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morphological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healing effect of open and occlusive dressing on rabbit skin wounds. The male white rabbits were given incision wound measuring 1.0cm in length and excision wound measuring $1.0{\times}0.2cm$ respectively on backs. Five rabbits among their received sterilization with beta dine twice a day and kept wound open. Another group of rabbits received sterilization and occlusive dressing with application of 1% sulfadiazine ointment and covering of gauze. The rabbits were observed at 5, 10, and 15 days after dressing with light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oth incision and excision wounds received open and occlusive dressing respectively revealed formation of scab and regeneration of epidermal epithelial cells at wound margin. The superficial dermis showed infiltration of neutrophils, monocytes, and lymphocytes, fibroblastic proliferation, and edema. On 10 days after opera and occlusive dressing the scab had disappeared and regeneration of epidermal epithelium was completed. The capillaries and inflammatory cells were decreased in number. However, edema and fibroblastic proliferation were more pronounced. On 15 days after opera and occlusive dressing, there were keratinization of regenerated epidermal epithelium, loss of inflammatory infiltration, edema, and capillary proliferation, and increase of fibroblastic proliferation and collagen fibers. The amounts of scars were less in incision wound than of excision on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healing processes between both dressing method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eived that sterilization of wound is more important in wound healing than dressing method in trivial wounds.
본 연구는 체중 3.0kg의 가토 수컷 10마리를 이용하여 피부의 외상을 입힌 후 개방드레싱과 밀봉드레싱이 상처의 치유과정에서의 효과와 형태학적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1cm의 절개창과 $1.0{\times}0.2cm$의 피부절제창을 만든 후 개방드레싱군은 1일 2회 betadine으로 소독한 후 상처부위를 노출시켜 5, 10 및 15일째에 관찰하였으며, 밀봉드레싱군은 매일 betadine으로 소독하고 1% silver sulfadiazine 크림을 도포한 후 거즈를 덮어 5, 10 및 15일째에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피부를 절개한 군과 절제한 군을 개방드레싱 및 밀봉드레싱을 각각 시행한 5일 후에는 딱지가 형성되었고 표피의 재생은 상처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시작하였다. 진피의 표층에는 호중구, 단구 및 림프구의 침윤이 일어났고 부종과 섬유아세포의 증식이 경하게 일어났다. 수상 후 개방드레싱 및 밀봉드레싱을 시행한 10일 후에는 딱지는 탈락되었고 표피는 재생되어 연속적이었다. 모세혈관의 수와 염증세포의 침윤은 감소하였다. 부종과 섬유아세포의 증식은 더욱 증가하였다. 수상 후 개방 및 밀봉드레싱을 시행한 후 15일에는 표피의 재생은 완성되어 각질이 형성되었다. 진피에는 염증세포의 침윤, 부종 및 혈관의 증식은 소실되었고 섬유아세포 및 교원섬유의 양은 증가하였다. 피부를 절개한 군은 절제 군에 비해 반흔의 양은 적었고 드레싱방법에따른 치유과정의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상처의 치료는 드레싱의 방법보다 상처의 소독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