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mparing between Nursing Teachers and Non-Nursing Teachers of Conducting Sex Education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ing Ability

보건교사와 일반교사의 성교육 수업실태와 교수능력 인식 비교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differences between nursing teachers and non-nursing teachers in sex education, to offer the degree of conducting sex education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ing ability The subjects were 291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Busan from June 25 to July 22, 200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survey of 22 items relating to the degree of conducting sex education, the average of nursing teachers(2.87) was higher than that of non-nursing teachers(2.69). This finding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p<.05). 2. According to the survey of 22 items relating to teaching abilities, the average of nursing teachers(2.88) was higher than that of non-nursing teachers(2.63).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p<.0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1. Sex education should be adopted as a regular course and conducted as a school health program in regular curriculum. 2. Compared with non-nursing teachers, nursing teachers conducted sex education frequently and efficiently and their perception of sex education was higher. Therefore, the school policy which requires that sex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by nursing teachers only is to be established.

Keywords

References

  1. 김근상. 중학생의 성에 대한 의식과 성교육 요구 분석. 아주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 김미경. 중등학교 성교육 현황 및 성교육 담당교사들의 태도.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3. 김미주. 초, 중, 고등학생 성교육 교재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8
  4. 김선희. 초등학교 성교육 실태와 교사의 성교육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7
  5. 김영혜. 한국교사들의 성 역할 인지, 성교육 요구 및 성교육 의식 정도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998; 4(2): 131-146
  6. 김재희. 학교보건수업에 대한 양호교사의 태도 및 교수능력의 인식도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6
  7. 김정옥. 학교 성교육의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88
  8. 김혜원, 이해경. 고등학교 성교육 교사용 지도지침서-함께 풀어 가는 성 이야기. 교육인적자원부, 2001
  9. 박성정. 청소년의 성(이성교제, 성행동, 혼전 성허용성, 성지식, 성역할 특성, 성교육)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6
  10. 박인혜, 한유정, 윤현숙. 남녀 중학생의 성에 대한 지식, 태도, 성교육 요구도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 보건학회지 1996; 9(1): 99-108
  11. 박효정. 학교 성교육 내실화,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성교육 세미나. 교육부, 2000
  12. 박효정, 박선환, 서명숙. 중학교 성교육 교사용 지도 지침서-함께 풀어 가는 성 이야기. 교육인적자원부. 2001
  13. 백정자. 청소년의 성교육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14. 학교성교육 지침. 교육인적자원부, 2002
  15. 유승직. 고등학교 학생들의 성교육 요구도 및 성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공주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16. 윤상진. 중학교 성교육 실태에 대한 조사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8
  17. 이순열. 건전한 성의식 함양을 위한 성교육 클럽반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서울시 교육청, 1995
  18. 이순열, 배병주. 성교육 학습지도안. 서울, 도서출판 한빛, 1997
  19. 이영옥, 황인효. 한국에 있어서의 성교육의 변천에 관한 연구. 청파교육 11호, 숙명여자대학교, 1975
  20. 이은주. 양호교사와 관련교사의 성교육 이행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21. 장일원. 성교육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의식 조사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5
  22. 정문숙. 초중등학교 학생, 학부모 및 교사의 성지식, 태도 및 성교육 요구와 관련 요인. 경북간호과학지 1998; 2(1): 13-35
  23. 정혜순. 중학교 성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중앙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24. 중, 고 성교육 ICT 활용 교수 학습 지도 자료. 부산시 교육청, 2002
  25. 하숙영. 성교육이 여자 중학생의 성 지식과 성 태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8
  26. 한국교육개발원. 초, 중, 고등학교 성교육 읽기 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서원
  27. 한선희. 중, 고등학교 성교육 관련 교과의 교육내용 분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28. 한유정, 박인혜. 성교육이 중학생의 성지식과 성에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간호과학논집 1996; 1: 23-40
  29. Kirby,D.. School-based programs to reduce sexual rist taking behaviors, Journal of school health 1992; 62(7): 280-287 https://doi.org/10.1111/j.1746-1561.1992.tb01244.x
  30. Ogletree,R.J.et al. An assessment of 23 selected school-based sexuality education curricular. J School Health 1995; 65(5): 186-191 https://doi.org/10.1111/j.1746-1561.1995.tb06227.x
  31. Shorter,E.. making the most of marriage. New York, Basic Books, 475-481, 1977
  32. SIECUS National Guidelines Task Force. Guidelines for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Kindergarten-12th Grade. New York. NY. Sexuality Information and Education Council of the United States, 1999