한인자로 작용하는 인의 포화치를 조사하기 위해 여재 입경별 최대 인 흡착능을 조사하여 최적의 여재를 선정하였고, 또한 유기물과 굴패각의 인 흡착제로서 사용가능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최대 인 흡착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인공습지 하수처리장에서 하수처리장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기 위해 여재별로 흡착제인 유기물 양을 달리하여 최대 인 흡착능을 조사하였고, 최적으로 선정된 여재에 Ca, Mg, Al, Fe 및 굴패각 첨가에 따른 최대 인 흡착능을 조사하였다. 여재 입경별 최대 인 흡착능을 조사한 결과 여재 입경이 작아질수록 최대 인 흡착능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여재 대($4{\sim}10\;mm$), 중 ($2{\sim}4\;mm$) 및 소($0.1{\sim}2\;mm$)의 최대 인 흡착능은 각각 8, 10 및 22 mg/kg로서 여재 입경이 $0.1{\sim}2\;mm$인 여재소(C)가 최적의 여재이었고, 유기물과 굴패각의 최대 인 흡착능을 조사한 결과 유기물이 1,00 mg/kg 및 굴패각이 833mg/kg이었다. 입경별 여재에 유기물을 첨가하였을 경우 모든 여재에서 유기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최대 인 흡착능이 점점 증가하였다. 따라서 인공습지 하수처리장에서 수초에 의해 쌓여 부식된 유기물은 인의 흡착능을 증가시켜 인 처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었다. 최적 여재인 여재 소(C)에 Ca, Mg, Al 및 Fe를 첨가하였을 경우 모든 조건에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최대 인 흡착능도 점점 증가하였으며, 특히 Ca 0.1% 첨가시 인 흡착능이 885 mg/kg으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굴패각을 여재에 첨가하여 흡착능을 조사한 결과 굴패각을 2% 첨가시 인 흡착능이 약 22 mg/kg에서 약 36 mg/kg으로 약 14 mg/kg이 증가하였다.기의 텍스트 레이아웃 디자인에 충분히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강조하고 있으나 친환경성이 입증되지 않은 제품에 대해서도 친환경 소재임을 내세워 소비자의 판단을 흐리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대한 시정이 필요하다.칼리를 시용한 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는데(p<0.05), 이러한 경향은 이른 봄에 액상구비를 시용한 구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불과하였고 설명 후 이의 필요성에 대하여 묻는 질문에는 135명(71.4%)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동의서의 길이가 길어진다면 스스로 읽겠다(30명, 15.9%)기보다는 84.1%가 구두설명의 필요성을 요구하고 있었다. 임상시험시 발생하는 부작용 또는 문제점의 발생시 의사나 회사에 책임을 묻겠다는 대답이 76명(40.2%)으로 이 중 17명(9.0%)은 시비를 가리지 않고 무조건 책임을 묻겠다고 하였다. 결 론 : 본 설문조사는 임상시험과 피험자 동의서에 대한 가장 기초적인 설문 조사로 대상인 암환자와 가족들이 비교적 정확하고 긍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나 임상시험과 피험자 동의서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며 피험자동의서의 간편성과 이해력의 향상에 대한 연구가 요구됨을 보여주었다. 논평하였음을 퇴계는 '완세불공(玩迷不恭)'이라고 판단했을 것이다. 장육당은 청(淸)과 탁(濁)이 있음을 알지 못하고. 그것의 분별도 하지 못하는 세상 사람들을 완농(玩弄)하였다. 그러므로 그는 진환(塵 )에서 초연(超然)했던 것이다. 천석고황(泉石膏 )으로 태평성대(太平聖代)에 사시가흥(四時佳興)을 한가지로 하는 퇴계와는 그래서 다르다. 퇴계는 순풍(淳風)과 어진 인성(人性)을 긍정하였기에 만족하고. '고인(古人)의 녀던 길'을 끊임없이 행(行)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 '완세불공(玩世不恭)'과 '온유돈후(溫柔敦厚)'가 판별되어진다. 장육당이 '완세불공(玩世不恭)'했다면, 그것은 자취(自取)한 것이요. 퇴계의 '온유돈후(溫柔敦厚)'함도 스스로 취한 태도이다. 이 자취(自取)

Keywords

References

  1. 윤춘경, 권순국, 김형중 (1997) 인공습지에 의한 농촌오수 처리에 관한 연구, 한국농공학회지, 39(4), 55-63
  2. Park, B. H., Nam, G. S. and Lee, K. S. (2001)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constructed wetlands under high hydraulic loadings, J. KSWQ 17(4), 477-484
  3. Tanner, C. C., Adams. D. D. and Downes. M. T. (1997) Methane emissions from constructed wetlands treating agricultural wastewaters, J. Environ. Qual. 26, 1056-1062 https://doi.org/10.2134/jeq1997.00472425002600040017x
  4. 양흥모 (1999) 수자원보전을 위한 점원 및 비점원 오염물의 자연생태적 친환경적 처리-인공습지 및 연못.습지 시스템, 한국수자원학회지, 32(5), 111-123
  5. 김혜주 (1999) 자연형 하천 조성을 통한 하천의 자정능력향상-식물의 수질정화작용을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지, 32(5), 148-152
  6. Chung, D. Y. (1999) Dvelopment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sewage disposal model for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 are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2(1), 10-19
  7. 이도원, 송동하, 임경수, 박은진, 강호정 (1999) 식생을 이용한 수질 관리-생태구, 경관, 유역 규모에서 생태학적 접근, 한국수자원학회지, 32(5), 134-147
  8. Yun, S. M. (1998) The analysis of self-cleansing power through the sewage disposal model of water plants and aggregate,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9. Yang, L, Chang, H. T. and Huang, M. L. (2001) Nutrient removal in gravel- and Soil-based wetland microcosmos with and without vegetation, Ecological Engineering 18, 91-105 https://doi.org/10.1016/S0925-8574(01)00068-4
  10. Aleksandra, D., Yves, C, Christiane, F. and Robert, P. C. (2002) Phosphorus saturation potential: A parameter for estimating the longevity of constructed wetland systems, Environ. Sci. Technol. 36, 4642-4648 https://doi.org/10.1021/es011502v
  11. Sakandevan, K. and Bavor, H. J. (1998) Phosphat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soils, slags and zeolite to be used as substrates in constructed wetland systems, Wat. Res. 32(2), 393-399 https://doi.org/10.1016/S0043-1354(97)00271-6
  12. Pant, H. K., Reddy, K. R. and Lemon, E. (2001) Phosphorus retention capacity of root bed media of sub-surface flow constructed wetlands, Ecological Engineering 17, 345-355 https://doi.org/10.1016/S0925-8574(00)00134-8
  13. Arias, C. A., Del, B. M. and Brix, H. (2001) Phosphorus removal by sands for use as media in subsurface flow constructed reed beds, Wat. Res. 35(5), 1159-1168 https://doi.org/10.1016/S0043-1354(00)00368-7
  14. Park, K. J. (1998) Effect of pH and distribution of natural soil on pollutants adsorption, Doctor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15. APHW, AWWA, WPCF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DC.
  16. 정우용 외 (1998) 수질오염, 폐기물, 토양오염 공정시험방법, (주)동화기술
  17.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1998) 토양화학분석법-토양, 식물체, 토양미생물,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18. Choi, K. J. and Wang, C. K. (1999) Development of process for phosphorus removal from water using clamshell, Res. Rep. Env. Sci. Tech., Chungnam Nat'l Univ., Korea, 17, 37-49
  19. Choi, K. J. (1997) Removal of phosphorus in water using clamshell, Master Thesis, Chungnam Nat'l Univ., Korea
  20. 첨단환경기술 (1996) 정석법에 의한 하.폐수중의 인제거, 첨단환경기술
  21. Kim, M. P. and Han, J. D. (1997) Adsorption properties of oyster shell powder as landfill cover, J. of KSEE 19(1), 97-110
  22. Momberg. G. A. and Oellermann, R. A. (1992) The removal of phosphate by hydroxyapatite and struvite crystallization in south africa, Wat. Sci. Tech. 26(5-6), 987-996
  23. Ferguson, J. F. and King, T. (1977) A model for aluminum phosphate precipitation, J. WPCF. 49(4), 616-658

Cited by

  1. Phosphat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 Filter Medium, Adphos, and Its Efficiency by the Filtration Experiment Combined with the Vegetation Mat vol.3, pp.4, 2016, https://doi.org/10.17820/eri.2016.3.4.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